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수학저성취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측정’영역에서의 특성 비교
Analysis and Comparison on measurement Characteristic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Mathematics Difficultie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4 |
2011 |
교육학
디지털교과서를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설계 원리 개발: 6학년 수학 분수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ognitive scaffolding design principles for digital textbook: Focused on the Fraction of the 6th grade Mathematics
교육방법연구 |
23 |
1 |
2011 |
교육학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Mathematical Pedag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the U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
3 |
2011 |
교육학
겉넓이 학습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서 나타난 추상화 과정 및 겉넓이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bstraction and Understandings in Children's Learning of Surface Area with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4 |
1 |
2011 |
교육학
한국과 미국의 초등수학 서술형 평가의 제도 및 문항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System and Problems of Descriptive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Between Korea and U.S.A.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5 |
2 |
2012 |
교육학
초등 수학교과서의 삼각형의 개념에 대한 예 공간의 분석
An Analysis on the Example Spaces of the Concepts of Triangles in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1 |
2010 |
교육학
초등 수학교과서의 삼각형의 개념에 대한 예 공간의 분석
An Analysis on the Example Spaces of the Concepts of Triangles in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1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for Response-To-Intervention(RTI) Implementation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for Response-To-Intervention(RTI) Implementation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분수의 사칙 연산이 적용되는 문장제 해결의 장애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Obstacles in Solving the Word Problems Related to Fractions
한국초등교육 |
20 |
2 |
2010 |
기타교육학
분수의 사칙 연산이 적용되는 문장제 해결의 장애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Obstacles in Solving the Word Problems Related to Fractions
한국초등교육 |
20 |
2 |
2010 |
기타교육학
양변 연산식에서 문제풀이전략 유형과 학생들의 등호개념 발달 연구: 정답반응은 등호의 관계적 개념을 뜻하는가?
Analysis of children's two sides of equivalence problems solv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equality: Does a correct response imply the relational concept of equal sig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과교육학
양변 연산식에서 문제풀이전략 유형과 학생들의 등호개념 발달 연구: 정답반응은 등호의 관계적 개념을 뜻하는가?
Analysis of children's two sides of equivalence problems solv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equality: Does a correct response imply the relational concept of equal sig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과교육학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 분석과 인식
Prospective Teachers' Analysis and Concep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
2 |
2011 |
교육학
초등 수학 및 과학과에서의 창의적 수업 - 모형화의 기초 논의 -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matter at the Elementary Level - a Discussion for Making Model -
교육문화연구 |
16 |
3 |
2010 |
기타교육학
초등 수학 및 과학과에서의 창의적 수업 - 모형화의 기초 논의 -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matter at the Elementary Level - a Discussion for Making Model -
교육문화연구 |
16 |
3 |
2010 |
기타교육학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
1 |
2011 |
교육학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도형의 높이 개념 이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Height Concept of Figures of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
1 |
2011 |
교육학
시각화가 초등기하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Visualization on Geometric Problem Solv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4 |
2010 |
교육학
시각화가 초등기하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Visualization on Geometric Problem Solv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4 |
2010 |
교육학
'Maths With Attitude' 교구 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Using of 'Maths With Attitude' Programs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4 |
1 |
2010 |
교육학
'Maths With Attitude' 교구 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Using of 'Maths With Attitude' Programs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4 |
1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