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희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72

한자 : 朱熹
영어 : Zhu Xi
기타 : Chu Hsi
기타 : ZhuZi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주자 (1130-1200) [ 朱子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소학 () [ 小學 ]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

The Study of Background and Distinction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중국어문학 | 55 | 2010 | 중국어와문학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

The Study of Background and Distinction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중국어문학 | | 55 | 2010 | 중국어와문학

『周易』乾卦 ‘元亨利貞’ 해석의 유형에 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of Interpretations of ‘Yuan Heng Li Zhen’ in the Book of Changes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周易』乾卦 ‘元亨利貞’ 해석의 유형에 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of Interpretations of ‘Yuan Heng Li Zhen’ in the Book of Changes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英祖의 生母 淑嬪 崔氏의 喪葬禮 - 『戊戌苫次日記』를 중심으로 -

On the funeral of Concubine Sukbin(淑嬪), the mother of King Yeongjo(英祖) - mainly focused on the diary of the funeral(戊戌苫次日記) in 1718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英祖의 生母 淑嬪 崔氏의 喪葬禮 - 『戊戌苫次日記』를 중심으로 -

On the funeral of Concubine Sukbin(淑嬪), the mother of King Yeongjo(英祖) - mainly focused on the diary of the funeral(戊戌苫次日記) in 1718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왕양명의 친서민성과 민중교육

Wang yang-ming’s Common touch and Popular education

양명학 | 30 | 2011 | 철학

왕양명의 격물공부론

Wang Yang-ming's the kungfu-theory(工夫論)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宋史筌》的文人傳、《藝文志》書寫 — 兼與《宋史》比較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신독에 관한 고찰

A Treatise Concerning shendu

범한철학 | 60 | 1 | 2011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근암 최옥의 「龍潭九曲歌」 연구

A study of Choi-ok 's 'Yongdam-gugok-ga(龍潭九曲歌)'

동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주희의 『대학』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Zhu Xi’s Thinking System in 『Da Xue』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희의 『대학』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Zhu Xi’s Thinking System in 『Da Xue』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周易』乾卦 ‘元亨利貞’ 해석의 유형에 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of Interpretations of ‘Yuan Heng Li Zhen’ in the Book of Changes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周易』乾卦 ‘元亨利貞’ 해석의 유형에 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of Interpretations of ‘Yuan Heng Li Zhen’ in the Book of Changes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대학장구』에 드러난 주희의 사유체계와 육구연 철학사상 비교 연구

『大学章句』中体现的朱熹的思维体系与陆九渊哲学思想比较研究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대학장구』에 드러난 주희의 사유체계와 육구연 철학사상 비교 연구

『大学章句』中体现的朱熹的思维体系与陆九渊哲学思想比较研究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근암 최옥의 「龍潭九曲歌」 연구

A study of Choi-ok 's 'Yongdam-gugok-ga(龍潭九曲歌)'

동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周易』乾卦 ‘元亨利貞’ 해석의 유형에 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of Interpretations of ‘Yuan Heng Li Zhen’ in the Book of Changes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周易』乾卦 ‘元亨利貞’ 해석의 유형에 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of Interpretations of ‘Yuan Heng Li Zhen’ in the Book of Changes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당의(黨議)와 예송(禮訟)의 정치사상: 그것은 부질없는 논변이었을까?

Political Implications of Disputes on the Royal Mourning Dres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1 | 2010 | 동양정치사상

당의(黨議)와 예송(禮訟)의 정치사상: 그것은 부질없는 논변이었을까?

Political Implications of Disputes on the Royal Mourning Dres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1 | 2010 | 동양정치사상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Two ― 'Region'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Arts and Sciences and the Basic Problems of Philosophy ―

철학 | 104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Two ― 'Region'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Arts and Sciences and the Basic Problems of Philosophy ―

철학 | | 104 | 2010 | 철학

주희의 공부론 :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uddhist Practice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주희의 공부론 :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uddhist Practice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胡宏의 ‘性’ 槪念에 대한 硏究

胡宏の‘性’概念に対する研究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性善說의 메타-윤리학적 구조 ― 성리학의 도덕적 자연주의 해석을 위한 시론 ―

A Meta-Ethical Framework of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 An Attempt to 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Zhu Xi in terms of Moral Naturalism ―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性善說의 메타-윤리학적 구조 ― 성리학의 도덕적 자연주의 해석을 위한 시론 ―

A Meta-Ethical Framework of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 An Attempt to 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Zhu Xi in terms of Moral Naturalism ―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등에(蝱, gadfly)관으로 본 동서철학사의 이해와 주희 격물의 의미

Gadfly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 The Meaning of Zhuxi's Ge-wu(格物)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유학연구 | 21 | 2010 | 철학

등에(蝱, gadfly)관으로 본 동서철학사의 이해와 주희 격물의 의미

Gadfly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 The Meaning of Zhuxi's Ge-wu(格物)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유학연구 | 21 | | 2010 | 철학

주희와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적 신관 비교

The Comparision of Zhu Xi vs. Whitehead on Metaphysical Theology

화이트헤드 연구 | 20 | 2010 | 서양철학일반

주희와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적 신관 비교

The Comparision of Zhu Xi vs. Whitehead on Metaphysical Theology

화이트헤드 연구 | | 20 | 2010 | 서양철학일반

주희의 중화논변(中和論辯)과 경계의 사유

Chu Hsi's Argumentation on Zhōnghé(中和) and Thought of/on the Boundary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주희의 중화논변(中和論辯)과 경계의 사유

Chu Hsi's Argumentation on Zhōnghé(中和) and Thought of/on the Boundary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寒岡 鄭逑의 武屹 경영과 武屹九曲 정착과정

A Study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Hangang Jeong Gu's Muheul(武屹) Management and Muheul-Gugok(武屹九曲)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의 <武夷櫂歌> 수용과 李野淳의 <陶山九曲> 고찰

The study of Yi Hwang's acceptance of Muidoga(武夷櫂歌) and Yi Ya-sun's acceptance of Dosangugok(陶山九曲)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중용](中庸)과 세종(世宗)의 정치: ‘구경(九經)’을 중심으로

Zhongyong and King Sejong's Politics: Focusing on 'Jiuji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先秦時代‘天人關係論’의 양상과 張載의 계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an-Ren Relationship’ in the Pre-Qin Period and its inheritance in the Zhang Zai's Philosophy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先秦時代‘天人關係論’의 양상과 張載의 계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an-Ren Relationship’ in the Pre-Qin Period and its inheritance in the Zhang Zai's Philosophy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적 완성에 이르는 네 가지의 길 : 추월(追越, 推越)론 정립을 위한 시론

Four ways to moral perfection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퇴계의 <武夷櫂歌> 수용과 李野淳의 <陶山九曲> 고찰

The study of Yi Hwang's acceptance of Muidoga(武夷櫂歌) and Yi Ya-sun's acceptance of Dosangugok(陶山九曲)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先秦時代‘天人關係論’의 양상과 張載의 계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an-Ren Relationship’ in the Pre-Qin Period and its inheritance in the Zhang Zai's Philosophy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先秦時代‘天人關係論’의 양상과 張載의 계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an-Ren Relationship’ in the Pre-Qin Period and its inheritance in the Zhang Zai's Philosophy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중용](中庸)과 세종(世宗)의 정치: ‘구경(九經)’을 중심으로

Zhongyong and King Sejong's Politics: Focusing on 'Jiuji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정약용의 「주자본의발미」 연구

A Study on Cheong Yag-yong’s Zhuzi Benyi Fawei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pace sense to shown on a 'The Dosan-jabyoung(「陶山雜詠」) of Toegae(退溪)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pace sense to shown on a 'The Dosan-jabyoung(「陶山雜詠」) of Toegae(退溪)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星湖 李瀷의 「離騷解」 硏究

A study on Seong-ho(星湖) Lee-Ik(李瀷:1681~1763)'s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星湖 李瀷의 「離騷解」 硏究

A study on Seong-ho(星湖) Lee-Ik(李瀷:1681~1763)'s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 18 | 2010 | 기타법학

鄭喬의 중국사 이해와 현실 인식

Understanding of Chinese History and Perception of Reality of Jeong Gyo

史叢(사총)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鄭喬의 중국사 이해와 현실 인식

Understanding of Chinese History and Perception of Reality of Jeong Gyo

史叢(사총) |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유교의 인성교육론: 공자의 경우와 성리학의 관점

A Study 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Confucianism: Focused on the Teachings of Confucius and Afterwards

교육사상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朱子의 太極一元論 연구

关于朱子的太极一元论之研究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중용』과 귀신의 관계, ‘중용’의 정식화의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Zhongyong and Supernatural being, Formulation of ‘zhongyong’

유교사상문화연구 | 41 | 2010 | 유교학

『중용』과 귀신의 관계, ‘중용’의 정식화의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Zhongyong and Supernatural being, Formulation of ‘zhongyong’

유교사상문화연구 | | 41 | 2010 | 유교학

北宋 六賢과 조선후기의 聖賢故事帖

Northen Sung Six Confucian Scholar and The Album of Sage as Historical Figures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春秋左氏傳』의 占辭 解釋 硏究- 朱熹, 毛奇齡, 丁若鏞을 중심으로-

Interpretation of Divination Statement in Spring and Autum Period Annals with Commentary of Zuo - from the Perspective of Zhu Xi, Mao Qiling, and Chong Yag-yong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왕안석의 명(命)개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Fate[命] of Wang An-shih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성리학의 심성론과 도덕교육

The Neo-Confucian Theory of Human Mind-Nature and The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雲溪 金鍾正 尙書論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gye(雲溪) Kim Jong-jeong(金鍾正)'s Commentary on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尙書)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鄭喬의 중국사 이해와 현실 인식

Understanding of Chinese History and Perception of Reality of Jeong Gyo

史叢 | 70 | 2010 | 인문학

鄭喬의 중국사 이해와 현실 인식

Understanding of Chinese History and Perception of Reality of Jeong Gyo

史叢 | | 70 | 2010 | 인문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작품소재로 살펴본 蒼巖 李三晩의 학문세계

以作品题材看苍岩李三晩的学问世界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왕안석의 명(命)개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Fate[命] of Wang An-shih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대학』의 삼강령 팔조목을 통해 본 유학의 체계

A study on the system of confucianism as seen from 『Da xue』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작품소재로 살펴본 蒼巖 李三晩의 학문세계

以作品题材看苍岩李三晩的学问世界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맹자』 해석 −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伊藤仁齋的<孟子>解釋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雲溪 金鍾正 尙書論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gye(雲溪) Kim Jong-jeong(金鍾正)'s Commentary on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尙書)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論語徵』에 나타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道 인식

A recognize of Ohgyusorayiui’s Tao(道) appeared 『Noneojing(論語徵)』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印度吠檀多哲学的梵我观与朱熹理学之比较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순암 안정복의 하학론 -<하학지남>을 중심으로-

An Jeong-bok’s Theory on the Learning-the-lower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순암 안정복의 하학론 -<하학지남>을 중심으로-

An Jeong-bok’s Theory on the Learning-the-lower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比兴:诗学与儒学之本源观念 ——朱熹《诗集传》再检讨

Metaphor(Bi) and Rise(Xing):The Idea as the Source in Poetics and Confucianism ——Re-inquiry into Zhu Xi's Collected Commentary on The Book of Songs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5 | 2011 | 유교학

Tasan on Righteousness and Profit : in Comparison to Zhu Xi and Wang Yangming

从义利之辨来看朱子学·阳明学·茶山学的本质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8 | 2012 | 유교학

眉叟 許穆의 性理學的 修養論 이해

An understanding on the Neo-Confucian self cultivation theory of Misu Heo Mok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Future and a Voluntary Poverty: the cognition and cultiv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송대 성리학의 효 사상 이해 - 『근사록』을 중심으로 -

中國性理學的孝思想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주희 역사관에 내재된 문도론적 사유

朱熹的歷史觀所內在的“文道論”之思惟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주희 역사관에 내재된 문도론적 사유

朱熹的歷史觀所內在的“文道論”之思惟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关于《诸儒鸣道》编者身份的初步推测

Speculation on the Identity of the Complier of ZHU RU MING DAO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4 | 2010 | 유교학

关于《诸儒鸣道》编者身份的初步推测

Speculation on the Identity of the Complier of ZHU RU MING DAO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 14 | 2010 | 유교학

주희의 『통서해』 연구 -『통서』에서 『통서해』로 -

朱熹 『通書解』硏究 - 從『通書』到『通書解』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주희의 『통서해』 연구 -『통서』에서 『통서해』로 -

朱熹 『通書解』硏究 - 從『通書』到『通書解』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诸儒鸣道集》再议

A Re-examination on Zhuru Mingdao Ji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3 | 2010 | 유교학

《诸儒鸣道集》再议

A Re-examination on Zhuru Mingdao Ji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 13 | 2010 | 유교학

愼齋 周世鵬의 白雲洞書院 관련 詩 연구

A Study on the Poetry of Sinje Ju Sebung on related Baekundong Soewon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주희의 『통서해』 연구 -『통서』에서 『통서해』로 -

朱熹 『通書解』硏究 - 從『通書』到『通書解』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주희의 『통서해』 연구 -『통서』에서 『통서해』로 -

朱熹 『通書解』硏究 - 從『通書』到『通書解』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Future and a Voluntary Poverty: the cognition and cultiv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송대 성리학의 효 사상 이해 - 『근사록』을 중심으로 -

中國性理學的孝思想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중용』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中庸』解釋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중용』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中庸』解釋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星湖 李瀷의 『 論語疾書』 硏究

A Study of Seong Ho Lee Ik`s Noneo Jilseo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星湖 李瀷의 『 論語疾書』 硏究

A Study of Seong Ho Lee Ik`s Noneo Jilseo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남명 조식 철학 사상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to the Results of Studies on Cho Sik’s Philosophy and Thought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大学的理念和儒家道德教育

The College Doctrine And The Confucian Moral Education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大学的理念和儒家道德教育

The College Doctrine And The Confucian Moral Education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희 역사관에 내재된 문도론적 사유

朱熹的歷史觀所內在的“文道論”之思惟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주희 역사관에 내재된 문도론적 사유

朱熹的歷史觀所內在的“文道論”之思惟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儒家 윤리이론의 전통과 寒岡의 敬義論

The tradition of Confucius moral theory and Han Kang‘s theory of Kung(敬)·Ui(義)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儒家 윤리이론의 전통과 寒岡의 敬義論

The tradition of Confucius moral theory and Han Kang‘s theory of Kung(敬)·Ui(義)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四書集註≫의 ≪詩經≫引用詩 註解와 ≪詩集傳≫ 註解 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interpretation to Zhuzi`s Shijizhuan and poetry Cited in Sishu

중국인문과학 | 50 | 2012 | 중국어와문학

육구연의 異端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Theory of Heresy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육구연의 異端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Theory of Heresy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주륙(朱陸)의 무극태극(無極太極) 논쟁 연구 ― 육구연의 입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bate of the Great Ultimate and the Ultimate of Nonbeing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주륙(朱陸)의 무극태극(無極太極) 논쟁 연구 ― 육구연의 입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bate of the Great Ultimate and the Ultimate of Nonbeing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论王应麟的学术渊源

王应麟의 学术渊源

중국과 중국학 | 11 | 2010 | 지역학일반

论王应麟的学术渊源

王应麟의 学术渊源

중국과 중국학 | 11 | | 2010 | 지역학일반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왕양명의 주륙관 연구 — 「주자만년정론」을 중심으로 —

王陽明的朱陸觀 硏究 - 以「朱子晩年定論」爲中心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儒敎的 孝의 宗敎性과 祭禮

儒教‘孝’的宗教性與祭禮

동아인문학 | 19 | 2011 | 기타인문학

李退溪の敬思想と敎育觀

The thought of Yi Toegye about“Respectfulness”and its relationship to educational view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大學』解釋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大學』解釋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论王应麟的学术渊源

王应麟의 学术渊源

중국과 중국학 | 11 | 2010 | 지역학일반

论王应麟的学术渊源

王应麟의 学术渊源

중국과 중국학 | 11 | | 2010 | 지역학일반

양명철학에서 도덕의 보편성 문제

阳明哲学的道德普遍性问题

양명학 | 30 | 2011 | 철학

모종삼의 주희 비판과 그에 대한 재평가

The Recritic of Mo Zong San’s Criticism of Zhu Xi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모종삼의 주희 비판과 그에 대한 재평가

The Recritic of Mo Zong San’s Criticism of Zhu Xi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주체의식

The Sense of Sovereignty in Chuzu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주체의식

The Sense of Sovereignty in Chuzu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理氣觀

A View about Li(理) and Ki(氣) of Hayasi Razan(林羅山)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栗谷學派의 文學觀과 詩論

Yulgok School's view of literature and its theory of poetry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學派의 文學觀과 詩論

Yulgok School's view of literature and its theory of poetry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Zhu Xi’s Critique on Lu Xiang-shan’s Frame of Self-Cultivation

철학연구 | 39 | 2010 | 철학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Zhu Xi’s Critique on Lu Xiang-shan’s Frame of Self-Cultivation

철학연구 | | 39 | 2010 | 철학

육구연의 異端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Theory of Heresy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육구연의 異端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Theory of Heresy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寒洲性理學에서 太極動靜과 陰陽五行에 대한 一攷

A Study on the Teageugdongjung(太極動靜) and Eumyangoheang(陰陽五行) in Lee Jin-sang's Neo-Confucian Philosophy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왕부지의『 대학』 이해 - 주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Wang Fuzhi's understanding of Dàxué(『大學』) - A Comparison with Zhū Xī's -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왕부지의『 대학』 이해 - 주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Wang Fuzhi's understanding of Dàxué(『大學』) - A Comparison with Zhū Xī's -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潛冶 朴知誡의 人心道心說

The Theory of Insin-Dosim in Pak Jigye's Philosophy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Man and Society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Man and Society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왕양명의 주륙관 연구 — 「주자만년정론」을 중심으로 —

王陽明的朱陸觀 硏究 - 以「朱子晩年定論」爲中心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金長生과 宋時烈의 未發知覺論

金長生与宋時烈的未發知覺論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金長生과 宋時烈의 未發知覺論

金長生与宋時烈的未發知覺論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朱子語類』<讀書法>에 나타난 活看論

The Theory of Vital Seeing in Reading Method of Zhuziyule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朱熹《中庸章句·第三十三章》对“不显之德”的阐释—兼与《礼记正义·中庸》之比较

Chu His’s Interpretation of“Buxian-Character”in his The Textual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Mean: Chapter 33, and Comparing with The Notes and Commentaries of the Book of Rites: the Doctrine of the Mean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8 | 2012 | 유교학

朱熹≪詩集傳≫<魏風> ‘魏’ㆍ<葛屨>ㆍ<汾沮洳> 新舊傳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Annotations of Weifeng(魏風) Wei魏', Geju, Fenjuru in the Old Version and New Version of Zhu Xi's Shijizhuan

중국어문논총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朱熹≪詩集傳≫<魏風> ‘魏’ㆍ<葛屨>ㆍ<汾沮洳> 新舊傳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Annotations of Weifeng(魏風) Wei魏', Geju, Fenjuru in the Old Version and New Version of Zhu Xi's Shijizhuan

중국어문논총 |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주희 공부론의 구조

The Structure of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대학』 해석의 특징적 두 양상 - 주자와 다산의 관점 비교 -

The Characteristic Two Aspects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Great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 of Chu-Hsi and Da-San-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Reading' as 'Gewuzhizhigongfu' in Zhu xi's Philosophy of Gongfu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Reading' as 'Gewuzhizhigongfu' in Zhu xi's Philosophy of Gongfu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주희 리욕론의 체험주의적 해석

关于朱熹理欲論的体验主义诠释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주자(朱子) 기(氣) 사상과 한국춤 사상과의 유관성(有關性)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 with the Idea of Korean dance in the view of Chu Hsi’ idea. -With ‘Idea of Spirit’ as the center-

무용예술학연구 | 36 | 36 | 2012 | 무용

주자와 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특징

朱子和茶山的未发说与其修养论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퇴계의 ‘횡설’과 고봉의 ‘수설' - 프레임의 차이로 보는 조선유학의 분기(分岐)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Toegye and Kobo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朱熹编撰《仪礼经传通解》的过程与挑战

Process and Challenge in the Compilation of Zhu Xi’s Yi Li Jing Zhuan Tong Jie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주희의 불교비판과 미발수행법

Zhuxi’s Kritik des Buddhismus und Mibal

양명학 | 29 | 2011 | 철학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율곡의 퇴계 비판을 겸해서 논함

Different Semiotic Frames of Toegye and Yulgok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朱熹의 마음에 관한 이론 연구 (1): 마음의 本體와 本心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ory of Mind in Zhuxi philosophy(1)

중국학보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朱熹의 마음에 관한 이론 연구 (1): 마음의 本體와 本心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ory of Mind in Zhuxi philosophy(1)

중국학보 |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주희 리욕론의 체험주의적 해석

关于朱熹理欲論的体验主义诠释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주희 심성론의 체험주의적 해석

對朱熹心性論的体验主义解释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朱子形而上學의 深層構造― 太極에 대한 理解 ―

The Deep Structure of Zhuzi's Metaphysics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남당(南塘)의 승반론(乘伴論)과 수설(竪說)-외암의 ‘횡설’과 비교하여-

Supervenience Theory in Namdang’s Understanding of Human Dispositions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주자와 우암의 미발설 비교 연구-미발시 괘상(卦象) 배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朱子与尤庵未发说比较研究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仪礼经传通解》的编撰旨趣和在朱熹学术思想中的地位

The Compile Purport of Yi Li Jing Zhuan Tong Jie and the Status in Zhu Xi’s Thought and Learning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7 | 2012 | 유교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희 도덕철학에 있어서 객관적 규범의 외적 권위와 도덕적 자율성의 화해-「古史餘論」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Reconciling the External Authority of Objective Rules with Moral Autonomy in Zhu Xi’s Moral Philosophy -Centering at His “Gu Shi Yu Lun”[古史餘論]-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주희 도덕철학에 있어서 객관적 규범의 외적 권위와 도덕적 자율성의 화해-「古史餘論」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Reconciling the External Authority of Objective Rules with Moral Autonomy in Zhu Xi’s Moral Philosophy -Centering at His “Gu Shi Yu Lun”[古史餘論]-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朱熹詞의 내용과 풍격 小考

A Study on Zhu Xi's(朱熹) Ci Poetry Contents and Style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Zhu Xi’s Critique on Lu Xiang-shan’s Frame of Self-Cultivation

철학연구 | 39 | 2010 | 철학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Zhu Xi’s Critique on Lu Xiang-shan’s Frame of Self-Cultivation

철학연구 | | 39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Joseon Neo-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주희 리기 개념의 체험주의적 해석

對朱熹理氣槪念的體驗主義解釋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朱熹编撰《仪礼经传通解》的过程与挑战

Process and Challenge in the Compilation of Zhu Xi’s Yi Li Jing Zhuan Tong Jie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주희의 귀신론에 비추어 본 교사의 역할

The Role of Teacher in Light of Chu Hsi's Concept of Spirit

도덕교육연구 | 23 | 1 | 2011 | 교육학

주희 수양론에서 실천주체와 실천의지: 두 마음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Theory of Self-Cultivation: Centering on ‘the Antinomy of Two Minds’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주희 수양론에서 실천주체와 실천의지: 두 마음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Theory of Self-Cultivation: Centering on ‘the Antinomy of Two Minds’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朱熹의 ‘淫奔詩’ 考察

A study of ‘Umbun-Si’ by Juhee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朱熹의 ‘淫奔詩’ 考察

A study of ‘Umbun-Si’ by Juhee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朱熹≪詩集傳≫<魏風><園有桃>ㆍ<陟岵>ㆍ<伐檀>ㆍ<碩鼠> 新舊傳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nnotations of Weifeng(<魏風>) Yuanyoutao(<園有桃>), Zhihu(<陟岵>), Fatan(<伐檀>) and Shuoshu(<碩鼠>) in the Old Version and New Version of Zhu-Xi(朱熹)'s Shijizhuan(≪詩集傳≫)

중국어문논총 | 52 | 2012 | 중국어와문학

朱熹 性理學의 형이상학적 특색과 현대 철학

The Metaphysical Characteristics of Zhu Xi's Philosophy of the Primacy of Li(Principle) and Modern Philosophy

범한철학 | 60 | 1 | 2011 | 철학

노론의 학통적 맥락에서 본 송시열 초상화찬

老論的學統前後連上宋時烈的肖像畵贊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주자와 왕양명의 체용론 비교 연구

朱子與陽明的體用論比較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주자 자연학의 형이상학적 경계

The Metaphysical Limits of Zhuxi's Natural Philosophy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朱熹의 刑罰觀 一考

A Study on Chu-hsi(朱熹)’s Ideas on Punishment

아주법학 | 4 | 1 | 2010 | 법학

朱熹의 刑罰觀 一考

A Study on Chu-hsi(朱熹)’s Ideas on Punishment

아주법학 | 4 | 1 | 2010 | 법학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Han Wonjin’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It’s Politico-Moral Implication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Han Wonjin’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It’s Politico-Moral Implication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주희 리기 개념의 체험주의적 해석

對朱熹理氣槪念的體驗主義解釋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