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육

연구분야 : B121102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초등교육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948

STNet ID : 1000899

한자 : 初等敎育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초등 학교 교육 [ 初等學校敎育 ]

UF (비우선어)

 

 

보통 교육 [ 普通敎育 ]

UF (비우선어)

 

 

아동 교육 () [ 兒童敎育 ]

UF (비우선어)

 

 

국민 학교 교육 [ 國民學校敎育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학교 교육 [ 學校敎育 ]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의무 교육 [ 義務敎育 ]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기초 교육 () [ 基礎敎育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음악 교육 () [ 初等音樂敎育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초등 한자 [ 初等漢字 ]

hasKind (종류)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초등 수학 [ 初等數學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 초등 교육 [ 韓國初等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국어 교육 () [ 初等國語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과학 교육 [ 初等科學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도덕 교육 () [ 初等道德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체육 [ 初等體育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 특성(성질) 특성(성질)

[R] 초등교육 본질 () [ 初等敎育本質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 모형/기준 모형/기준

초등교육 목적 () [ 初等敎育目的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초등교육 내용 [ 初等敎育內容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x03-01 기원/유래/파생 기원/유래/파생

초등 교육 기원 () [ 初等敎育起源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초등 교육 과정 [ 初等敎育課程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초등 교육사 [ 初等敎育史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초등학교 교육평가체제 [ 初等學校 敎育評價體制 ]

RT_X (관련어►)

관련 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초중등 교육법 [ 初中等敎育法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중등 교육 [ 中等敎育 ]

일제 강점 말기 황국신민교육과 학교 경영

The Japanese Imperial Education of the Joseon People to Turn them into “Loyal Citizens of the Japanese Empire”, as well as the Japanese School Managements which Reflected that Objective, during the Final Years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역사교육 | 122 | 2012 | 역사학

특별활동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은유 분석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metaphor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교육과정연구 | 29 | 1 | 2011 | 교육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의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 of Practical Arts Textbook Developmen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교육연구 | 51 | 2011 | 교과교육학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Team teaching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Partnership for Public Art Lessons among the Art Educator, the Artist, and the Classroom Teacher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Team teaching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Partnership for Public Art Lessons among the Art Educator, the Artist, and the Classroom Teacher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특성 탐색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Promoting Student's Creativity in School Classrooms

교육방법연구 | 23 | 3 | 2011 | 교육학

초등·중학생의 시간관이 인터넷과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ime Perspective on the Internet and Mobile Phone Addiction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15 | 3 | 2011 | 컴퓨터교육학

한ㆍ미 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학생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n Elementary Education of Korean and USA

통합교육과정연구 | 5 | 1 | 2011 | 교육학

다산 정약용의 초등교육사상 연구

A study on Tasan Jeong Yack-Yong’s thoughts regarding elementary education

교육종합연구 | 9 | 3 | 2011 | 교육학

Language and Literacy-and their Limits-in Children’s Learning and Living: Reflections on Early Education and Childhood

어린이의 배움과 삶에서 언어와 문해능력 및 그 한계점들: 초등교육과 아동기에 대한 성찰

교육철학연구 | 34 | 1 | 2012 | 교육학

대학의 다문화이해 강좌 인식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Consciousness of Chair 'Understanding Multiculture' at the University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대학의 다문화이해 강좌 인식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Consciousness of Chair 'Understanding Multiculture' at the University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초등 디자인 조기교육의 프로그램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Early Design Education Programs for Primary Educatio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1 | 1 | 2012 | 기타디자인

Preparing Bilingual Pre-Service Teachers for Bilingual Students in the US

언어과학 | 18 | 1 | 2011 | 언어학

초등 영어체험교실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모색

An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nglish Experience Centers in Elementary Schools

영어영문학연구 | 52 | 2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 영어체험교실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모색

An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nglish Experience Centers in Elementary Schools

영어영문학연구 | 52 | 2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제자리 찾기

Finding the Right Place for Da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2 | 2012 | 체육

초등교사를 위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디자인교육지도안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Edutain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국디자인포럼 | 27 | 2010 | 디자인

초등교사를 위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디자인교육지도안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Edutain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국디자인포럼 | | 27 | 2010 | 디자인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for International Standards

한국교육 | 37 | 2 | 2010 | 교육학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for International Standards

한국교육 | 37 | 2 | 2010 | 교육학

일제시대 교육과정 제시 체계와 초등 교육과정의 변천

日帝時代における敎育課程の提示體系と初等敎育課程の變遷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일제시대 교육과정 제시 체계와 초등 교육과정의 변천

日帝時代における敎育課程の提示體系と初等敎育課程の變遷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Rethinking Childhood: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s Crossroad of Gazes and Subjectivities

아동기에 대한 재고: 응시와 주관성의 교차로서의 시각문화교육

미술과 교육 | 12 | 1 | 2011 | 미술이론

다층적 교육과정 협의회가 만들어낸 프로젝트 기반 통합교육과정: 한 초등학교 실행연구

Implementing Project Approach in a Primary School: Multi-layered Teacher Conferences as a Key Solution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upon Children's Interest

통합교육과정연구 | 6 | 1 | 2012 | 교육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 of ‘Real Life'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uni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36 | 2 | 2011 | 실업교육학

식민지기 조선인 초등교육 확대의 통계적 분석

The Rise of Public Primary Schooling in Colonial Korea

경제사학 | 52 | 2012 | 경제학

초등 음악과교육의 최근 실태와 문제점

A Recent Trend and Related Problems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초등 음악과교육의 최근 실태와 문제점

A Recent Trend and Related Problems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2007 초등 검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2007 Qualified Elementary Music Textbook

국악교육 | 31 | 31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현행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의 문제점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vision of elementary music textbook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현행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의 문제점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vision of elementary music textbook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도덕․윤리과 교육의 초․중등 연계 방안 모색 -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중심으로

A Exploring about Connecting Polic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32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윤리과 교육의 초․중등 연계 방안 모색 -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중심으로

A Exploring about Connecting Polic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 32 | 2010 | 윤리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