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A

연구분야 : B1205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평가

클래스 : 평가/분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190

STNet ID : 1002835

한자 :
영어 :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d04-02 평가/분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학업성취도 평가 () [ 學業成就度評價 ]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학업성취도 () [ 學業成就度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PISA 2006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PISA 2012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2]

독서 수준과 텍스트 수준의 위계화 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Critical Approach about Hierarchy Methods of Reading Ability and Readability Level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OECD 국가의 교육 효율성: 교육비와 성과의 변화 분석

OECD Countries: Analysis on the Changes in Education Costs and Output

경상논총 | 28 | 1 | 2010 | 경제학

OECD 국가의 교육 효율성: 교육비와 성과의 변화 분석

OECD Countries: Analysis on the Changes in Education Costs and Output

경상논총 | 28 | 1 | 2010 | 경제학

고교계열에 따른 과학적 역량과 관련 변인: PISA 2006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PISA 2006 Scientific Literacy and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racks in High Schools

직업교육연구 | 30 | 1 | 2011 | 교육학

고교계열에 따른 과학적 역량과 관련 변인: PISA 2006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PISA 2006 Scientific Literacy and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racks in High Schools

직업교육연구 | 30 | 1 | 2011 | 교육학

국제성취도 평가에 기초한 중학교 확률과 통계 내용 관련 탐구 - PISA와 TIMSS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Suggestions on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relevant to the area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based on the result of TIMSS and PISA Item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5 | 1 | 2012 | 교육학

PISA(2009)에 나타난 도덕교육 현황과 의미

Meanings and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e PISA(2009)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PISA 이후 독일의 유아교육 개혁 동향 및 한국 유아교육에서의 시사점 분석

Die Bildungsreform der Vorschulerziehung nach PISA in Deutschland und ihre Bedeutung fuer Korea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PISA 이후 독일의 유아교육 개혁 동향 및 한국 유아교육에서의 시사점 분석

Die Bildungsreform der Vorschulerziehung nach PISA in Deutschland und ihre Bedeutung fuer Korea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OECD 회원국 중등학생의 학습 투자 시간과 학업성취도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ECD Countries

직업교육연구 | 29 | 1 | 2010 | 교육학

OECD 회원국 중등학생의 학습 투자 시간과 학업성취도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ECD Countries

직업교육연구 | 29 | 1 | 2010 | 교육학

PISA 읽기 소양과 21세기 국어 능력

PISA Reading Literacy and 21C Korean Competence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PISA와 NAEA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어 능력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language ability by Linking PISA and NAEA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