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성취 수준

연구분야 : B1205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평가

클래스 : 수준/정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706

STNet ID : 1003432

한자 : 學業成就水準
영어 : academic achievement level

c01-03 수준/정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성취 수준 () [ 成就水準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수업 계획 () [ 授業計劃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교육 격차 [ 敎育隔差 ]

RT (관련어)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성취 기준 () [ 成就基準 ]

R2:기능적

evaluatedBy (평가 방법)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학업성취도 평가 () [ 學業成就度評價 ]

문제생성훈련 수업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문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uestion-Creation Training on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Question Level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1 | 2 | 2011 | 교육학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cademic support, achievement expectation and daily control on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

교육심리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cademic support, achievement expectation and daily control on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

교육심리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학생 및 학교수준의 결정요인 탐색

The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of underachievement to elementary students

교육평가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학생 및 학교수준의 결정요인 탐색

The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of underachievement to elementary students

교육평가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로봇 교육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 모색

Improvement of Children's Attentiveness through Robot Educational Activities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1 | 2010 | 교육학

로봇 교육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 모색

Improvement of Children's Attentiveness through Robot Educational Activities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1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