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당

연구분야 : A020103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정치사(역사학)

클래스 : 행정/공공기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128

STNet ID : 9000692

한자 : 朋黨

a02-01 행정/공공기관

목적_t1

대립과 공존을 통한 정치이념실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S:동의

UF (비우선어)

 

 

당붕 [ 黨朋 ]

N1:종류

hasKind (종류)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소북 [ 小北 ]

hasKind (종류)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북인 [ 北人 ]

hasKind (종류)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남인 () [ 南人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당쟁 () [ 黨爭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파벌 정치 [ 派閥政治 ]

RT (관련어)

 

 

당파 [ 黨派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산당 [ 山黨 ]

明末 東林學과 조선후기 유학의 반응

Doctrine of Donglin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its acceptance on the Confucianism in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明末 東林學과 조선후기 유학의 반응

Doctrine of Donglin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its acceptance on the Confucianism in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英祖의 義理明辯書『闡義昭鑑』 편찬과 정국변화 : 堯舜의 두 가지 얼굴, 탕평군주와 전제군주의 경계

Compilation of Cheonuisogam (闡義昭鑑), King Yeongjo’s Political Manifestation & Resultant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Dual Aspects of Yao and Shun: Boundary between Tangpyeong Monarch & Despotic Monarch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英祖의 義理明辯書『闡義昭鑑』 편찬과 정국변화 : 堯舜의 두 가지 얼굴, 탕평군주와 전제군주의 경계

Compilation of Cheonuisogam (闡義昭鑑), King Yeongjo’s Political Manifestation & Resultant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Dual Aspects of Yao and Shun: Boundary between Tangpyeong Monarch & Despotic Monarch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을 통한 사료비교학습-붕당 출현과 전개 과정의 수업 적용-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Comparing Historical Materials between Seonjo Veritable Records and the Revised Version -In terms of the Appearance and Process of ‘Bungdang’-

교육연구 | 51 | 2011 | 교과교육학

은봉 안방준의 절의사상

A Study on Eunbong Ahn Bang-Jun's Integrity Ideology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은봉 안방준의 절의사상

A Study on Eunbong Ahn Bang-Jun's Integrity Ideology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