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

연구분야 : B0201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클래스 : 교환/교류/교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882

STNet ID : 1001749

한자 : 交流
영어 : interchange
영어 : exchange

x03-06-02 교환/교류/교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인적 교류 [ 人的交流 ]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도농 교류 () [ 都農交流 ]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R] 한중 연극 교류 () [ 韓中演劇交流 ]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한일 교류 [ 韓日交流 ]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한중 교류 [ 韓中交流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c03-03 문화/생활 /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공연 교류 [ 公演交流 ]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한중일 교류 [ 韓中日交流 ]

hasKind (종류)

 

 

경제 교류 () [ 經濟交流 ]

hasKind (종류)

 

 

대학생 교류 [ 大學生交流 ]

R1:개념적

RT (관련어)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상호 관계 () [ 相互關係 ]

마르크스 사상에서 감성의 정치 혹은 문화정치의 가능성: ‘욕구(Bedürfnisse)’개념의 재해석을 통하여

Possibilities of Cultural Politics or Politics of Sensibilities in Marxism: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need (Bedürfnisse)’

한국정치학회보 | 45 | 5 | 2011 | 정치외교학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chinese(Song~Yuan) Spoons - tenancy Fishtail-edge spoon -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chinese(Song~Yuan) Spoons - tenancy Fishtail-edge spoon -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晩悟 朴來謙의 『瀋槎日記』 硏究

A Study on 『Simsa-diary(瀋槎日記)』 of Man-o(晩悟) Park, Rae-gyeom(朴來謙)

동방한문학 | 51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distortion of Japanese history textbook and its response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청동기시대 혼펠스제 마제석검의 산지추정

The current view study on a place of production presumption of hornfels-polished stone dagger in the Bronze Age

고고광장 | 9 | 2011 | 기타고고학

18~19세기, 시적 공간으로서의 한양에 대한 일고찰 - 교류와 통합, 공존에 주목하여 -

A Study on Hanyang as a Poetic Space in 18~19th century - Focused on Interchange, Intergration and Coexistence -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8~19세기, 시적 공간으로서의 한양에 대한 일고찰 - 교류와 통합, 공존에 주목하여 -

A Study on Hanyang as a Poetic Space in 18~19th century - Focused on Interchange, Intergration and Coexistence -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쿵주(空竹)놀이의 변용과 축제화 과정-베이징(北京)과 바오딩(保定) 쿵주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festival of an kongzu-centered on baoding and beijing kongzhu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한국과 베트남 문화교류의 흐름에서 본 양국 전통음악 교류의 현황과 특성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change of Traditional Music between Korea and Vietnam - in view of Cultural Exchange

민족문화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과 베트남 문화교류의 흐름에서 본 양국 전통음악 교류의 현황과 특성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change of Traditional Music between Korea and Vietnam - in view of Cultural Exchange

민족문화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森槐南의 경우로 본 애국계몽기 지식인의 對日 인식

The Thought of Chosun intellectual about Japan Empire by A Case of MORI KAINAN(森槐南) in 1905~191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편마암류 석기의 산지연구

The Study of the Provenance of Gneiss Stone Tools of the Bronze Age in the Ulsan Region

야외고고학 | 9 | 2010 | 고고학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편마암류 석기의 산지연구

The Study of the Provenance of Gneiss Stone Tools of the Bronze Age in the Ulsan Region

야외고고학 | | 9 | 2010 | 고고학

상고시기 한반도 서남부와 일본 큐슈지역 간 교류 및 문화적 상관관계

The Interchange and Cultural Interrelation betwee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yushu Area of Japan in Ancient Times

동방학지 | 153 | 2011 | 기타인문학

大加耶의 성장과 龍鳳紋大刀文化

The growth of Great Kaya seen through Sword with a dragon and phoenix motif ring pommel

신라사학보 | 18 | 2010 | 역사학

大加耶의 성장과 龍鳳紋大刀文化

The growth of Great Kaya seen through Sword with a dragon and phoenix motif ring pommel

신라사학보 | | 18 | 2010 | 역사학

原三國後期 嶺南地域과 京畿·忠淸地域 鐵矛의 交流樣相

The Nature of Exchange of Iron Spears between the Yeongnam and Gyeonggi · Chungcheong Area in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한국고고학보 | 81 | 2011 | 역사학

사용자에 의한 변화형 다목적 패션디자인의 형식적 교류의 유형 및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orm Interaction of Transformable Multipurpose Fashion by User Interfaces

디자인학연구 | 24 | 2 | 2011 | 디자인

上古時期 韓半島와 日本列島間 주민이동 및 교류양상에 관한 검토

The examination about an inhabitants'migration and interchanging aspec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ancient times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上古時期 韓半島와 日本列島間 주민이동 및 교류양상에 관한 검토

The examination about an inhabitants'migration and interchanging aspec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ancient times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高麗 武臣政權期 宋商의 往來

Traffic of 'Songsang'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of Goryeo Dynast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高麗 武臣政權期 宋商의 往來

Traffic of 'Songsang'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of Goryeo Dynast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통제와 교류의 장소, 부산 왜관

The Place of Regulation and Exchange, Busan Waegwan in the Later Chosun

한일관계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통제와 교류의 장소, 부산 왜관

The Place of Regulation and Exchange, Busan Waegwan in the Later Chosun

한일관계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靑銅器時代 耽津江流域의 文化交流 樣相과 交通路

A Study on the Trade and Routes of Bronze Age in Tamjin River Basin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靑銅器時代 耽津江流域의 文化交流 樣相과 交通路

A Study on the Trade and Routes of Bronze Age in Tamjin River Basin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한국과 돈황의 교류 및 상호인식

韓國和敦煌的交流與相互認識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한․일 간 지방관광 발전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ek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a Local Tourism between Korea and Japan

관광레저연구 | 22 | 3 | 2010 | 관광학

한․일 간 지방관광 발전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ek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a Local Tourism between Korea and Japan

관광레저연구 | 22 | 3 | 2010 | 관광학

雨森芳洲의 一考察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memorihousiu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雨森芳洲의 一考察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memorihousiu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19세기말 한일어의 접촉과 교류 연구 -‘근대한국어코퍼스’를 사용하여-

19世紀末韓·日両語の接触及び交流の研究

일본어학연구 | 34 | 2012 | 일본어와문학

한민족과 중앙아시아 민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길의 의미와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d the Central Asian People: Road constructions & its integrating role

아시아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한민족과 중앙아시아 민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길의 의미와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d the Central Asian People: Road constructions & its integrating role

아시아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골 어(La langue gauloise)와 골(Gaule) 주변 언어 간 혼효 현상 연구: 고대 및 중세 초 골 지역을 중심으로

La diversité des inscriptions entre la langue gauloise et les langues voisines: le cas de la Gaule dans l'antiquité et le haut moyen âge

프랑스학연구 | 6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