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판력

연구분야 : B130205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민사소송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429

STNet ID : 1001630

한자 : 旣判力
영어 :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독일어 : materielle Rechtskraft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기속력 [ 羈束力 ]

R1:개념적

hasState (상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사건의 동일성 () [ 事件--同一性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법의 일반원칙 [ 法-- 一般原則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소송물이론 [ 訴訟物理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관련 제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일사 부재리 원칙 [ 一事不再理原則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추정 승계인 제도 () [ 推定承繼人制度 ]

RT (관련어)

 

 

외부효

RT (관련어)

 

 

배제효

RT (관련어)

 

 

반사효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실권효 [ 失權效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합일확정 [ 合一確定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공소사실의 동일성 [ 公訴事實-- 同一性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재심 [ 再審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소송물 [ 訴訟物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대법원 판례 [ 大法院判例 ]

RT (관련어)

관련 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상계의 항변 [ 相計--抗辯 ]

ICSID 중재상 주주의 제소권 - 한 · 중 BIT 및 한 · 미 FTA의 관련 규정을 고려하며 -

The Right of Shareholders to Bring Claims In ICSID Arbitration - with special consideration to Korea-China BIT & Korea-USA FTA -

통상법률 | 105 | 2012 | 법학

2009년 민사소송법 판례 연구 - 1

A Study on the Tendency of the Supreme & District Court Decision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09 -1

법과정책 | 16 | 2 | 2010 | 기타법학

2009년 민사소송법 판례 연구 - 1

A Study on the Tendency of the Supreme & District Court Decision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09 -1

법과정책 | 16 | 2 | 2010 | 기타법학

헌법재판소의 법률에 대한 위헌여부 결정과 국회의 입법과의 관계 ― 헌법재판소 결정의 효력을 중심으로 ―

Die Verhaeltnisse zwischen den verfassungsgerichtlichen Entscheidungen, die das Gesetz als verfassungsmaessig od –widrig erklaerten, und den Gesetzgebungen von dem Parlament – insbesondere in Hinblick auf die verfassungsgerichtlichen Entscheidungenwirkungen -

헌법학연구 | 18 | 3 | 2012 | 헌법

2011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n The Major Judicial Precedents in Civil Procedure During 2011

인권과 정의 | 424 | 2012 | 법학

眞正名義回復을 登記原因으로 하는 所有權移轉登記請求權 認定의 判例에 대한 批判的 檢討

Eine Kritische Analyse gegen die durch gerichtliches Urteil genehmigte Grundbucheintragung auf dem Grund der Wiederherstellung des Namens des redlichen Grundstückseigentümers

토지법학 | 26 | 1 | 2010 | 법학

眞正名義回復을 登記原因으로 하는 所有權移轉登記請求權 認定의 判例에 대한 批判的 檢討

Eine Kritische Analyse gegen die durch gerichtliches Urteil genehmigte Grundbucheintragung auf dem Grund der Wiederherstellung des Namens des redlichen Grundstückseigentümers

토지법학 | 26 | 1 | 2010 | 법학

Procedural Lessons from the Toyota Unintended Acceleration Class Action Litigation

민사소송 | 15 | 2 | 2011 | 법학

2010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n The Major Judicial Precedents in Civil Procedure During 2010

인권과 정의 | 415 | 2011 | 법학

의료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완결 후 추가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한 쟁점

After completion of damages caused by Medical accident claim damages for additional issues

원광법학 | 28 | 3 | 2012 | 기타법학

國家賠償訴訟과 先決問題 -특히 構成要件的 效力, 旣判力 그리고 違法槪念을 중심으로-

Staatshaftungsprozess und Vorfrage - insb. Tatbestandswirkung, Materielle Rechtskraft, und Rechtswidrigkeitsbegriff -

저스티스 | 116 | 2010 | 기타법학

國家賠償訴訟과 先決問題 -특히 構成要件的 效力, 旣判力 그리고 違法槪念을 중심으로-

Staatshaftungsprozess und Vorfrage - insb. Tatbestandswirkung, Materielle Rechtskraft, und Rechtswidrigkeitsbegriff -

저스티스 | | 116 | 2010 | 기타법학

채권자대위소송과 추심소송에 있어 당사자적격에 대한 비교 검토

민사소송 | 15 | 2 | 2011 | 법학

약관의 추상적 내용통제와 구체적 내용통제의 관계 - 약관의 추상적 내용통제에서 확정된 약관의 무효를 개인의 개별적인 소송에서 주장할 수 있는가? -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abstrakten und konkreten Inhaltskontrolle von AGBs - Kann man die durch eine abstrakte Inhaltskontrolle festgestellte Unwirksamkeit eines AGBs im Prozes eines Kunden behaupten? -

재산법연구 | 29 | 2 | 2012 | 민법

청구이의의 소의 이의이유 중 ‘청구권의귀속주체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study on transfer of cause of action and debt acceptance as cause ofcounteraction on execution

법조 | 61 | 8 | 2012 | 법학

2009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09

인권과 정의 | 405 | 2010 | 법학

2009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09

인권과 정의 | | 405 | 2010 | 법학

음주운전의 죄수관계와 기판력

Konkurrenzen des Alkoholfahrens und Rechtskraft

법학논고 | 37 | 2011 | 법학

화해권고결정의 기판력이 미치는 승계인의 범위와 가처분의 효력 - 대구지방법원 2009. 12. 1. 선고, 2009나2031 판결을 중심으로 -

A Court Settlement Order’s Res Judicata on Successors and the Legal Status of Preliminary Injunctions

저스티스 | 126 | 2011 | 기타법학

민사소송에서 無效, 取消, 解除의 주장- 旣判力을 중심으로 -

The claim for nullity, annulment, revocation in the civil procedure - focused on the claim preclusion(Res Judicata) -

법조 | 61 | 6 | 2012 | 법학

한정승인항변의 기판력과 집행에 관한 이의 - 대법원 2006.10.13. 선고 2006다23138 판결 -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in Qualified Acceptance of Succession and Objection against Execution

서울법학 | 19 | 2 | 2011 | 법학

債權者代位訴訟에 관한 大法院 判例의 문제점

The issues related with obligor’s subrogation claim in the judicial precedents by The Supreme Court

법학논집 | 16 | 4 | 2012 | 기타법학

원행정처분에 대한 헌법소원* ** - 헌재 2010. 4. 29. 2003헌마283 임원취임 승인취소 처분 등 사건을 중심으로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Administrative Action after Judicial Court' Decisions

헌법학연구 | 16 | 4 | 2010 | 헌법

원행정처분에 대한 헌법소원* ** - 헌재 2010. 4. 29. 2003헌마283 임원취임 승인취소 처분 등 사건을 중심으로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Administrative Action after Judicial Court' Decisions

헌법학연구 | 16 | 4 | 2010 | 헌법

거부처분 이후에 변경된 법령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장의 재거부처분의 적법성 - 서울고등법원 2010. 6. 29 선고 2009누35575 판결상의 사안을 중심으로 -

The Legality of the Second-Time Permit Denial Made by the Head of a Locality Based on a Changed Statute

지방자치법연구 | 10 | 4 | 2010 | 법학

거부처분 이후에 변경된 법령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장의 재거부처분의 적법성 - 서울고등법원 2010. 6. 29 선고 2009누35575 판결상의 사안을 중심으로 -

The Legality of the Second-Time Permit Denial Made by the Head of a Locality Based on a Changed Statute

지방자치법연구 | 10 | 4 | 2010 | 법학

最近(2010) 日本 行政判例의 動向 및 分析 硏究

A study on the recent trend of the administrative law cases (2010) in Japan

행정판례연구 | 16 | 2 | 2011 | 행정법

소송물이론에 관련된 비주류적 판례에 대한 평가와 소송물의 식별에 관한 실천적・시론적 검토

Würdigung der streitgegenstandtheoretischennicht-führenden Rechtsprechungen in Korea: Eine praxisorientierte vorantastende Untersuchung der Unterscheidung von Streitgegenständen

동아법학 | 53 | 2011 | 법학

중국의 재심절차(再審節次)에 관한 연구

민사소송 | 15 | 2 | 2011 | 법학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의 효력과 준재심의 대상 여부

Die Wirkungen des endgültigen Leistungsbeschlusses und der Gegenstand der Wiederaufnahmeklage

민사소송 | 14 | 1 | 2010 | 법학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의 효력과 준재심의 대상 여부

Die Wirkungen des endgültigen Leistungsbeschlusses und der Gegenstand der Wiederaufnahmeklage

민사소송 | 14 | 1 | 2010 | 법학

판결주문의 형식과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의 관계

Relationship of Form of Text of a Judicial Decision and O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동아법학 | 53 | 2011 | 법학

소송물과의 관련성에서 본 취소판결의 기속력- 특히 반복금지효를 중심으로 -

The Binding Effect of Judgement in a Revocation Suit with relation to a Claim

법학논총 | 24 | 3 | 2012 | 기타법학

상습범행의 일부에 대한 단순범죄의 확정판결과 절차법상의 문제점 - 기판력과 상습범의 분리 여부를 중심으로 -

常習犯行の一部に対する単純犯罪の確定判決と手続法上の問題 - 既判力と常習犯の分離を中心に -

법학논고 | 36 | 2011 | 법학

공소사실의 동일성 판단기준으로서의 규범적 요소

A Normative Factor as a Standard to Determine an Identity of Facts Charged

중앙법학 | 14 | 3 | 2012 | 법학

취소소송에 있어서 판결의 기판력

The Res Judicata Effect in the Litigation for Withdrawal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저스티스 | 118 | 2010 | 기타법학

취소소송에 있어서 판결의 기판력

The Res Judicata Effect in the Litigation for Withdrawal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저스티스 | | 118 | 2010 | 기타법학

일사부재리의 효력범위 - 즉결심판을 예로 하여

Grundlagen des Prinzips ‘ne bis in idem’ - Eine Darstellung am Beispiel des vereinfachten Strafverfahrens

저스티스 | 123 | 2011 | 기타법학

포괄일죄 법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송법적 효과를 중심으로

Eine Untersuchung über die strafprozessuale Wirkung der umfassenden Tateinheit

저스티스 | 125 | 2011 | 기타법학

차단효(遮斷效)의 근거와 범위

The Basis and Extent of “The Loss of Plead Right” by Claim Preclusion

법학논집 | 16 | 3 | 2012 | 기타법학

기판력확장과 변론종결후 특정승계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nhancing of Res Adjudicata and Limited Successor after Debate is Concluded

법학논총 | 34 | 2 | 2010 | 법학

자동차사고 피해자의 합의 후 사정변경에 따른 손해배상금 산정시 부당이득반환과 기판력에 관한 판례연구 - 대법원 2009. 11. 12. 선고 2009다56665 판결 -

A Case study on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Res judicate' about estimation of Indemnity if the situation is changed after the automobile accident victim had an agreement

재산법연구 | 27 | 1 | 2010 | 민법

자동차사고 피해자의 합의 후 사정변경에 따른 손해배상금 산정시 부당이득반환과 기판력에 관한 판례연구 - 대법원 2009. 11. 12. 선고 2009다56665 판결 -

A Case study on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Res judicate' about estimation of Indemnity if the situation is changed after the automobile accident victim had an agreement

재산법연구 | 27 | 1 | 2010 | 민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