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연구분야 : A020303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중세사2(송요금원)
B120101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 교육철학/사상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728

한자 : 小學
기타 : Sohak

y02-01 문헌명

저작자

유자징 (劉子澄)

시대1

송시대 (宋時代)

장르/유형

교육서

저작년_t

1187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아동 교육 () [ 兒童敎育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구경 [ 九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수신서 () [ 修身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내훈 () [ 內訓 ]

isAffectedBy (영향요인)

 

 

주희 () [ 朱熹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경서변의 [ 經書辨疑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어제소학언해 [ 御製小學諺解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소학언해 () [ 小學諺解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번역소학 () [ 飜譯小學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몽선습 [ 童蒙先習 ]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魯迅細讀 (1) <一件小事> ― 암호문자 S의 비밀 (1)

중국어문학지 | 39 | 2012 | 중국어와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The Formation of Dohak (Tao Learning)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 Kim Jong-jik and His students’s Dohak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20世紀初期文學史編撰的幾個問題漫議

Diversity Opinions of the Compilation of Chinese History in the 20C

중국학논총 | 28 | 2010 | 중국어와문학

20世紀初期文學史編撰的幾個問題漫議

Diversity Opinions of the Compilation of Chinese History in the 20C

중국학논총 | | 28 | 2010 | 중국어와문학

하서 김인후 연구

A Study on Haseo Kim In-Who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18세기 가학家學 전승과 문중서당門中書堂

The Transmission of Family Scholarship and Family Schools in the 18th Century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18세기 가학家學 전승과 문중서당門中書堂

The Transmission of Family Scholarship and Family Schools in the 18th Century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가학의 전통과 공재 윤두서

The Tradition of Family Study and Gongjae Yoon Doseo

온지논총 | 32 | 2012 | 기타인문학

김종직(金宗直)의 경전강학(經典講學)과 사회실천론

Kim Jong Jik's Scripture Studies and Social Practices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선진(先秦) 소학 제도의 연구

A study on the ‘shaoxue(小學)’ in the pre-Qin era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갑오개혁기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과정학적 이념 연구 : ‘소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curriculum ideology appeared in the textbooks of the Kabo reforms period: Focused on 'Sohak' textbooks

교육과정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김종직(金宗直)의 경전강학(經典講學)과 사회실천론

Kim Jong Jik's Scripture Studies and Social Practices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세종과 「소학(小學)」: 민풍(民風)과 사풍(士風)의 교화

King Sejong and 「Sohak(小學)」: The Enlightenment of Minpung(民風) and Sapung(士風)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16세기 전반의 鄕約의 성격과 이해 -‘소학실천자들’의 향약론을 중심으로-

The Community Compact in Sixteenth Korea : Its significance and sociopolitical agenda of the Literati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수용 양상과 의미

What kind of Knowledge did Naehun Accept of from Sohak?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수용 양상과 의미

What kind of Knowledge did Naehun Accept of from Sohak?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소학小學’론(Ⅱ)- 『 아학편兒學編』을 중심으로

Tasan Cheong Yagyong’s Study of “Confucian Elemen¬tary Learning”(II) ― Focusing on Ahakpyeon(Textbook on Chinese Characters for Children)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격암格菴 남사고南師古의 ‘구천십장九遷十葬 ’설화와 풍수적 재조명

Re-illumination of ‘Gyeogam Namsago's ‘Gucheonsipjang' from the view of Feng-shui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소학小學’론(Ⅱ)- 『 아학편兒學編』을 중심으로

Tasan Cheong Yagyong’s Study of “Confucian Elemen¬tary Learning”(II) ― Focusing on Ahakpyeon(Textbook on Chinese Characters for Children)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수용 양상과 의미

What kind of Knowledge did Naehun Accept of from Sohak?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수용 양상과 의미

What kind of Knowledge did Naehun Accept of from Sohak?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과 「소학(小學)」: 민풍(民風)과 사풍(士風)의 교화

King Sejong and 「Sohak(小學)」: The Enlightenment of Minpung(民風) and Sapung(士風)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조선전기 ‘소학계’ 연구

A Study on The 'Sohak Community'(sohakgye) and Confucian scholars concerned with it in the former term of Choseon Dynasty

경주사학 | 3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소학계’ 연구

A Study on The 'Sohak Community'(sohakgye) and Confucian scholars concerned with it in the former term of Choseon Dynasty

경주사학 | | 32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학파의 소학 중시가 가진 철학적 특징과 교육적 함의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Yeongnam School’s esteeming Sohak involve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16세기 전반의 鄕約의 성격과 이해 -‘소학실천자들’의 향약론을 중심으로-

The Community Compact in Sixteenth Korea : Its significance and sociopolitical agenda of the Literati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소학(小學)의 형성과 변천-경전 텍스트와 언어문자의 관계-

O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Xiaoxue小學

중국문학 | 63 | 2010 | 중국어와문학

소학(小學)의 형성과 변천-경전 텍스트와 언어문자의 관계-

O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Xiaoxue小學

중국문학 | 63 | | 2010 | 중국어와문학

進溪朴在馨の<海東續小學>と退溪の敎育思想

Haedongsoksohak(해동속소학) written by Park Jae Hyung an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Toegye(퇴계)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小學」에 나타난 도덕교육원리

The Principles of Moral Education in Hsiao-hsueh

도덕교육연구 | 24 | 2 | 2012 | 교육학

進溪朴在馨の<海東續小學>と退溪の敎育思想

Haedongsoksohak(해동속소학) written by Park Jae Hyung an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Toegye(퇴계)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문집에 보이는 중국 언어 문자 연구 조망 ― 李德懋의 《靑莊館全書》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 38 | 2012 | 중국어와문학

소학 저술이전 시기 주자의 소학론

The theory of xiaoxue of Zhuzi before Xiaoxue writi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소학」의 세계 : 유교문화와 도덕교육

The World of Hsiao-hsueh : Confucian Culture and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소학」의 세계 : 유교문화와 도덕교육

The World of Hsiao-hsueh : Confucian Culture and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小學』의 성격과 정치론, 그 적용 ― 조선전기 사림파의 정치이론과 적용 ―

Chu Hsi's Elementary Learing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in Korea during the Chosŏn Dynasty

사림 | 35 | 2010 | 역사학

『小學』의 성격과 정치론, 그 적용 ― 조선전기 사림파의 정치이론과 적용 ―

Chu Hsi's Elementary Learing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in Korea during the Chosŏn Dynasty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16세기 전반의 鄕約의 성격과 이해 -‘소학실천자들’의 향약론을 중심으로-

The Community Compact in Sixteenth Korea : Its significance and sociopolitical agenda of the Literati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선진(先秦) 소학 제도의 연구

A study on the ‘shaoxue(小學)’ in the pre-Qin era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소학(小學)을 통해 본 유아 인성교육 학습모형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Deduc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Learning Model through Sohak(소학(小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8 | 4 | 2011 | 교육학

「小學」에 나타난 도덕교육원리

The Principles of Moral Education in Hsiao-hsueh

도덕교육연구 | 24 | 2 | 2012 | 교육학

선진(先秦) 소학 제도의 연구

A study on the ‘shaoxue(小學)’ in the pre-Qin era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소학(小學)을 통해 본 유아 인성교육 학습모형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Deduc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Learning Model through Sohak(소학(小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8 | 4 | 2011 | 교육학

「소학」의 세계 : 유교문화와 도덕교육

The World of Hsiao-hsueh : Confucian Culture and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소학」의 세계 : 유교문화와 도덕교육

The World of Hsiao-hsueh : Confucian Culture and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