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생월과 학업성취의 관계: 제도적 학습부진아의 발견과 ‘월령효과’의 대응 방안 모색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orn months and academic achievement: ‘monthly ag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교육학연구 |
48 |
3 |
2010 |
교육학
학생의 생월과 학업성취의 관계: 제도적 학습부진아의 발견과 ‘월령효과’의 대응 방안 모색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orn months and academic achievement: ‘monthly ag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교육학연구 |
48 |
3 |
2010 |
교육학
현대교육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한국교육현안의 쟁점들에 대한 교육계의 보수와 진보의 시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sssues for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vision in Korea education,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교양교육연구 |
6 |
1 |
2012 |
학제간연구
‘문법’ 영역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Grammar Domain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부가가치 평가의 특징 및 우리나라 교사평가에 대한 적용가능성 검토
A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Value Added Model for teacher evaluation, and its applicabilities in Korea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부가가치 평가의 특징 및 우리나라 교사평가에 대한 적용가능성 검토
A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Value Added Model for teacher evaluation, and its applicabilities in Korea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n Settlement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시민교육연구 |
42 |
2 |
2010 |
교육학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n Settlement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시민교육연구 |
42 |
2 |
2010 |
교육학
초6 국어과 성취도 평가의 정합성 판정
Judging the Alignment of Korean Subjects Assessm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43 |
2010 |
국어교육
초6 국어과 성취도 평가의 정합성 판정
Judging the Alignment of Korean Subjects Assessm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
43 |
2010 |
국어교육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력평가제와 평가조정정책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Assessmen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교육사회학연구 |
22 |
1 |
2012 |
교육학
국가수준 국어과 평가의 정합성 분석 - 중3, 고1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
Analyzing the alignment of Korean subject Assessments ― focused on the 9th and 10th grade of NAEA ―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국어 어휘교육에 대한 소고 -우리와 프랑스의 학업성취도 평가 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the Evaluation Items Between Korea and France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of Students in Special Classes of Middle School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3 |
2010 |
교육학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of Students in Special Classes of Middle School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3 |
2010 |
교육학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교육책무성 시스템 : 텍사스 주 사례를 중심으로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Based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Information: Case of Texas State Accountability System
아시아교육연구 |
11 |
3 |
2010 |
교육학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교육책무성 시스템 : 텍사스 주 사례를 중심으로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Based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Information: Case of Texas State Accountability System
아시아교육연구 |
11 |
3 |
2010 |
교육학
이명박 정부의 교육 정책에 대한부산지역 중등교사들의 의식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Focused on the Educational Policies of Lee Myeong-Bak Government
한국민족문화 |
41 |
2011 |
기타인문학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듣기’ 평가 이론의 정립
A Study on Listening Evaluation of NAEA
국어교육 |
1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틀 개발
Development of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2 |
2011 |
교육학
학업결과에 대한 개인, 교육환경의 다차원 분석: 확장방법의 적용
Multi-level Analysis for Exam Results with Individual Attributes and Regional Contexts: Applying Expansion Method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3 |
2010 |
지리학
학업결과에 대한 개인, 교육환경의 다차원 분석: 확장방법의 적용
Multi-level Analysis for Exam Results with Individual Attributes and Regional Contexts: Applying Expansion Method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3 |
2010 |
지리학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문학’ 평가 이론의 정립
On the Evaluation Method for Literary Ability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문학’ 평가 이론의 정립
On the Evaluation Method for Literary Ability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