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B1205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평가
클래스 : 기준/규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622
STNet ID : 2000032
한자 : 成就基準
영어 : achievement standard
e02-03 기준/규칙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N1:종류 |
hasKind (종류) |
|
|
|
|
hasKind (종류) |
|
|
|
R1:개념적 |
RT (관련어) |
|
|
국어과 문법 평가 이론의 발전 방향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Theory in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전(正典) 개념의 확장을 통한 교과서 검토 - 고등학교 검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f Textbooks through Expanding the Concept Canon - Focusing on 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이해 - 초등 2007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Comprehens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rough Semantic-Network Analysis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이해 - 초등 2007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Comprehens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rough Semantic-Network Analysis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7학년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7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of the grammar domain
국제언어문학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7학년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7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of the grammar domain
국제언어문학 |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고등학교 독서 수행 평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Content validity of Reading Assessment : focused on Highschool Reading performance Assessment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고등학교 독서 수행 평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Content validity of Reading Assessment : focused on Highschool Reading performance Assessment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성취수준과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 단원 지필평가 문항 분석
Analysis of written test items on science, stimulus-response, in middle school 9th grade accord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교육연구 | 54 | 2012 | 교과교육학
An Analysis of Writ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영어영문학연구 | 54 | 2 | 2012 | 영어와문학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구현 양상 -8학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 of 8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2007 revised version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3 | 2011 | 교육학
2007 역사과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
Scope and Sequence of ‘2007 National History Curriculum
교사교육연구 | 49 | 3 | 2010 | 교사교육
2007 역사과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
Scope and Sequence of ‘2007 National History Curriculum
교사교육연구 | 49 | 3 | 2010 | 교사교육
초등학생들의 시적 능력과 시교육 평가의 개선 방안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A Study on Poetic Competence and Improvement of Poetic Education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발전적 전개 방향
Characteristics and Future Prospects of 2011 Revised Curricula for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137 | 2012 | 한국어와문학
극화활동을 고려한 초등영어교육과정의 방향
On the Directions of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Considering Dramatized Activities
언어과학 | 17 | 1 | 2010 | 언어학
극화활동을 고려한 초등영어교육과정의 방향
On the Directions of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Considering Dramatized Activities
언어과학 | 17 | 1 | 2010 | 언어학
교실 친화적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방향성 연구 -2007개정 교육과정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A Suggestion of Classroom-Friendly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 Comparative Study of the Documents System of Language Arts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2 | 2010 | 기타교육학
교실 친화적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방향성 연구 -2007개정 교육과정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A Suggestion of Classroom-Friendly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 Comparative Study of the Documents System of Language Arts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2 | 2010 | 기타교육학
농업인의 농업생산 역량 진단도구 개발
Developing a Competency Assessment Tool for Agricultural Production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3 | 4 | 2011 | 교육학
핀란드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Finland
초등수학교육 | 14 | 3 | 2011 | 수학교육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사회과 평가 틀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ssessment Framework of Social Studies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1 | 2010 | 지리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사회과 평가 틀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ssessment Framework of Social Studies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1 | 2010 | 지리학
맞춤법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초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Critical Reviews on Korean Orthography in Textbook According to 2007 Revision Curriculum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관련 성취기준 및 소재목록 설정 방안 연구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Topics Based on Culture in the Primary English National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관련 성취기준 및 소재목록 설정 방안 연구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Topics Based on Culture in the Primary English National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과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배경 요인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Background Factors for the Science Underachiv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과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배경 요인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Background Factors for the Science Underachiv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시 창작 교육의 제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in Poem Creative Education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시 창작 교육의 제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in Poem Creative Education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문학 교육과정 내용의 범주화․위계화 및 기술 양상
Study of Categorization․Hierarchy and Statement Aspect of the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9 개정 영어과 선택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On the proficiency standards for the elective course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중등영어교육 | 5 | 2 | 2012 | 영어교육학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 일반사회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Social Sciences Area
사회과교육 | 51 | 2 | 2012 | 교육학
발명교육 내용 표준에 기반한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과서의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실과교육연구 | 18 | 2 | 2012 | 교육학
미술과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제안
A study on the Korean National Art Achievement Test for quality managemen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4 | 2011 | 교과교육학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틀 개발
Development of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2 | 2011 | 교육학
문학 교육과정의 교재화 과정 검토와 제언
A Study and Suggestions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자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Evaluation System and Its Practices in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s within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漢字漢文敎育 | 1 | 27 | 2011 | 한문교육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의 원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in History Based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중학교 체육과 학생평가 실태
A study on student assessment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교육연구 | 52 | 2011 | 교과교육학
Anderson이 개정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2007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지적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Analysis of Cognitive Learning Objectives in the 2007 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book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3 | 3 | 2011 | 교육학
사회과 성취기준 개발 논의와 결과에 대한 반성 - 7차 교육과정 이후 성취기준 개발 논의와 결과를 중심으로 -
A Reflec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Discussions and Results of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 Centered on 7th and 2007 Revision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
시민교육연구 | 42 | 1 | 2010 | 교육학
사회과 성취기준 개발 논의와 결과에 대한 반성 - 7차 교육과정 이후 성취기준 개발 논의와 결과를 중심으로 -
A Reflec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Discussions and Results of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 Centered on 7th and 2007 Revision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
시민교육연구 | 42 | 1 | 2010 | 교육학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연구 -2011년 도입 『국어』 교과서의 판소리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ansori’ education at new ‘Korean’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홍길동전>의 교과서 수용 양상과 목표 학습 활동의 재구성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The Reconstitution of Aimed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Acceptance Aspect of Honggildongjeon - With the 7th grade according to the revised the curriculum in 2007 -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홍길동전>의 교과서 수용 양상과 목표 학습 활동의 재구성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The Reconstitution of Aimed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Acceptance Aspect of Honggildongjeon - With the 7th grade according to the revised the curriculum in 2007 -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9 改定 敎育課程에 따른 中學校 漢文科 敎育課程의 成就水準 開發을 위한 一考
A Consideration for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revised 2009 Chinese Classics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영화 관련 ‘매체언어’의 성취 기준에 관한 연구 -2010년 도입 7학년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The Study on the Accomplishments Standard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bout the Movie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국극예술연구 | 31 | 2010 | 예술체육학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영화 관련 ‘매체언어’의 성취 기준에 관한 연구 -2010년 도입 7학년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The Study on the Accomplishments Standard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bout the Movie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국극예술연구 | | 31 | 2010 | 예술체육학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의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Focused on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3 | 2010 | 교과교육학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의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Focused on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3 | 2010 | 교과교육학
2011년 도입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희곡 작품에 대한 고찰 - 「봉산탈춤」 과 극문학 작품 직접 연계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ctions and systems of drama education at ‘Korean’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