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 학습

연구분야 : B1203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977

STNet ID : 1001521

한자 : 體驗學習
영어 : experiential learning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현장 체험 학습 [ 現場 體驗 學習 ]

UF (비우선어)

 

 

현장 학습 [ 現場 學習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학습 활동 () [ 學習活動 ]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현장 교육 () [ 現場教育 ]

isKindOf (상위 유형)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현장 견학  () [ 現場見學 ]

N1:종류

hasKind (종류)

 

 

실습창작활동

hasKind (종류)

 

 

견학관람활동

hasKind (종류)

 

 

발견탐구활동

hasKind (종류)

 

 

참여관찰활동

hasKind (종류)

 

 

도농 교류 생태 체험 학습 [ 都農交流生態體驗學習 ]

R1:개념적

RT (관련어)

 

 

현장 체험 [ 現場體驗 ]

RT (관련어)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a02-02 교육기관 /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어린이 박물관 [ --博物館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청소년 관광 () [ 靑少年觀光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대안 교육 [ 代案敎育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미술관 교육 () [ 美術館敎育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체험 활동 [ 體驗活動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체험 () [ 體驗 ]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외 지도 [ 校外指導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대안적 교육과정 [ 代案的敎育課程 ]

세계지질공원 제주도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초등과학 지역 자료 개발

The Development of Local Materials in Elementary Science about Stratum and Sedimentary Rock at Jeju Global Geoparks

교원교육 | 28 | 3 | 2012 | 교육학

경복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의미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Applying Kyungbok Palace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경복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의미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Applying Kyungbok Palace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제주도 오름 체험 학습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Schoolchild's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 Through the Experience Learning in Jeju Oreum

교원교육 | 27 | 3 | 2011 | 교육학

한국메세나협의회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례 -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한 미술교육 -

A Study on the Cases of Supporting Cultural Arts Education by KBCA

미술교육연구논총 | 30 | 0 | 2011 | 예술교육학

실과 체험학습의 의미, 이점, 원리 탐색

Exploring on Meaning, Advantages and Principles of Learning by Direct Experienc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실과교육연구 | 18 | 3 | 2012 | 교육학

비교론적 고찰을 통한 한국형 영어마을의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English-village Model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1 | 2011 | 행정학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Improving Creativity through Art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a Culturally Isolated Region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Improving Creativity through Art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a Culturally Isolated Region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사회과 야외 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 연구

The Study of Students'Attitudes for the Fieldwork of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 | 50 | 4 | 2011 | 교육학

초등부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고궁박물관 체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of National Palace Museum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시각장애연구 | 27 | 3 | 2011 | 특수교육

학생 제작 UCC를 통한 초등학교 사회과(역사영역)의 체험학습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experience lear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subject (history area) through UCC produced by students

역사교육논집 | 48 | 2012 | 역사학

백문이 불여일체(百聞而不如一體): 대학생의 노인생애체험학습을 통한 노인과 노화의 이해 및 연령차별주의에 대한 자기반성에 관한 연구

Experiencing is a better way to learn: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Aging and Self-examination on Ageism Through Aging Simulation Among College Students

사회과학연구 | 27 | 3 | 2011 | 기타사회과학

탈북학생이 고등학교 학생의 통일의식에 미친 영향 분석

An Empirical Research on Role of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 make North Korea born student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to comprehend unification of both Koreas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탈북학생이 고등학교 학생의 통일의식에 미친 영향 분석

An Empirical Research on Role of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 make North Korea born student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to comprehend unification of both Koreas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