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육 과정

연구분야 : B121102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초등교육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사회제도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975

STNet ID : 1001576

한자 : 初等敎育課程
영어 : elementary curriculum

d02-01 사회제도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교육 [ 初等敎育 ]

RT (관련어)

 

E02 모형/기준 모형/기준

초등교육 목적 () [ 初等敎育目的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초등교육 내용 [ 初等敎育內容 ]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초등 신규 교사 [ 初等新規敎師 ]

어린이의 행복과 자유를 위한 초등교육과정 - 루소의 '에밀'에 기초한 탐색 -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s Happiness and Freedom Based on Rousseau’s Emile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어린이의 행복과 자유를 위한 초등교육과정 - 루소의 '에밀'에 기초한 탐색 -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s Happiness and Freedom Based on Rousseau’s Emile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초등로봇교육 프로그램

The Robo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choolwide Enrichment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 15 | 5 | 2012 | 교육학

초등교육과정 실행 수준에서 본 ‘통합’

Meaning of Integr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초등교육과정 실행 수준에서 본 ‘통합’

Meaning of Integr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영국의 초등교육과정 개혁 논쟁:국가교육과정의 내용 및 처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A review on debate about primary curriculum reform in England: Focusing on discourse about reducing content and prescrip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9 | 1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