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미오와 줄리엣

연구분야 : A150202 인문학 > 영어와문학 > 영문학 > 셰익스피어
G080000 예술체육 > 연극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47

한자 :
원서명(原書名) : Romeo and Juliet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셰익스피어

시대1

서양 근대 (西洋近代)

장르/유형

희곡 (戱曲)

저작년_t

1597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영국 문학 [ 英國文學 ]

르네상스 시대의 내적 자아와 셰익스피어의 비극적 인물들

The Inner Self in the Renaissance and Shakespeare's Tragic Characters

Shakespeare Review | 47 | 2 | 2011 | 영어와문학

『난 햄릿 역이 싫어』에 나타난 존 배리모어의 유령의 극적 중요성

Dramatic Importance of John Barrymore's Ghost in I Hate Hamlet

Shakespeare Review | 47 | 1 | 2011 | 영어와문학

데아 로어의 푸른 수염에 관한 연구 -『희곡 블라우바르트, 여인들의 희망』을 중심으로

Eine Studie zum Theaterstück Blaubart - Hoffnung der Frauen von Dea Loher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의 변용과 수용 양상 고찰

A study of acculturation and acceptance pattern of the Peacock Flying Southeast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셰익스피어와 한국의 전통 천문학

Shakespeare and Traditional Korean Astronomy

영어영문학 | 58 | 4 | 2012 | 영어와문학

A Comparison of Two Adaptations of Romeo and Juliet (1968 & 1996)

<로미오와 줄리엣>의 두 가지 각색에 대한 비교 (1968년 작과 1996년 작)

영상문화 | 16 | 2010 | 학제간연구

A Comparison of Two Adaptations of Romeo and Juliet (1968 & 1996)

<로미오와 줄리엣>의 두 가지 각색에 대한 비교 (1968년 작과 1996년 작)

영상문화 | | 16 | 2010 | 학제간연구

오태석 연극의 연행성 -<로미오와 줄리엣>을 중심으로-

Die Performativität von Oh Taesoks Romeo und Julia

한국연극학 | 41 | 2010 | 연극

오태석 연극의 연행성 -<로미오와 줄리엣>을 중심으로-

Die Performativität von Oh Taesoks Romeo und Julia

한국연극학 | | 41 | 2010 | 연극

가정법의 제국의 윤리? —『로미오와 줄리엣』의 후기식민주의 텍스트

Ethics of Empire in Subjunctive Mood?: Postcolonial Texts of Romeo and Juliet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

가정법의 제국의 윤리? —『로미오와 줄리엣』의 후기식민주의 텍스트

Ethics of Empire in Subjunctive Mood?: Postcolonial Texts of Romeo and Juliet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