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연구분야 :

클래스 : 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82

한자 : 空間
영어 : space
독일어 : Raum
프랑스어 : espace
중국어 : 空间

E04 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동작 요소 [ 動作要素 ]

N1:종류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교육 공간 [ 敎育空間 ]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소비 공간 () [ 消費空間 ]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탐색 공간 [ 探索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옥외 공간 [ 屋外空間 ]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유비쿼터스 공간 [ --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공용 공간 [ 共用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내부 공간 () [ 內部空間 ]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가상 공간 () [ 假想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매개 공간 () [ 媒介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지하 공간 () [ 地下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주거 공간 [ 住居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전시 공간 [ 展示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도시 공간 () [ 都市空間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공간 구조 [ 空間構造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공간 예술 () [ 空間藝術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5 분포 분포

공간 분포 () [ 空間分布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코라 [chora]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공간 개발 정책 [ 空間開發政策 ]

베르그손의 의식 철학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연구-

The Problem of Being and Subject in Bergson’s Philosophy of Consciousness: a Study of Free Will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러시아어 조격 재조명

A Reflection on the Russian Instrumental Case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사회언어학적 차원에서의 문체

A study of Sylistics by Applying Sociolingusical Approaches

현대문학이론연구 | 40 | 2010 | 문학이론

사회언어학적 차원에서의 문체

A study of Sylistics by Applying Sociolingusical Approaches

현대문학이론연구 | | 40 | 2010 | 문학이론

러시아어 조격 재조명

A Reflection on the Russian Instrumental Case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太平廣記』 이후 神仙說話의 變貌樣相 考察

중국어문학논집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太平廣記』 이후 神仙說話의 變貌樣相 考察

중국어문학논집 |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제국의 고도, 초월의 기술

The Ancient Cities of Empire, A Technique of Transcendence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고도, 초월의 기술

The Ancient Cities of Empire, A Technique of Transcendence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계층화(Lexical Stratification)에 따른 중국어 차용어의 범위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지 | 37 | 2011 | 중국어와문학

李喬의 <泰姆山記>에 나타난 타이완 본토성 탐구

A study on the Nativeness of Taiwan in Li-Qiao's ‘Journey to Taimu Mountain’

중국문학연구 | 42 | 2011 | 중국어와문학

중국 ‘비(非)-한족(漢族)’ 영화 연구를 위한 논의들

Some Arguments for Studying Chinese Non-Han(漢) Ethnic Film

중국문학연구 | 42 | 2011 | 중국어와문학

데이비드 하비의 지리학과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David Harvey's Geography and Space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한국학논집 | 42 | 2011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반 韓人의 上海 인식 ―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

Spatial Perception of Koreans Residents on Shanghai in the Early 20th Century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도시 공간 속의 촌락: 중계본동 ‘104마을’ 서민경관의 퇴락

Dereliction of the Ordinary Landscape of 104 Urban Village in Joonggye-Dong, Nowon-Gu

문화역사지리 | 24 | 1 | 2012 | 인문지리학

明代 女性 詩人 王微의 여행시 ― 창작의 動因과 認識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 39 | 2012 | 중국어와문학

탐라국 창조신화와 희랍신화

Myth of Creation in Tamra and Greek Myth

민족미학 | 9 | 2010 | 미학일반

탐라국 창조신화와 희랍신화

Myth of Creation in Tamra and Greek Myth

민족미학 | 9 | | 2010 | 미학일반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의 체제와 내용 -고전소설 분야를 중심으로-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of Feminist Theme Words in Korean Literature - Focused on Classical Korean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韓․中 ‘幻’ 敍事의 時空間的 敍述美學 - 《列仙傳》·《太平廣記》·《於于野譚》·《海東異蹟》을 중심으로

Aesthetics of Space Time Description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 based on "Lie Xian Zhuan", "Tai Ping Guang Ji", "Eo U Ya Dam" and "Hae Dong I Jeok"

중국어문학지 | 33 | 2010 | 중국어와문학

韓․中 ‘幻’ 敍事의 時空間的 敍述美學 - 《列仙傳》·《太平廣記》·《於于野譚》·《海東異蹟》을 중심으로

Aesthetics of Space Time Description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 based on "Lie Xian Zhuan", "Tai Ping Guang Ji", "Eo U Ya Dam" and "Hae Dong I Jeok"

중국어문학지 | | 33 | 2010 | 중국어와문학

강도하 웹툰 <세브리깡>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Study on Storytelling Strategy of Kang Do-ha’s Webtoon Sebriggang

애니메이션연구 | 6 | 3 | 2010 | 영화

강도하 웹툰 <세브리깡>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Study on Storytelling Strategy of Kang Do-ha’s Webtoon Sebriggang

애니메이션연구 | 6 | 3 | 2010 | 영화

고전의 현대적 변용 : 영화 「전우치」의 공간 읽기

Modern Modification of Classic: Understanding of Space in the movie of Jeon-woo-chi(田禹治)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명미 김의 시와 공간의 문화 정치학: 『깃발 밑에서』와 『듀라』를 중심으로

Myung Mi Kim’s Poetry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Focusing on Under Flag and Dura

영미문학연구 | 18 | 2010 | 영어와문학

명미 김의 시와 공간의 문화 정치학: 『깃발 밑에서』와 『듀라』를 중심으로

Myung Mi Kim’s Poetry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Focusing on Under Flag and Dura

영미문학연구 | | 18 | 2010 | 영어와문학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주적 연방주의와 평화

Democratic Federalism and the Peace

법학연구 | 53 | 2 | 2012 | 기초법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à partir de의 용법과 속성 : depui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Les emplois et les traits d‘à partir de : une comparaison avec depuis

프랑스어문교육 | 3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민주적 연방주의와 평화

Democratic Federalism and the Peace

법학연구 | 53 | 2 | 2012 | 기초법

Edith Wharton’s Summer: Charity Royall’s Initiation and Dynamics of Spaces

근대영미소설 | 17 | 2 | 2010 | 영어와문학

Edith Wharton’s Summer: Charity Royall’s Initiation and Dynamics of Spaces

근대영미소설 | 17 | 2 | 2010 | 영어와문학

로베르 브레송과 다르덴 형제 영화의 유사성 연구 -<무셰트>와 <로제타>에 나타난 연출 스타일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lms of Robert Bresson and ones of Dardenne Brothers -focused on the directing style shown in the 'Mouchette' and 'Rosetta'-

영화연구 | 43 | 2010 | 영화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and Stephen Daldry’s The Reader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and Stephen Daldry’s The Reader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A Study on the Jeong Wi Sin's Drama, a Korean Resident in Japan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A Study on the Jeong Wi Sin's Drama, a Korean Resident in Japan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엄선사 「三花傳」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A Study on the Reality of Characters and Spaces in Samhwajeon by Choeomseonsa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제곡>의 의미 구조 연구 - 통로 기능의 詞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 Centered on the Lyrics Functioning as Passages -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탐라국 창조신화와 희랍신화

Myth of Creation in Tamra and Greek Myth

민족미학 | 9 | 2010 | 미학일반

탐라국 창조신화와 희랍신화

Myth of Creation in Tamra and Greek Myth

민족미학 | 9 | | 2010 | 미학일반

김현승 시의 종교적 상상력

Religious Imagination of Kim, Hyun-seung’s Poems

한국문예창작 | 11 | 2 | 2012 | 문학

초엄선사 「三花傳」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A Study on the Reality of Characters and Spaces in Samhwajeon by Choeomseonsa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제곡>의 의미 구조 연구 - 통로 기능의 詞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 Centered on the Lyrics Functioning as Passages -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현대시대의 서양 춤과 한국 춤의 작품스타일 연구 -LMA 동작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tyles of the Western Dances and Korean Dances in the Modern Times -Centering on LMA Movement Analysis-

무용예술학연구 | 30 | 30 | 2010 | 무용

근현대시대의 서양 춤과 한국 춤의 작품스타일 연구 -LMA 동작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tyles of the Western Dances and Korean Dances in the Modern Times -Centering on LMA Movement Analysis-

무용예술학연구 | 30 | 30 | 2010 | 무용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and Stephen Daldry’s The Reader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and Stephen Daldry’s The Reader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

어포던스(Affordance)의 디자인 적용 사례 연구

A Study on design application case of the Affordanc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0 | 2 | 2010 | 디자인

어포던스(Affordance)의 디자인 적용 사례 연구

A Study on design application case of the Affordanc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0 | 2 | 2010 | 디자인

Urban Aesthetics in the Age of Ubiquitous Computing -Transdisplinary Reflection on the Ubiquitous Computing and Future City Design Mediated by Heideggerian Phenomenology-

유비쿼터스 컴퓨팅시대의 도시미학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시조에 나타난 불교 수용의 양면성과 의미

The Duality and its Meaning of Buddhist Thought Represented in Sijo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김광균의 『瓦斯燈』연구 - 조형기호학적 관점으로

A Study on the Kim Kwanggyun’s - Based on plastic semiotics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심성우언소설에 나타난 구원관 -<천로역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Salvation idea of Shim-seong ueon novel

동아시아고대학 | 27 | 2012 | 기타인문학

무대, 영상 그리고 우리 존재-시간, 공간 & 움직임을 바탕으로-

Stage, Moving Image & Presence of Ours-Based on Time, Space & Movements-

영상기술연구 | 1 | 15 | 2011 | 예술일반

철학상담에 있어 침묵의 역할에 대하여

On Role of Silence in Philosophical Practice(Counseling)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전통 주거에 나타난 한국인의 자연관과 그 교육적 의미 -텃제, 집짓기 재료의 선택과 가공을 중심으로-

The Korean view of nature reflected in traditional housing, and its educational meaning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Time and Space in Yeats and Stein: Reading Meditations in Time of Civil War and Tender Button

한국 예이츠 저널 | 33 | 2010 | 영어와문학

Time and Space in Yeats and Stein: Reading Meditations in Time of Civil War and Tender Button

한국 예이츠 저널 | | 33 | 2010 | 영어와문학

시조에 나타난 불교 수용의 양면성과 의미

The Duality and its Meaning of Buddhist Thought Represented in Sijo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심성우언소설에 나타난 구원관 -<천로역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Salvation idea of Shim-seong ueon novel

동아시아고대학 | 27 | 2012 | 기타인문학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A Study on the Jeong Wi Sin's Drama, a Korean Resident in Japan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A Study on the Jeong Wi Sin's Drama, a Korean Resident in Japan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Film und Photographie in Thomas Manns Roman Der Zauberberg

토마스 만의 소설 『마의 산』에서의 영화와 사진

유럽사회문화 | 1 | 2011 | 기타인문학

시조에 나타난 신화 소재의 수용 양상과 의미 - 중국 신화를 중심으로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he acceptance of mythological materials in Sijo - Focused on Chinese mythology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장 지로두의 무대화 전략 - 『아가』의 경우

La Stratégie de représentation scénique de Jean Giraudoux - Le cas de Cantique des cantiques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장 지로두의 무대화 전략 - 『아가』의 경우

La Stratégie de représentation scénique de Jean Giraudoux - Le cas de Cantique des cantiques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의 체제와 내용 -고전소설 분야를 중심으로-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of Feminist Theme Words in Korean Literature - Focused on Classical Korean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Spatial recognition and continuity on the Gwongu(權榘)'s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Spatial recognition and continuity on the Gwongu(權榘)'s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Time and Space in Yeats and Stein: Reading Meditations in Time of Civil War and Tender Button

한국 예이츠 저널 | 33 | 2010 | 영어와문학

Time and Space in Yeats and Stein: Reading Meditations in Time of Civil War and Tender Button

한국 예이츠 저널 | | 33 | 2010 | 영어와문학

이정호의 『움직이는 벽』에 나타난 기억의 구성 방식

The Method of Organizing Memory Presented in 『The Moving Wall』 of Lee Jung-Ho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정호의 『움직이는 벽』에 나타난 기억의 구성 방식

The Method of Organizing Memory Presented in 『The Moving Wall』 of Lee Jung-Ho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良中’의 形成과 變遷過程에 대한 通時的 考察 -中世國語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良中’ in the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화기억의 철학적 성찰과 문화콘텐츠 연구-한국 근대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Memory’ -Focusing on the Time and the Space of Korean Modern Time-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기억의 철학적 성찰과 문화콘텐츠 연구-한국 근대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Memory’ -Focusing on the Time and the Space of Korean Modern Time-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1970년대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의 ‘양가성’ 연구 - 이문구, 조세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mbivalence Represented of 1970's Korean Novel - With a focus on Lee Moon-goo's, Cho Se-hee’s -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1970년대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의 ‘양가성’ 연구 - 이문구, 조세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mbivalence Represented of 1970's Korean Novel - With a focus on Lee Moon-goo's, Cho Se-hee’s -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중국어 ‘除去’의미 동사의 語法化 연구 - 제거동사 ‘却’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Exclusion Verb in Early Modern Chinese

중국연구 | 50 | 2010 | 중국어와문학

근대중국어 ‘除去’의미 동사의 語法化 연구 - 제거동사 ‘却’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Exclusion Verb in Early Modern Chinese

중국연구 | 50 | | 2010 | 중국어와문학

영어 은유적 합성명사의 의미 양상에 관한 연구

Aspects of the Meaning of Metaphorical Noun-noun Compounds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영어 은유적 합성명사의 의미 양상에 관한 연구

Aspects of the Meaning of Metaphorical Noun-noun Compounds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설치미술의 장소성에 나타나는 다중 내러티브

Multi-narrative in Site-Specificity of Installation Art

조형디자인연구 | 14 | 4 | 2011 | 공예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영어 은유적 합성명사의 의미 양상에 관한 연구

Aspects of the Meaning of Metaphorical Noun-noun Compounds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영어 은유적 합성명사의 의미 양상에 관한 연구

Aspects of the Meaning of Metaphorical Noun-noun Compounds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Spatial recognition and continuity on the Gwongu(權榘)'s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Spatial recognition and continuity on the Gwongu(權榘)'s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1970년대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의 ‘양가성’ 연구 - 이문구, 조세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mbivalence Represented of 1970's Korean Novel - With a focus on Lee Moon-goo's, Cho Se-hee’s -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1970년대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의 ‘양가성’ 연구 - 이문구, 조세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mbivalence Represented of 1970's Korean Novel - With a focus on Lee Moon-goo's, Cho Se-hee’s -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기억의 철학적 성찰과 문화콘텐츠 연구-한국 근대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Memory’ -Focusing on the Time and the Space of Korean Modern Time-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기억의 철학적 성찰과 문화콘텐츠 연구-한국 근대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Memory’ -Focusing on the Time and the Space of Korean Modern Time-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옥에 반영된 구별의 질서와 그 교육적 작용에 대한 해석- 담과 울타리를 중심으로-

The order of separation reflec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education-

한국교육사학 | 34 | 2 | 2012 | 교육학

식민과 해방, 역사와 신화, 현실과 환상의 크레올 해항 도시 - 텍사코 Texaco에 나타난 문화교섭의 공간으로의 도시

Port maritime créole entre la colonisation et la libération, l'histoire et le mythe, le réel et le fantastique - la possibilité transculturelle à travers des réseaux spatiaux dans Texaco

한국프랑스학논집 | 69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식민과 해방, 역사와 신화, 현실과 환상의 크레올 해항 도시 - 텍사코 Texaco에 나타난 문화교섭의 공간으로의 도시

Port maritime créole entre la colonisation et la libération, l'histoire et le mythe, le réel et le fantastique - la possibilité transculturelle à travers des réseaux spatiaux dans Texaco

한국프랑스학논집 | 69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시나리오 하모니의 공간 구성 방법

The Space Organization in Harmony, a Movie Scenario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나리오 하모니의 공간 구성 방법

The Space Organization in Harmony, a Movie Scenario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스마트폰과 일반폰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패턴 비교

Analysis of Media Use of Smartphone Adopters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8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이정호의 『움직이는 벽』에 나타난 기억의 구성 방식

The Method of Organizing Memory Presented in 『The Moving Wall』 of Lee Jung-Ho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정호의 『움직이는 벽』에 나타난 기억의 구성 방식

The Method of Organizing Memory Presented in 『The Moving Wall』 of Lee Jung-Ho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 건축의 메타모포시스적 해석과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amorphic analysis and the expressive system in Contempory Architectur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1 | 2011 | 디자인

스릴러에서 블랙코미디로, 두 <하녀> 비교 연구

From a Thriller into a Black Comedy: a Comparative Study of an Original Film and the Remake Film

문학과 영상 | 12 | 2 | 2011 | 영상문학

해양공간과 네트워크: 독일한자Deutsche Hanse의 교류공간을 중심으로

Marine Space and Network: Focused on the Hanseatic Leaugue as a Network Space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上海 근대도시사 연구의 공간적 맥락

上海近代城市史研究的空间脉络

중국학보 | 63 | 2011 | 중국어와문학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Cross-sectional Space Expansion & Communicational Culture Activity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in Haui-do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주권–영토–경계: 역사의 공간적 차원

Sovereignty – Territory – Frontier: The spatial aspect of history

사림 | 35 | 2010 | 역사학

주권–영토–경계: 역사의 공간적 차원

Sovereignty – Territory – Frontier: The spatial aspect of history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시나리오 하모니의 공간 구성 방법

The Space Organization in Harmony, a Movie Scenario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나리오 하모니의 공간 구성 방법

The Space Organization in Harmony, a Movie Scenario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Bakhtin and Being Improvisational: The Case of a Korean ESL Child

바흐찐과 즉흥적 대화형 수업: 한국인 ESL 아동 사례 연구

인문학연구 | 40 | 2 | 2012 | 기타인문학

17~19세기 부산 왜관의 開市와 朝市

The Open Market and Morning Market of the Busan Waegwan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감성 메커니즘으로서의 ‘哀而不悲’ - 서정시의 계보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Aeibulbi as the sensitive mechan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Bakhtin and Being Improvisational: The Case of a Korean ESL Child

바흐찐과 즉흥적 대화형 수업: 한국인 ESL 아동 사례 연구

인문학연구 | 40 | 2 | 2012 | 기타인문학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현대 건축의 메타모포시스적 해석과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amorphic analysis and the expressive system in Contempory Architectur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1 | 2011 | 디자인

‘-良中’의 形成과 變遷過程에 대한 通時的 考察 -中世國語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良中’ in the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조에 나타난 신화 소재의 수용 양상과 의미 - 중국 신화를 중심으로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he acceptance of mythological materials in Sijo - Focused on Chinese mythology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산수시 연구

A Study of Jung, Ji-Yong's Landscape Poetry with A Focus on His Treatment of Time-Space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정지용 산수시 연구

A Study of Jung, Ji-Yong's Landscape Poetry with A Focus on His Treatment of Time-Space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해양공간과 네트워크: 독일한자Deutsche Hanse의 교류공간을 중심으로

Marine Space and Network: Focused on the Hanseatic Leaugue as a Network Space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Cross-sectional Space Expansion & Communicational Culture Activity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in Haui-do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장소의 기억을 자원으로 한 축제의 생산 -광주광역시 동구 ‘추억의 7080 충장축제’를 중심으로-

Production of festival to have called space memory to resources - In case of ‘7080 ChungJang festival of memory' -

민족문화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장소의 기억을 자원으로 한 축제의 생산 -광주광역시 동구 ‘추억의 7080 충장축제’를 중심으로-

Production of festival to have called space memory to resources - In case of ‘7080 ChungJang festival of memory' -

민족문화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17~19세기 부산 왜관의 開市와 朝市

The Open Market and Morning Market of the Busan Waegwan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기비쓰의 가마솥 점」에 나타난 공간의 여행 -기비 吉備에서 하리마 播磨로-

A Space travel presented in 'Kibitsu no Kama' -from Kibi to Harima-

외국문학연구 | 45 | 2012 | 문학

LED 기반 미디어 예술의 활용 및 표현 기법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xpression of LED-based Media Art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LED 기반 미디어 예술의 활용 및 표현 기법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xpression of LED-based Media Art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Topologie des Seins: M. Heideggers Raumtheorie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Topologie des Seins: M. Heideggers Raumtheorie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 내 창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Focusing on Windows and Doors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 내 창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Focusing on Windows and Doors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韓·中 왕가 주거 內 창호의 형상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운현궁과 공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indows & Doors of Dwelling of Royal Family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Ming·Qing Dynasty Period : Focusing on Windows & Doors of UnHyeongGung and GongWangBu

기초조형학연구 | 12 | 4 | 2011 | 예술일반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오스카 슐레머의 삼화음 발레에 나타한 조형적 특성이 현대 공연예술에 미친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Triadic Ballet by Oskar Schlemmer on Modern Performing Art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4 | 2010 | 디자인

오스카 슐레머의 삼화음 발레에 나타한 조형적 특성이 현대 공연예술에 미친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Triadic Ballet by Oskar Schlemmer on Modern Performing Art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4 | 2010 | 디자인

빛과 어둠의 대비와 통합에 나타난 공간의 지각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gnition and Perception of Space through Contrast and Integration of Light and Darknes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빛과 어둠의 대비와 통합에 나타난 공간의 지각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gnition and Perception of Space through Contrast and Integration of Light and Darknes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루마니아 발라드 「어린 양」과 민요 아리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llad Little Lamb (Mioriţa) and the Folk Song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춤 동작구조와 형상 분석을 위한 철학적 방법 - 음양·오행의 시·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韓國舞蹈的動作構造與形象分析的哲學性方法 ―以陰陽、五行的時、空間意義爲中心―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프로젝션 매핑을 이용한 오브젝트 및 공간 표현 연구

A study on Space and Object Expression using Projection Mapping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1 | 1 | 2011 | 디자인

루마니아 발라드 「어린 양」과 민요 아리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llad Little Lamb (Mioriţa) and the Folk Song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2008년 촛불집회시위의 공간성에 관한 고찰

Analysis on the Spaciality of the 2008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1990년대 이후 영국 노동당 정부의 로컬거버넌스 정책-헤게모니 문제와 시민참여민주주의 평가

Local Governance Policy of English Labour Party after 1990s: Estimating Hegemony and Citizen Participation Democracy

역사학연구 | 43 | 2011 | 역사학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의 시․공간적 특징과 알레고리 ―연작소설 『서편제』를 중심으로

Yi Chungjun novel's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llegory ―fiction series 'Sopyonje' by focusing 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소설에 나타난 ‘집’의 의미양상 고찰 -1990년 이후 작품 중심으로-

Discussion in the ‘house’ meant to give modern society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자본의 거리응원 공간 사유화: “Hyundai Fan Park 2010”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ivatization of Street Cheering Space by a Capital: A Case study of "Hyundai Fan Park 201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3 | 4 | 2010 | 체육

자본의 거리응원 공간 사유화: “Hyundai Fan Park 2010”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ivatization of Street Cheering Space by a Capital: A Case study of "Hyundai Fan Park 201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3 | 4 | 2010 | 체육

2008년 촛불집회시위의 공간성에 관한 고찰

Analysis on the Spaciality of the 2008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이청준 소설의 시․공간적 특징과 알레고리 ―연작소설 『서편제』를 중심으로

Yi Chungjun novel's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llegory ―fiction series 'Sopyonje' by focusing 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근대/전통’의 배치와 그 의미

The Arrangement and Meaning of ‘Modernity/Tradition’ in Kim Dong‒ri’s Novels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간 은유의 구조에 대한 한․중 비교 연구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spatial metaphors in Korean and Chinese focused on lexeme of ‘mind’

한국어 의미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Space Appeared in Hanyangga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1920년대 초중반 ‘거리(街)’의 문학적 표상화 과정 연구

A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Process of ‘Stre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Topologie des Seins: M. Heideggers Raumtheorie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Topologie des Seins: M. Heideggers Raumtheorie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공간 은유의 구조에 대한 한․중 비교 연구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spatial metaphors in Korean and Chinese focused on lexeme of ‘mind’

한국어 의미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Space Appeared in Hanyangga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근대/전통’의 배치와 그 의미

The Arrangement and Meaning of ‘Modernity/Tradition’ in Kim Dong‒ri’s Novels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중반 ‘거리(街)’의 문학적 표상화 과정 연구

A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Process of ‘Stre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두레의 기억과 공동체적 신명’의 정치성과 문화적 의미

Memories of Dure and community oriented Shinmyeong and It's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민속학연구 | 27 | 2010 | 역사학

두레의 기억과 공동체적 신명’의 정치성과 문화적 의미

Memories of Dure and community oriented Shinmyeong and It's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민속학연구 | | 27 | 2010 | 역사학

1990년대 이후 영국 노동당 정부의 로컬거버넌스 정책-헤게모니 문제와 시민참여민주주의 평가

Local Governance Policy of English Labour Party after 1990s: Estimating Hegemony and Citizen Participation Democracy

역사학연구 | 43 | 2011 | 역사학

자본의 거리응원 공간 사유화: “Hyundai Fan Park 2010”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ivatization of Street Cheering Space by a Capital: A Case study of "Hyundai Fan Park 201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3 | 4 | 2010 | 체육

자본의 거리응원 공간 사유화: “Hyundai Fan Park 2010”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ivatization of Street Cheering Space by a Capital: A Case study of "Hyundai Fan Park 201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3 | 4 | 2010 | 체육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 내 창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Focusing on Windows and Doors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 내 창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Focusing on Windows and Doors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LED 기반 미디어 예술의 활용 및 표현 기법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xpression of LED-based Media Art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LED 기반 미디어 예술의 활용 및 표현 기법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xpression of LED-based Media Art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빛과 어둠의 대비와 통합에 나타난 공간의 지각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gnition and Perception of Space through Contrast and Integration of Light and Darknes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빛과 어둠의 대비와 통합에 나타난 공간의 지각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gnition and Perception of Space through Contrast and Integration of Light and Darknes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오스카 슐레머의 삼화음 발레에 나타한 조형적 특성이 현대 공연예술에 미친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Triadic Ballet by Oskar Schlemmer on Modern Performing Art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4 | 2010 | 디자인

오스카 슐레머의 삼화음 발레에 나타한 조형적 특성이 현대 공연예술에 미친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Triadic Ballet by Oskar Schlemmer on Modern Performing Art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4 | 2010 | 디자인

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그 의미 - 집, 일터, 길의 공간 구조 및 인문지리학적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lessness and Meaning in Pyun, Hye-young's novels - Focusing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human geographical awareness of house, workplace, road -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우리 소설 속에 나타난 아파트 공간의 계보학

The genealogy studies of the apartment space that appeared in korean novels

어문론집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입체적 공간표현에 있어 섬유조형의 구성적 특징 연구

A Study of Space Expression Showing on Contemporary Fiber Plastic Arts

조형디자인연구 | 13 | 4 | 2010 | 공예

입체적 공간표현에 있어 섬유조형의 구성적 특징 연구

A Study of Space Expression Showing on Contemporary Fiber Plastic Arts

조형디자인연구 | 13 | 4 | 2010 | 공예

창의성 실현을 위한 어린이 도서관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library for the Realization of creative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6 | 2011 | 기타예술체육

이용악 시의 소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ounds Present in Lee Yong Ak's Poetry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투명성’을 지닌 현대도예 작품의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Sturdy on Expression of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with Transparency

기초조형학연구 | 13 | 2 | 2012 | 예술일반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 의 상상력

An imagination of a house o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中國文學理論에 나타난 ‘間의 소통’ 문제 고찰

The study of communication revealed in Chinese literary theory

중국인문과학 | 50 | 2012 | 중국어와문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 건축의 시간성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im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3 | 2011 | 디자인

현대소설에 나타난 ‘집’의 의미양상 고찰 -1990년 이후 작품 중심으로-

Discussion in the ‘house’ meant to give modern society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미디어 공간에서 인간과 예술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between Art and Human in Media Spac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7 | 1 | 2012 | 실내환경디자인

현대건축에 나타난 바이오미미크리의 생태적 공간 특성 연구

Study on Features of Ecological Space of Biomimicry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6 | 2011 | 디자인

애니메이션의 초현실주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데페이즈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rrealism Space Equipment of the Animation Focusing on the Dépaysement

애니메이션연구 | 6 | 2 | 2010 | 영화

애니메이션의 초현실주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데페이즈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rrealism Space Equipment of the Animation Focusing on the Dépaysement

애니메이션연구 | 6 | 2 | 2010 | 영화

빛과 공간 환경을 다룬 로버트 어윈의 초기 작업에 관한 연구

The Early Light and Space Environments of Robert Irwin

미술이론과 현장 | 0 | 9 | 2010 | 미술

빛과 공간 환경을 다룬 로버트 어윈의 초기 작업에 관한 연구

The Early Light and Space Environments of Robert Irwin

미술이론과 현장 | 0 | 9 | 2010 | 미술

身體與空間: 論向陽詩中記憶形式的生成與演變

Body and Space:Study for the Memory Form of Production and Development on Xiang Yang’s poems

한중언어문화연구 | 27 | 2011 | 중국어와문학

시나위 안무법에 관한 연구 -시간, 공간, 힘의 의미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Sinawi Choreography -focusing on the Meanings of Time, Space, Power

한국무용연구 | 29 | 1 | 2011 | 기타무용

「돌에 짓눌린 잡초(石にひしがれた雑草)」에 나타난 권력적 복수 양상

A study on aspects of revenge of Arisima Takeo's literary work, 'Ishinihisigaretazasso'

일본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입체적 공간표현에 있어 섬유조형의 구성적 특징 연구

A Study of Space Expression Showing on Contemporary Fiber Plastic Arts

조형디자인연구 | 13 | 4 | 2010 | 공예

입체적 공간표현에 있어 섬유조형의 구성적 특징 연구

A Study of Space Expression Showing on Contemporary Fiber Plastic Arts

조형디자인연구 | 13 | 4 | 2010 | 공예

현대적 조형매체로 적용된 레이스의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plasticity of lace and its application as an expressive medium

기초조형학연구 | 11 | 2 | 2010 | 예술일반

현대적 조형매체로 적용된 레이스의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plasticity of lace and its application as an expressive medium

기초조형학연구 | 11 | 2 | 2010 | 예술일반

인식(認識)의 현상학 -카시러(E. Cassirer)에게서 인식론과 문화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Cassirer’s Phenomenology of Knowledge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인식(認識)의 현상학 -카시러(E. Cassirer)에게서 인식론과 문화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Cassirer’s Phenomenology of Knowledge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Okyeondong- A liberating Space for Women in SukyeongNangjaJeon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현대 건축에 나타난 공간 개념의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s of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현대 건축에 나타난 공간 개념의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s of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러블리 본즈』가 지향하는 성장과 성숙

Aspects of Growth and Ripeness in the novel The Lovely Bones

동화와 번역 | 21 | 2011 | 아동문학

주권–영토–경계: 역사의 공간적 차원

Sovereignty – Territory – Frontier: The spatial aspect of history

사림 | 35 | 2010 | 역사학

주권–영토–경계: 역사의 공간적 차원

Sovereignty – Territory – Frontier: The spatial aspect of history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철학상담에 있어 침묵의 역할에 대하여

On Role of Silence in Philosophical Practice(Counseling)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공간과 시간의 결절 -르페브르와 베르그손-

L’entrecroisement de l’espace et le temps: Lefebvre et Bergs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46 | 2010 | 철학

공간과 시간의 결절 -르페브르와 베르그손-

L’entrecroisement de l’espace et le temps: Lefebvre et Bergs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6 | 2010 | 철학

하이데거에 있어서 ‘존재의 토폴로지’에 관하여

Über die Topologie des Seins bei M.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3 | 2010 | 서양철학

하이데거에 있어서 ‘존재의 토폴로지’에 관하여

Über die Topologie des Seins bei M.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 23 | 2010 | 서양철학

미시마 유키오「서커스(サーカス)」론-비극이 재현되는 공간-

A study of Mishima Yukio's Circus

일본근대학연구 | 33 | 2011 | 일본문화학

‘깃털 달린 인간’의 ‘변신’ 이야기 - ‘숨’의 생명미학을 통해서 본 디오니소스적 인간과 소크라테스적 인간

Metamorphose des ‘beflügelten’ Menschen - Nietzsche und Asiatische Lebensästhetik der ‘Atmung’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1919년 5~6월에 베이징인의 대사(大事)와 세고(細故): ‘공간’·‘생활’·‘사건’

May Fourth Movement both as a National Event and Personal Experience for Ordinary Beijing Citizens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인식(認識)의 현상학 -카시러(E. Cassirer)에게서 인식론과 문화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Cassirer’s Phenomenology of Knowledge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인식(認識)의 현상학 -카시러(E. Cassirer)에게서 인식론과 문화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Cassirer’s Phenomenology of Knowledge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알라 알디브 소설의 공간 -『레몬 꽃』을 중심으로

Space in Alaa al-Dib's Novel: with Special Reference to (Lemon Blossom)

아랍어와 아랍문학 | 14 | 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알라 알디브 소설의 공간 -『레몬 꽃』을 중심으로

Space in Alaa al-Dib's Novel: with Special Reference to (Lemon Blossom)

아랍어와 아랍문학 | 14 | 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유메노 규사쿠(夢野久作)의 「유리병 속 지옥(瓶詰地獄)」일고찰

夢野久作の 『瓶詰地獄』に関する一考察

日本學硏究 | 37 | 2012 | 일본어와문학

미시마 유키오「서커스(サーカス)」론-비극이 재현되는 공간-

A study of Mishima Yukio's Circus

일본근대학연구 | 33 | 2011 | 일본문화학

재료와 태도의 의미 확장을 통한 타이포그라피의 재인식

The New Understanding of Typography through the Extension of Materials and Attitudes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재료와 태도의 의미 확장을 통한 타이포그라피의 재인식

The New Understanding of Typography through the Extension of Materials and Attitudes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Okyeondong- A liberating Space for Women in SukyeongNangjaJeon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반도(半島)사관의 극복과제와 해륙(海陸)사관의 제언

Challenging tasks of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and proposals(implication) of ‘The land and the sea historical view'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빛과 공간 환경을 다룬 로버트 어윈의 초기 작업에 관한 연구

The Early Light and Space Environments of Robert Irwin

미술이론과 현장 | 0 | 9 | 2010 | 미술

빛과 공간 환경을 다룬 로버트 어윈의 초기 작업에 관한 연구

The Early Light and Space Environments of Robert Irwin

미술이론과 현장 | 0 | 9 | 2010 | 미술

TV 광고영상에 나타난 시공간적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ospatial Perce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TV 광고영상에 나타난 시공간적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ospatial Perce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돌에 짓눌린 잡초(石にひしがれた雑草)」에 나타난 권력적 복수 양상

A study on aspects of revenge of Arisima Takeo's literary work, 'Ishinihisigaretazasso'

일본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繪畵에서 나타난 ‘空間層次’의 美感特質에 對한 硏究

A Study on the Esthetic Sense Characteristic of ‘Spatial Gap’ in Painting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

착시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공간 레이아웃과 연출 - 독립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Creating Animation Layout and Space Using Visual Illusion - Focusing on Independent Animation Production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2 | 3 | 2012 | 디자인

부동산학에서 ‘토지(土地)’의 개념적 이해

Conceptual Consideration of Land at the Viewpoint of Real Estate Science

주거환경 | 8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부동산학에서 ‘토지(土地)’의 개념적 이해

Conceptual Consideration of Land at the Viewpoint of Real Estate Science

주거환경 | 8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부동산학에서 ‘토지(土地)’의 개념적 이해

Conceptual Consideration of Land at the Viewpoint of Real Estate Science

주거환경 | 8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부동산학에서 ‘토지(土地)’의 개념적 이해

Conceptual Consideration of Land at the Viewpoint of Real Estate Science

주거환경 | 8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문화학의 현황과 공간 패러다임

Die Entwicklung der Kulturwissenschaft(en) und das Paradigma des Raums

괴테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문화학의 현황과 공간 패러다임

Die Entwicklung der Kulturwissenschaft(en) und das Paradigma des Raums

괴테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가상 세계 진화 모델로서 소셜 미디어의 공간 특성 연구 -들뢰즈 가타리의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with the social media as a virtual world evolution: Based on space concept from Deleuze and Gattari

인문콘텐츠 | 21 | 2011 | 기타인문학

‘영원’에 대한 소설적 사유 - 현길언의 「숲 이야기」를 중심으로

Novelistic Thinking on Eternity in A Tale of Forest by Gil-Un Hyun

문학과 종교 | 16 | 1 | 2011 | 기타인문학

미디어 공간에서 인간과 예술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between Art and Human in Media Spac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7 | 1 | 2012 | 실내환경디자인

졸라의 소설 "나나 Nana"에 나타난, 여주인공 나나의 공간과 그 의미

L'Espace de Nana et sa signification dans Nana d'Émile Zola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졸라의 소설 "나나 Nana"에 나타난, 여주인공 나나의 공간과 그 의미

L'Espace de Nana et sa signification dans Nana d'Émile Zola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졸라의 『사랑의 한 페이지Une Page d'amour』와 『나나Nana』에 나타난 욕망의 공간

Espace du Désir dans Nana et Une Page d'Amour d'É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2010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사랑의 한 페이지Une Page d'amour』와 『나나Nana』에 나타난 욕망의 공간

Espace du Désir dans Nana et Une Page d'Amour d'É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 2010 | 프랑스문화학

맵핑: 개념의 시각화로서의 지도 연구

Mapping: a Study on Maps as Visualizing Concept

디자인학연구 | 24 | 4 | 2011 | 디자인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A Study on Method of Visual Image Representation in Decentralized Space

영화연구 | 50 | 2011 | 영화

표현주의적 관점에서 본 소설 「날개」 ― 독일 영화 「칼리가리박사의 밀실」과 비교를 중심으로

An Expressionistic Reading of Wing and The Cabinet of Dr. Caligari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표현주의적 관점에서 본 소설 「날개」 ― 독일 영화 「칼리가리박사의 밀실」과 비교를 중심으로

An Expressionistic Reading of Wing and The Cabinet of Dr. Caligari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요산과 향파 소설의 공간정치학 −산업화 시대 소설을 중심으로

Space politics of Kim Junghan and Lee juhong's novel

인문학논총 | 26 | 2011 | 기타인문학

재료와 태도의 의미 확장을 통한 타이포그라피의 재인식

The New Understanding of Typography through the Extension of Materials and Attitudes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재료와 태도의 의미 확장을 통한 타이포그라피의 재인식

The New Understanding of Typography through the Extension of Materials and Attitudes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시나위 안무법에 관한 연구 -시간, 공간, 힘의 의미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Sinawi Choreography -focusing on the Meanings of Time, Space, Power

한국무용연구 | 29 | 1 | 2011 | 기타무용

Flaubert의 Madame Bovary에 나타난 엠마와 창

Emma et la fenêtre dans Madame Bovary de Flaubert

불어불문학연구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Flaubert의 Madame Bovary에 나타난 엠마와 창

Emma et la fenêtre dans Madame Bovary de Flaubert

불어불문학연구 |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창의성 실현을 위한 어린이 도서관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library for the Realization of creative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6 | 2011 | 기타예술체육

애니메이션의 초현실주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데페이즈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rrealism Space Equipment of the Animation Focusing on the Dépaysement

애니메이션연구 | 6 | 2 | 2010 | 영화

애니메이션의 초현실주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데페이즈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rrealism Space Equipment of the Animation Focusing on the Dépaysement

애니메이션연구 | 6 | 2 | 2010 | 영화

알라 알디브 소설의 공간 -『레몬 꽃』을 중심으로

Space in Alaa al-Dib's Novel: with Special Reference to (Lemon Blossom)

아랍어와 아랍문학 | 14 | 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알라 알디브 소설의 공간 -『레몬 꽃』을 중심으로

Space in Alaa al-Dib's Novel: with Special Reference to (Lemon Blossom)

아랍어와 아랍문학 | 14 | 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현대 건축의 시간성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im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3 | 2011 | 디자인

1919년 5~6월에 베이징인의 대사(大事)와 세고(細故): ‘공간’·‘생활’·‘사건’

May Fourth Movement both as a National Event and Personal Experience for Ordinary Beijing Citizens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그 의미 - 집, 일터, 길의 공간 구조 및 인문지리학적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lessness and Meaning in Pyun, Hye-young's novels - Focusing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human geographical awareness of house, workplace, road -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표현주의적 관점에서 본 소설 「날개」 ― 독일 영화 「칼리가리박사의 밀실」과 비교를 중심으로

An Expressionistic Reading of Wing and The Cabinet of Dr. Caligari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표현주의적 관점에서 본 소설 「날개」 ― 독일 영화 「칼리가리박사의 밀실」과 비교를 중심으로

An Expressionistic Reading of Wing and The Cabinet of Dr. Caligari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영원’에 대한 소설적 사유 - 현길언의 「숲 이야기」를 중심으로

Novelistic Thinking on Eternity in A Tale of Forest by Gil-Un Hyun

문학과 종교 | 16 | 1 | 2011 | 기타인문학

TV 광고영상에 나타난 시공간적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ospatial Perce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TV 광고영상에 나타난 시공간적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ospatial Perce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 의 상상력

An imagination of a house o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옥에 반영된 구별의 질서와 그 교육적 작용에 대한 해석- 담과 울타리를 중심으로-

The order of separation reflec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education-

한국교육사학 | 34 | 2 | 2012 | 교육학

유메노 규사쿠(夢野久作)의 「유리병 속 지옥(瓶詰地獄)」일고찰

夢野久作の 『瓶詰地獄』に関する一考察

日本學硏究 | 37 | 2012 | 일본어와문학

현대건축에 나타난 바이오미미크리의 생태적 공간 특성 연구

Study on Features of Ecological Space of Biomimicry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6 | 2011 | 디자인

‘투명성’을 지닌 현대도예 작품의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Sturdy on Expression of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with Transparency

기초조형학연구 | 13 | 2 | 2012 | 예술일반

졸라의 Une page d'amour에 나타난 줄리엣의 공간 묘사와 엘렌의 시선

La Description de l'Espace de Juliette et le Regard d'Hélène dans Une Page d'Amour d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Une page d'amour에 나타난 줄리엣의 공간 묘사와 엘렌의 시선

La Description de l'Espace de Juliette et le Regard d'Hélène dans Une Page d'Amour d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 2010 | 프랑스문화학

이용악 시의 소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ounds Present in Lee Yong Ak's Poetry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의 현대적 변용 : 영화 「전우치」의 공간 읽기

Modern Modification of Classic: Understanding of Space in the movie of Jeon-woo-chi(田禹治)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피히테에 있어서 시간․공간의 발생론적 연역 - “개요”에서 칸트와의 방법론적 차이를 중심으로 -

Die genetische Deduktion von Raum und Zeit bei Fichte - als Mittelpunkt von Differenz mit Kant in “Grundriß”-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金鰲新話」의 작품 構成 原理와 만남의 變奏

Composition Principle of “Geumosinhwa” and Variation of Meet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통 주거에 나타난 한국인의 자연관과 그 교육적 의미 -텃제, 집짓기 재료의 선택과 가공을 중심으로-

The Korean view of nature reflected in traditional housing, and its educational meaning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日語讀本』과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에 나타난 공간 표현의 변화 考察

일본연구 | 14 | 2010 | 일본어와문학

『日語讀本』과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에 나타난 공간 표현의 변화 考察

일본연구 | | 14 | 2010 | 일본어와문학

체육수업 공간인 운동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understanding of the playground as a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교육인류학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체육수업 공간인 운동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understanding of the playground as a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교육인류학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20세기 초반 韓人의 上海 인식 ―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

Spatial Perception of Koreans Residents on Shanghai in the Early 20th Century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자연 공간에 대한 법의 말과 책임 - 4대강 재판을 중심으로 -

Law's speech and responsibility about natural space - Focusing on the trials of the four river project -

법학논고 | 36 | 2011 | 법학

au bout de의 다의성과 의미 전이: 공간에서 시간까지

Polysémie d'au bout de: de l'espace au temps

프랑스학연구 | 5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au bout de의 다의성과 의미 전이: 공간에서 시간까지

Polysémie d'au bout de: de l'espace au temps

프랑스학연구 | | 5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Space and Imagination in Sino-Korean Literature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Space and Imagination in Sino-Korean Literature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데이비드 하비의 지리학과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David Harvey's Geography and Space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한국학논집 | 42 | 2011 | 기타인문학

「金鰲新話」의 작품 構成 原理와 만남의 變奏

Composition Principle of “Geumosinhwa” and Variation of Meet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회주의 시기 베이징의 기억·공간·일상 :「 사나운짐승들」과「햇빛쏟아지던날들」을중심으로

社会主义时期北京的记忆·空间·日常 : 以「动物凶猛」,「阳光灿烂的日子」为中心

서강인문논총 | 27 | 2010 | 기타인문학

사회주의 시기 베이징의 기억·공간·일상 :「 사나운짐승들」과「햇빛쏟아지던날들」을중심으로

社会主义时期北京的记忆·空间·日常 : 以「动物凶猛」,「阳光灿烂的日子」为中心

서강인문논총 | | 27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도예의 움직임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Movement in the Contemporary Ceramic Art

조형디자인연구 | 14 | 1 | 2011 | 공예

희곡 교육 : 말, 몸, 공간의 상상

L'enseignement du texte dramatique : l'imagination des mots, des corps et de l'espace

프랑스어문교육 | 3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Shin Dong-Yeop’s Poetry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Utilisation de l'espace dans les dialogues de Voltaire

볼테르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적 배경’의 사용 : dialogue 장르를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2 | 2010 | 프랑스문화학

Utilisation de l'espace dans les dialogues de Voltaire

볼테르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적 배경’의 사용 : dialogue 장르를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2 | | 2010 | 프랑스문화학

기생 시조 ‘공간’의 體質詩學的 고찰

A Study of Constitutional Poetry on Kisaeng Shijos' Space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생 시조 ‘공간’의 體質詩學的 고찰

A Study of Constitutional Poetry on Kisaeng Shijos' Space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Modern Seoul’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Modern Seoul’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제주의 상징성 연구 - 토포스(topos)로서의 제주

A study on symbolism of Jeju island shown in novel written by Yun Dae-nyeo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元結의 山水記·銘에 나타난 자연공간과 장소

중국어문학논집 | 72 | 2012 | 중국어와문학

기생 시조 ‘공간’의 體質詩學的 고찰

A Study of Constitutional Poetry on Kisaeng Shijos' Space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생 시조 ‘공간’의 體質詩學的 고찰

A Study of Constitutional Poetry on Kisaeng Shijos' Space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각적 차원에 의한 건축 공간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Concept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Optical Dimens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시각적 차원에 의한 건축 공간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Concept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Optical Dimens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한국 현대시와 지리산-‘지리산’의 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Jiri-Mountain of the Korean Contemporary Poetry

배달말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배회하는 공간에서 삶의 공간으로 -박태순의 <낮에 나온 반달>에 나타난 공간 의식-

A Study on the Meanings of Spaces in Park Tae-Sun's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배회하는 공간에서 삶의 공간으로 -박태순의 <낮에 나온 반달>에 나타난 공간 의식-

A Study on the Meanings of Spaces in Park Tae-Sun'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문장편소설 공간 구성 고찰 - <임씨삼대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Feature-Length Korean Classical Novels with a Focus on LimSsiSamdaerok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몽유록의 공간들과 기억 - '역사적 공간'을 배경으로 선택한 작품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Memories and Spaces in Mongyurok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제주의 상징성 연구 - 토포스(topos)로서의 제주

A study on symbolism of Jeju island shown in novel written by Yun Dae-nyeo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Modern Seoul’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Modern Seoul’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강호시조에 나타난 ‘벗’의 유형과 공간성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panions' and the Characters of Spaces in Gang-ho Si-jo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강호시조에 나타난 ‘벗’의 유형과 공간성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panions' and the Characters of Spaces in Gang-ho Si-jo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시와 지리산-‘지리산’의 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Jiri-Mountain of the Korean Contemporary Poetry

배달말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문장편소설 공간 구성 고찰 - <임씨삼대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Feature-Length Korean Classical Novels with a Focus on LimSsiSamdaerok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Space and Imagination in Sino-Korean Literature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Space and Imagination in Sino-Korean Literature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월러스 스티븐스의 장소의식

Wallace Stevens’s Consciousness of Place

현대영미시연구 | 16 | 1 | 2010 | 영어와문학

월러스 스티븐스의 장소의식

Wallace Stevens’s Consciousness of Place

현대영미시연구 | 16 | 1 | 2010 | 영어와문학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공간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The Meaning and Aspect of Shaping Space in Ji-Won, Park’s Literature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통연행 공간의 생명미학

The Life-Aesthetics of Korea's Traditional Performing Space

민족미학 | 10 | 1 | 2011 | 미학일반

현대도예의 움직임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Movement in the Contemporary Ceramic Art

조형디자인연구 | 14 | 1 | 2011 | 공예

수잔-로리 팍스의 『비너스』: 공간과 시선의 권력을 중심으로

Power of Gaze and Space in Suzan-Lori Parks' THE VENUS

현대영미드라마 | 25 | 2 | 2012 | 현대영미희곡

Improvisational Teaching for Early Literacy Development: The Case of a Korean kindergartner

영어 조기 문식력 개발을 위한 즉흥적 수업의 사례 연구

영어영문학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장소의 재현과 서사전략: 키플링의 『킴』과 포스터의 『인도로 가는 길』

Representation of Place and Narrative Strategy: Rudyard Kipling's Kim and E.M. Forster's A Passage to India

현대영미소설 | 18 | 2 | 2011 | 영어와문학

몽유록의 공간들과 기억 - '역사적 공간'을 배경으로 선택한 작품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Memories and Spaces in Mongyurok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A Study on Spatial Representation in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화 <인셉션>의 공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of the Movie 'Inception'

영화연구 | 47 | 2011 | 영화

데이비드 하비의 지리학과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David Harvey's Geography and Space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한국학논집 | 42 | 2011 | 기타인문학

수잔-로리 팍스의 『비너스』: 공간과 시선의 권력을 중심으로

Power of Gaze and Space in Suzan-Lori Parks' THE VENUS

현대영미드라마 | 25 | 2 | 2012 | 현대영미희곡

장소의 재현과 서사전략: 키플링의 『킴』과 포스터의 『인도로 가는 길』

Representation of Place and Narrative Strategy: Rudyard Kipling's Kim and E.M. Forster's A Passage to India

현대영미소설 | 18 | 2 | 2011 | 영어와문학

월러스 스티븐스의 장소의식

Wallace Stevens’s Consciousness of Place

현대영미시연구 | 16 | 1 | 2010 | 영어와문학

월러스 스티븐스의 장소의식

Wallace Stevens’s Consciousness of Place

현대영미시연구 | 16 | 1 | 2010 | 영어와문학

현대미술로 표현된 시간연구 : 시각예술의 시간과 비디오 아트, 트릭필름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in the Contemporary Art

영상예술연구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현대미술로 표현된 시간연구 : 시각예술의 시간과 비디오 아트, 트릭필름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in the Contemporary Art

영상예술연구 |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현대 관광과 시공간 소비의 의미 변화 -시공간의 시장화, 상품화 현상 및 체험 소비의 인문학적 고찰-

The Meaning of Modern Tourism and Changes of Time-Space Consumption -Focusing on Development of Time-Space into Resource and Commodity and The Consumption of Personal Experience-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7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 관광과 시공간 소비의 의미 변화 -시공간의 시장화, 상품화 현상 및 체험 소비의 인문학적 고찰-

The Meaning of Modern Tourism and Changes of Time-Space Consumption -Focusing on Development of Time-Space into Resource and Commodity and The Consumption of Personal Experience-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 27 | 2010 | 기타인문학

시각적 차원에 의한 건축 공간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Concept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Optical Dimens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시각적 차원에 의한 건축 공간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Concept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Optical Dimens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5 | 2010 | 디자인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Shin Dong-Yeop’s Poetry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체육수업 공간인 운동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understanding of the playground as a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교육인류학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체육수업 공간인 운동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understanding of the playground as a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교육인류학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애니메이션의 공간 재현에 대한 연구 -화면의 깊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space in animation -focused on depth of shot-

영화연구 | 49 | 2011 | 영화

자연 공간에 대한 법의 말과 책임 - 4대강 재판을 중심으로 -

Law's speech and responsibility about natural space - Focusing on the trials of the four river project -

법학논고 | 36 | 2011 | 법학

요산과 향파 소설의 공간정치학 −산업화 시대 소설을 중심으로

Space politics of Kim Junghan and Lee juhong's novel

인문학논총 | 26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A Study on Spatial Representation in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릴케의 공간의 시학

The Poetics of Space by Rilke

외국문학연구 | 47 | 2012 | 문학

연설의 근대적 서사화 가능성 ―연설체의 서사적 특질을 중심으로

Speech Embraced in Modern Narratives : Focusing on the Oratorical Narrative

현대문학이론연구 | 48 | 2012 | 문학이론

20세기 초반 韓人의 上海 인식 ―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

Spatial Perception of Koreans Residents on Shanghai in the Early 20th Century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공간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The Meaning and Aspect of Shaping Space in Ji-Won, Park’s Literature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공간의 자본화와 장소상실: 지아장커의 <소무>, <세계>, 그리고 <스틸라이프>

The Capitalization of Space and Its Placelessness in Jia Zhangke’s Pickpocket, The World, and Still Life

문학과 영상 | 12 | 2 | 2011 | 영상문학

정지용 후기시의 장소성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현대문학이론연구 | 46 | 2011 | 문학이론

공간의 자본화와 장소상실: 지아장커의 <소무>, <세계>, 그리고 <스틸라이프>

The Capitalization of Space and Its Placelessness in Jia Zhangke’s Pickpocket, The World, and Still Life

문학과 영상 | 12 | 2 | 2011 | 영상문학

고전의 현대적 변용 : 영화 「전우치」의 공간 읽기

Modern Modification of Classic: Understanding of Space in the movie of Jeon-woo-chi(田禹治)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The 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of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The 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of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행정조직 경쟁력제고를 위한 공간개념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applying the concept of ‘space’ to the study of public organization for the government competitiveness enhancement

한국조직학회보 | 9 | 2 | 2012 | 행정조직/관리

실존론적-존재론적 공간사유- 하이데거의 공간사유를 중심으로 -

M. Heideggers Raumsdenken

철학연구 | 114 | 2010 | 철학

실존론적-존재론적 공간사유- 하이데거의 공간사유를 중심으로 -

M. Heideggers Raumsdenken

철학연구 | 114 | | 2010 | 철학

Perspectives of Seeing the Interactions among Space, People, and Society

공간, 사람,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Perspectives of Seeing the Interactions among Space, People, and Society

공간, 사람,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도시 공간 속의 촌락: 중계본동 ‘104마을’ 서민경관의 퇴락

Dereliction of the Ordinary Landscape of 104 Urban Village in Joonggye-Dong, Nowon-Gu

문화역사지리 | 24 | 1 | 2012 | 인문지리학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조선일보의 1960년대, 1980년대, 2005년 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Cheong-gye-cheon & in Media Discourse: Based on Media Discourse During 1960s, 1980s, and 2005 in Each Period

한국언론정보학보 | 51 | 3 | 2010 | 신문방송학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조선일보의 1960년대, 1980년대, 2005년 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Cheong-gye-cheon & in Media Discourse: Based on Media Discourse During 1960s, 1980s, and 2005 in Each Period

한국언론정보학보 | 51 | 3 | 2010 | 신문방송학

Perspectives of Seeing the Interactions among Space, People, and Society

공간, 사람,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Perspectives of Seeing the Interactions among Space, People, and Society

공간, 사람,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한국인 학습자를 고려한 불어 전치사 à의 접근 -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Une approche de la préposition à et ses expressions spatiales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공간과 장소를 통해서 본 어업공동체 ―임자도 전장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Space and Place in a Fishing Community-A Case Study at Jeonjangpo, Imjado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과 장소를 통해서 본 어업공동체 ―임자도 전장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Space and Place in a Fishing Community-A Case Study at Jeonjangpo, Imjado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眠れる美女」の<空間>論― 主人公「江口」の身体と感覚世界を手がかりに ―

Proxemics of

일본학보 | 82 | 2010 | 일본어와문학

「眠れる美女」の<空間>論― 主人公「江口」の身体と感覚世界を手がかりに ―

Proxemics of

일본학보 | | 82 | 2010 | 일본어와문학

항해 홍길주의 공간 설계와 장자

Hanghae Hong Gilju’s Space Design and Zhuangzi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항해 홍길주의 공간 설계와 장자

Hanghae Hong Gilju’s Space Design and Zhuangzi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컨버전스의 공간 -아날로그 컨버전스와 디지털 컨버전스

Raum der convergence -analoge convergence und digitale convergence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공공 미술을 통한 공공 공간의 확장

Expansion of Public Space through Public Art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공공 미술을 통한 공공 공간의 확장

Expansion of Public Space through Public Art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개념을 적용한 벤치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Bench Design Applied the Concept of Space

한국가구학회지 | 23 | 1 | 2012 | 생활/실내디자인

현대 주거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의 인간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hropological Meaning of Apartment as Modern Living Space

환경철학 | 11 | 2011 | 과학/자연철학

심리적 공간구조의 연장적 결합원리 연구 - 화이트헤드의 연장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Extensive Connection in Psychological and Spatial Structure - Focused on the Extension Theory of Alfred North Whitehead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6 | 2011 | 디자인

표현에서 나타난 무브망 중요성연구 - 마숑과 자우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Expression Shown in Mouvement - Focused on Masson, ZaWooki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7 | 2011 | 정보디자인

공간과 영토의 미학적 변용과 문화 콘텐츠 - 프로젝트 제안과 함께 -

Une Variation esthétique sur l’espace/le territoire et les contenus culturelsavec la proposition du projet: dans le domaine de l’art publique

인문콘텐츠 | 25 | 2012 | 기타인문학

National? Transnational oder transterritorial? Berlinbilder in koreanischen Romanen

민족주의? 탈민족주의? 탈영토주의?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베를린상

독일어문화권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행정조직 경쟁력제고를 위한 공간개념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applying the concept of ‘space’ to the study of public organization for the government competitiveness enhancement

한국조직학회보 | 9 | 2 | 2012 | 행정조직/관리

르페브르의 공간 및 도시공간 이론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al Comment on the Lefébvre’s Theory of the Space and the Urban Space focused on his Production of Space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Emily Dickinson’s Poetics of Space

영어영문학연구 | 36 | 3 | 2010 | 영어와문학

Emily Dickinson’s Poetics of Space

영어영문학연구 | 36 | 3 | 2010 | 영어와문학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in Modern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in Modern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공간적 통제와 감시의 대상인 파멜라

Pamela as an Object for Spatial Control and Gaze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적 통제와 감시의 대상인 파멜라

Pamela as an Object for Spatial Control and Gaze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서양 중세의 공간 개념- 장소에서 공간으로

Concepts of Space in the Medieval Ag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서양 중세의 공간 개념- 장소에서 공간으로

Concepts of Space in the Medieval Ag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조선일보의 1960년대, 1980년대, 2005년 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Cheong-gye-cheon & in Media Discourse: Based on Media Discourse During 1960s, 1980s, and 2005 in Each Period

한국언론정보학보 | 51 | 3 | 2010 | 신문방송학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조선일보의 1960년대, 1980년대, 2005년 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Cheong-gye-cheon & in Media Discourse: Based on Media Discourse During 1960s, 1980s, and 2005 in Each Period

한국언론정보학보 | 51 | 3 | 2010 | 신문방송학

고암 이응노 회화에 나타난 공간 운동론

Space Movement Theory Appearing in Lee Eung-no's Paintings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고암 이응노 회화에 나타난 공간 운동론

Space Movement Theory Appearing in Lee Eung-no's Paintings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공간의 시학 - 후버르트 피히테의 『교수형 받은 자들의 광장』과 파울 뷔어의 『잘못된 책』을 중심으로

Poetik des Raumes - Platz des Gehenkten von Hubert Fichte und Das falsche Buch von Paul Wühr

헤세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공간의 확장세(擴張勢)로서 가변적 형태에 의한 공간형성의 유의미성

The Meaningfulness of a Space Formation by Variable Forms as an Expansion of Space

기초조형학연구 | 12 | 2 | 2011 | 예술일반

루버기능을 강조한 조명디자인 연구

Emphasis on Features of Louver Lighting Design

조형디자인연구 | 14 | 2 | 2011 | 공예

미술교육 공간 개념의 재탐색 - 듀이의 미학에 기초하여 -

Redefining Concept of Art Educational Space: based on Dewey's Aesthetics

조형교육 | 42 | 2012 | 미술교육

음악 안의 공간, 공간 안의 음악 - 근대 이전과 근대의 음악과 공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스케치

A Historical Sket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pace : Pre-Modern, and Modern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음악 안의 공간, 공간 안의 음악 - 근대 이전과 근대의 음악과 공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스케치

A Historical Sket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pace : Pre-Modern, and Modern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뉴미디어를 통한 장소의 공간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뉴미디어를 통한 장소의 공간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마당극 공간의 구조 및 수행성 연구 -<언젠가 봄날에>와 <삼팔선 놀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for Madang Theater and Performativity -Centering on and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표현에서 나타난 무브망 중요성연구 - 마숑과 자우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Expression Shown in Mouvement - Focused on Masson, ZaWooki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7 | 2011 | 정보디자인

심리적 공간구조의 연장적 결합원리 연구 - 화이트헤드의 연장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Extensive Connection in Psychological and Spatial Structure - Focused on the Extension Theory of Alfred North Whitehead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6 | 2011 | 디자인

중세 여성의 공간과 정체성

Space and gender in the Medieval England nunneries

서양중세사연구 | 29 | 2012 | 역사학

<스카이 크롤러>를 통해 본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현대세계’ 재현과 인식

Director Oshii Mamoru's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Modern World Shown in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7 | 2012 | 예술일반

음악 안의 공간, 공간 안의 음악 - 근대 이전과 근대의 음악과 공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스케치

A Historical Sket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pace : Pre-Modern, and Modern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음악 안의 공간, 공간 안의 음악 - 근대 이전과 근대의 음악과 공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스케치

A Historical Sket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pace : Pre-Modern, and Modern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현대음악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다양성

Various Dimensions of ‘Space’ in Contemporary Music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현대음악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다양성

Various Dimensions of ‘Space’ in Contemporary Music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현대 주거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의 인간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hropological Meaning of Apartment as Modern Living Space

환경철학 | 11 | 2011 | 과학/자연철학

마당극 공간의 구조 및 수행성 연구 -<언젠가 봄날에>와 <삼팔선 놀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for Madang Theater and Performativity -Centering on and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독립 투쟁 소재의 극예술에 나타난 주제의식 연구 -박노아의 희곡 <선구자>와 전창근의 시나리오 <자유만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me of Dramas about Struggle for Independence in just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focussing on of Park, no-ah and of Chun, chang-geun-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in Modern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in Modern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그림책의 은유와 환상성 연구

Metaphor and Fantasy in Picture Book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양 중세의 공간 개념- 장소에서 공간으로

Concepts of Space in the Medieval Ag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서양 중세의 공간 개념- 장소에서 공간으로

Concepts of Space in the Medieval Ag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

The space and the place o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암 이응노 회화에 나타난 공간 운동론

Space Movement Theory Appearing in Lee Eung-no's Paintings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고암 이응노 회화에 나타난 공간 운동론

Space Movement Theory Appearing in Lee Eung-no's Paintings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항해 홍길주의 공간 설계와 장자

Hanghae Hong Gilju’s Space Design and Zhuangzi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항해 홍길주의 공간 설계와 장자

Hanghae Hong Gilju’s Space Design and Zhuangzi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

The space and the place o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간의 의미 부각과 현대성의 위기 - 체계이론의 공간 논의를 통한 고찰

Emerging Sense of Space and the Crisis of Modernity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공간의 의미 부각과 현대성의 위기 - 체계이론의 공간 논의를 통한 고찰

Emerging Sense of Space and the Crisis of Modernity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공간의 확장세(擴張勢)로서 가변적 형태에 의한 공간형성의 유의미성

The Meaningfulness of a Space Formation by Variable Forms as an Expansion of Space

기초조형학연구 | 12 | 2 | 2011 | 예술일반

<스카이 크롤러>를 통해 본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현대세계’ 재현과 인식

Director Oshii Mamoru's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Modern World Shown in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7 | 2012 | 예술일반

<스카이 크롤러>를 통해 본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현대세계’ 재현과 인식

Director Oshii Mamoru's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Modern World Shown in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7 | 2012 | 예술일반

미술교육 공간 개념의 재탐색 - 듀이의 미학에 기초하여 -

Redefining Concept of Art Educational Space: based on Dewey's Aesthetics

조형교육 | 42 | 2012 | 미술교육

루버기능을 강조한 조명디자인 연구

Emphasis on Features of Louver Lighting Design

조형디자인연구 | 14 | 2 | 2011 | 공예

삶의 중심으로서의 집과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as Haus als das Mitte des Lebens und seine philosophische Bedeutung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삶의 중심으로서의 집과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as Haus als das Mitte des Lebens und seine philosophische Bedeutung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공공 미술을 통한 공공 공간의 확장

Expansion of Public Space through Public Art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공공 미술을 통한 공공 공간의 확장

Expansion of Public Space through Public Art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의 의미 부각과 현대성의 위기 - 체계이론의 공간 논의를 통한 고찰

Emerging Sense of Space and the Crisis of Modernity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공간의 의미 부각과 현대성의 위기 - 체계이론의 공간 논의를 통한 고찰

Emerging Sense of Space and the Crisis of Modernity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해방기 독립 투쟁 소재의 극예술에 나타난 주제의식 연구 -박노아의 희곡 <선구자>와 전창근의 시나리오 <자유만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me of Dramas about Struggle for Independence in just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focussing on of Park, no-ah and of Chun, chang-geun-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세 여성의 공간과 정체성

Space and gender in the Medieval England nunneries

서양중세사연구 | 29 | 2012 | 역사학

현대음악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다양성

Various Dimensions of ‘Space’ in Contemporary Music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현대음악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다양성

Various Dimensions of ‘Space’ in Contemporary Music

音.樂.學 | 18 | 1 | 2010 | 기타음악학

뉴미디어를 통한 장소의 공간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뉴미디어를 통한 장소의 공간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공간과 장소를 통해서 본 어업공동체 ―임자도 전장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Space and Place in a Fishing Community-A Case Study at Jeonjangpo, Imjado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과 장소를 통해서 본 어업공동체 ―임자도 전장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Space and Place in a Fishing Community-A Case Study at Jeonjangpo, Imjado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과 영토의 미학적 변용과 문화 콘텐츠 - 프로젝트 제안과 함께 -

Une Variation esthétique sur l’espace/le territoire et les contenus culturelsavec la proposition du projet: dans le domaine de l’art publique

인문콘텐츠 | 25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