노사정 위원회

연구분야 : B0805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산업/노동사회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4924

한자 : 勞使政委員會

y06-01 조직/단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사정 협의 체제 [ 勞使政協議體制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비정규직 [ 非正規職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복수 노조 [ 複數勞組 ]

RT (관련어)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김대중 정부 (1998-2003) [ 金大中政府 ]

RT (관련어)

 

 

노사 문제 [ 勞使問題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 정책 [ 勞動政策 ]

노무현 정부 시기 노동정치의 갈등과 한계

The Political Conflict and Limitations of the Labor Politics in the Period of Noh Mu-Hyun Government

담론201 | 14 | 1 | 2011 | 사회학

창구단일화-전임자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대화 과정과 결과

An Overview of the Process and Outcome of a Social Dialogue –on the two issues of single channel bargaining system and full-time union official

산업관계연구 | 20 | 2 | 2010 | 경영학

창구단일화-전임자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대화 과정과 결과

An Overview of the Process and Outcome of a Social Dialogue –on the two issues of single channel bargaining system and full-time union official

산업관계연구 | 20 | 2 | 2010 | 경영학

Public Employee Unionization and Path Dependency in Korean Social Concertation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2 | 2012 | 행정학

정책딜레마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전략 비교분석: 비정규직 보호법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Governmental Countermeasures under the Policy Dilemma Situations - Focused on Non-regular Employment Laws -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1 | 2012 | 행정학

합의지향적 노사관계의 구축을 위한 정부의 능력: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비교연구

Consensual Labor-Management Relation and the Government Capabilities: An Comparative Study on the Kim Young Sam Administration and the Kim Dae Jung Administration

분쟁해결연구 | 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사회협약정치의 출현ㆍ교착ㆍ지속에 대한 분석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사회협약정치의 출현ㆍ교착ㆍ지속에 대한 분석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사회적 대화의 주요 이슈

Major Issues of Social Dialogue in Korea

질서경제저널 | 15 | 1 | 2012 | 기타경제학

노사정위원회 참여를 둘러싼 민주노총의 전략적 대응 : 정파 간 내부정치를 중심으로

The Strategic action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KCTU) surrounding participation at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 Focus on the factional inner politics

사회과학연구 | 51 | 1 | 2012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