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적 공간재편의 맥락에서 본 구룡마을 경관에 대한 비판적 해석
The Critical Interpretation of Guryong Village Landscape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Spatial Reorganization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s Capital City of Hanyang
역사학보 |
209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s Capital City of Hanyang
역사학보 |
209 |
2011 |
역사학
현대영국소설 연구동향―역사소설과 흑인소설을 중심으로
Recent Studies on Contemporary British Fiction: The Historical Novel and Black British Fiction
새한영어영문학 |
54 |
3 |
2012 |
영어와문학
19세기 말 영국 중부 산업 도시의 실업과 도시 공간의 주도권 문제: 노팅엄의 실업자 구제 사업과 헝거힐 가든 습격 사건을 중심으로
Unemployment and Struggle for Space in the Urban Context: Nottingha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unicipal Relief Works and the Hungerhill Gardens Attack)
영국연구 |
26 |
2011 |
역사학
제국주의 공간과 융합 -독일제국의 중국식민지 도시건설계획과 건축을 중심으로
Imperialistischer Raum und Konvergenz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Stadtbauplan und Architekur in der deutschen Kolonie Tsingtao(China)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19 |
2010 |
역사학
제국주의 공간과 융합 -독일제국의 중국식민지 도시건설계획과 건축을 중심으로
Imperialistischer Raum und Konvergenz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Stadtbauplan und Architekur in der deutschen Kolonie Tsingtao(China)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
19 |
2010 |
역사학
19세기 말 영국 중부 산업 도시의 실업과 도시 공간의 주도권 문제: 노팅엄의 실업자 구제 사업과 헝거힐 가든 습격 사건을 중심으로
Unemployment and Struggle for Space in the Urban Context: Nottingha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unicipal Relief Works and the Hungerhill Gardens Attack)
영국연구 |
26 |
2011 |
역사학
도시 공간 읽기의 방법론으로서의 흔적 읽기
Spur und Spurlesen als eine Methode für das Lesen vom Stadtraum
시대와 철학 |
23 |
2 |
2012 |
철학
도시공간에서 교육 기회의 공간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학교 원어민 보조교사를 통한 교육 기회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an Urban Area: Focusing on the Opportunity to Learn English by School Native English Instructors
공간과 사회 |
22 |
1 |
2012 |
지리학
도시공간에서 교육 기회의 공간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학교 원어민 보조교사를 통한 교육 기회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an Urban Area: Focusing on the Opportunity to Learn English by School Native English Instructors
공간과 사회 |
22 |
1 |
2012 |
지리학
한국 도시사 연구동향 - 고려 개경과 조선 한양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Urban History : Focusing on Gaegyeong and Hanyang
역사학보 |
207 |
2010 |
역사학
한국 도시사 연구동향 - 고려 개경과 조선 한양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Urban History : Focusing on Gaegyeong and Hanyang
역사학보 |
|
207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경성지역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The change and character of the inn business in Keijo(京城) under the Japanese Rule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경성지역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The change and character of the inn business in Keijo(京城) under the Japanese Rule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도시민속 연구의 과제와 전망— 경인지역과 도시민속 이론을 중심으로 —
Tasks and Prospects of Urban Folklore Research: Focusing on Kyongin Regions and Urban Folklore Theories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도시민속 연구의 과제와 전망— 경인지역과 도시민속 이론을 중심으로 —
Tasks and Prospects of Urban Folklore Research: Focusing on Kyongin Regions and Urban Folklore Theories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르페브르의 공간 및 도시공간 이론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al Comment on the Lefébvre’s Theory of the Space and the Urban Space focused on his Production of Space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신자유주의적 공간재편의 맥락에서 본 구룡마을 경관에 대한 비판적 해석
The Critical Interpretation of Guryong Village Landscape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Spatial Reorganization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도시민속 연구의 방법과 영역
Urban Folklore-Research Methodologies and Subjects
한국민속학 |
54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統制營의 건설과 도시경관의 변화
The Construction of Tongjeyeong and the Change of the Urban Landscape during the later Joseon Period
대구사학 |
105 |
2011 |
역사학
르페브르의 공간 및 도시공간 이론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al Comment on the Lefébvre’s Theory of the Space and the Urban Space focused on his Production of Space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8‧10사건의 재조명은 무엇을 뜻하는가
The meaning of interpreting the 8‧10 Gwangju-grand complex-case
공간과 사회 |
21 |
4 |
2011 |
지리학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서 도시 공간 - 베를린을 중심으로
Stadt-Raum als Zentrum der Kunst und Kultur - Am Beispiel von Berlin -
독일언어문학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서 도시 공간 - 베를린을 중심으로
Stadt-Raum als Zentrum der Kunst und Kultur - Am Beispiel von Berlin -
독일언어문학 |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현대소설에 나타난 도시 공간의 위상학 연구 - 최인호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opology of urban space shown in the modern novel - Based on the Choi In-ho’s novel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798예술촌, 도시의 흔적과 기억의 공간
798 Dashanzi Art District, Trace of Urbun Space and Memories of City
현대중국연구 |
13 |
2 |
2012 |
중국
지역축제가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릉단오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Regional Festival on Urban Spaces - Focused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1 |
2011 |
행정학
맑스주의적 도시연구와 인천의 연구방법
A Marxist Approach to Urban Studies and Methodologies for Researching Incheon
인천학연구 |
1 |
17 |
2012 |
기타인문학
유메노 규사쿠(夢野久作)의『미치광이 지옥(キチガイ地獄)』소론
A Study on Kichigai jigoku by Yumeno Kyusaku
일본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도시사용법: 조르주 페렉, 폴 오스터, 김승옥
La ville mode d'emploi: Georges Perec, Paul Auster et Kim Sung-Ok
한국프랑스학논집 |
77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한국의 도시 개발과 도시공간에 대한 미디어 아트 작가들의 시선
Media arists' view on urban development and urban space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9 |
4 |
2011 |
예술일반
8‧10사건의 재조명은 무엇을 뜻하는가
The meaning of interpreting the 8‧10 Gwangju-grand complex-case
공간과 사회 |
21 |
4 |
2011 |
지리학
지역축제가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릉단오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Regional Festival on Urban Spaces - Focused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1 |
2011 |
행정학
현대소설에 나타난 도시 공간의 위상학 연구 - 최인호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opology of urban space shown in the modern novel - Based on the Choi In-ho’s novel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시공간 구성의 의미에 관한 인문학적, 정신분석적 고찰:랑시에르와 라깡을 중심으로
A Humanistic and Psychoanalytic Considera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itution of the City Space: focused on Rancière’s and Lacan’s Theory
현대정신분석 |
14 |
1 |
2012 |
기타인문학
Collective Memory and Commemorative Space: Reflections on Korean Modernity and the Kyŏngbok Palace Reconstruction 1865-2010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13 |
4 |
2010 |
지역학
Collective Memory and Commemorative Space: Reflections on Korean Modernity and the Kyŏngbok Palace Reconstruction 1865-2010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13 |
4 |
2010 |
지역학
지구화 시대 도시 정의를 위한 시론 -분배 정의와 차이 인정을 중심으로-
An Essay on Urban Justic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Focused on Distributive Justice and Recognition of Difference
시대와 철학 |
22 |
2 |
2011 |
철학
798예술촌, 도시의 흔적과 기억의 공간
798 Dashanzi Art District, Trace of Urbun Space and Memories of City
현대중국연구 |
13 |
2 |
2012 |
중국
공간 디자인을 향한 인문학의 시선 - 광주 ‘충장로’를 중심으로
Eine geistes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 zum Verstehen des Stadtraums 'Chungjang Road in Kwang Ju' im designperspektivischen Gesichtspunkt
영상문화 |
17 |
2011 |
학제간연구
인문학적 접근사례를 통한 도시공간의 정체성과 도시경쟁력 확보 방안
A Study on the Humanistic Approach for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of Urban Spatial -focused on case study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인문학적 접근사례를 통한 도시공간의 정체성과 도시경쟁력 확보 방안
A Study on the Humanistic Approach for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of Urban Spatial -focused on case study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게슈탈트의 시지각 이론이 적용된 미디어파사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edia-facade applying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of Gestalt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2 |
3 |
2012 |
디자인
한국 도시공간의 문화 정체성과 서사성 - 서울, 안동, 광주, 전주를 분석대상으로 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Eine semiotische Untersuchung der kulturellen Identitäten und Narrativitäten von den koreanischen Städten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한국 도시공간의 문화 정체성과 서사성 - 서울, 안동, 광주, 전주를 분석대상으로 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Eine semiotische Untersuchung der kulturellen Identitäten und Narrativitäten von den koreanischen Städten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독일 도시공간의 문화적 표상과 서사 읽기를 위한 텍스트학 기반의 간학문적 연구 - 베를린, 뮌헨, 프랑크푸르크, 프라이부르크의 미디어 표상을 기반으로 -
Eine textwissenschaftlich basierte interdisziplinäre Untersuchung zum Verstehen der kulturellen Vorstellungen und narrativen Strukturen von deutschen Städten
독어학 |
25 |
2012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