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3년 필담창화를 통해 본 조선과 일본의 시문창화 인식 변화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himunchanghwa of Joseon and Japan as Seen through the Pildamchanghwa of 1763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新羅와 倭의 교류와 인물전승의 의미 -昔于老와 朴堤上의 경우-
The Interchange between Shila and Wae [Japan] and the Meanings of the Transmission of Historical Characters-The Cases of Seok Wu-ro and Bak Jesang-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新羅와 倭의 교류와 인물전승의 의미 -昔于老와 朴堤上의 경우-
The Interchange between Shila and Wae [Japan] and the Meanings of the Transmission of Historical Characters-The Cases of Seok Wu-ro and Bak Jesang-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日韓コミュニケーション増進と日韓関係
Korea-Japan Relations and Communication Structure Exploiting Mutual Aversion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유라시아연구 |
9 |
2 |
2012 |
기타사회과학
1682년 한일 문사 교류 담당층의 확립과 소통의 확대
About Establishing the Class of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1682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1682년 한일 문사 교류 담당층의 확립과 소통의 확대
About Establishing the Class of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1682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18世紀初 朝日文士의 身分的 特性에 따른 筆談交流의 分化樣相에 對하여
On the Specialization of Written Conversations Resulting from the Social Status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Men of Joseon and Japan in the Early 18th Century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18世紀初 朝日文士의 身分的 特性에 따른 筆談交流의 分化樣相에 對하여
On the Specialization of Written Conversations Resulting from the Social Status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Men of Joseon and Japan in the Early 18th Century
민족문화논총 |
|
44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