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력

연구분야 : B1206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심리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057

STNet ID : 1001526

한자 : 思考力
영어 : thinking power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고 능력 [ 思考能力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과학적 사고 능력 [ 科學的思考能力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고등사고력 [ 高等思考力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사고 과정 [ 思考過程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뇌 교육 () [ 腦敎育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이해중심 교육과정 () [ 理解中心敎育課程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학습 능력 [ 學習能力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언어 영재성 () [ 言語英才性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오성 [ 悟性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창의성 () [ 創意性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논술 [ 論述 ]

RT (관련어)

 

e02-02 패턴 패턴

사고 방식 () [ 思考方式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지능 [ 知能 ]

다문화 소설에 형상화된 유목적 존재들의 삶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The Novel Teach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the Life of Nomadic Being Figured in the Multi-Cultural Novel

독서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휘 교육의 이론과 실제

A Study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exical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2 | 2011 | 국어교육

정교화 교수설계에 의한 과학적 논증 활동의 교수학습 효과

Effects of the Elaboration Theory on an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of Argumentation Activities

교육공학연구 | 26 | 2 | 2010 | 교육학

정교화 교수설계에 의한 과학적 논증 활동의 교수학습 효과

Effects of the Elaboration Theory on an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of Argumentation Activities

교육공학연구 | 26 | 2 | 2010 | 교육학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창의성 및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grated Teaching Method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한국영유아보육학 | 62 | 2010 | 사회복지학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창의성 및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grated Teaching Method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한국영유아보육학 | | 62 | 2010 | 사회복지학

유아 뇌교육 및 뉴로피드백 훈련이 사고력과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in Education and Neuro-feedback Training on Thinking Abil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생태유아교육연구 | 11 | 1 | 2012 | 유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