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공간

연구분야 : B1207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행정/경영학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741

한자 : 敎育空間
영어 : educational space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 공간 공간

공간 () [ 空間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복합 문화 공간 () [ 複合文化空間 ]

N1:종류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교실 [ 敎室 ]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학습 공간 () [ 學習空間 ]

‘온돌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에 관한 시론(試論)

A Theory of Poetry on the Persistence and Acculturation of the Traditions of Ondol(Underfloor Heating) Culture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온돌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에 관한 시론(試論)

A Theory of Poetry on the Persistence and Acculturation of the Traditions of Ondol(Underfloor Heating) Culture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 교육공간으로서의 자연

Nature, the Educational Space of Hwarangdo

교육사상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 교육공간으로서의 자연

Nature, the Educational Space of Hwarangdo

교육사상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근대적 교육공간의 성격과 한국의 근대학교

Educational Space and the Korean Modern Schools

한국교육학연구 | 16 | 1 | 2010 | 교육학

근대적 교육공간의 성격과 한국의 근대학교

Educational Space and the Korean Modern Schools

한국교육학연구 | 16 | 1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