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법

연구분야 :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연구/조사방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9017

STNet ID : 1001751

한자 : 調査法
영어 : survey
동의어(UF) : 조사(調査)
동의어(UF) : 조사방법(調査方法)

d03-01 연구/조사방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자료 수집 [ 資料蒐集 ]

N1:종류

hasKind (종류)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CLT () [central location test]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전화 조사 [ 電話調査 ]

hasKind (종류)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시장 조사 [ 市場調査 ]

hasKind (종류)

 

 

우편 조사 [ 郵便調査 ]

hasKind (종류)

 

 

통계 조사 [ 統計調査 ]

hasKind (종류)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방문 조사 [ 訪問調査 ]

hasKind (종류)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종단적 조사법 [ 縱斷的調査法 ]

hasKind (종류)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횡단적 조사법 [ 橫斷的調査法 ]

hasKind (종류)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설문 조사 () [ 設問調査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개입 연구 [ 介入硏究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인터넷 설문 조사 [ --設問調査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거주자 설문 조사 () [ 居住者設問調査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현지 직접 방문 조사 () [ 現地直接訪問調査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현지 설문 조사 () [ 現地設問調査 ]

조선시대 봉수대의 구조와 조사방법

The Structure and Investigation Method of Beacon Sites of the Joseon Period

야외고고학 | 9 | 2010 | 고고학

조선시대 봉수대의 구조와 조사방법

The Structure and Investigation Method of Beacon Sites of the Joseon Period

야외고고학 | | 9 | 2010 | 고고학

동물유존체 출토 유적 및 유구 조사방법론 - 패총유적 및 가축매납수혈유구 관련 척추동물유존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Methodology of Sites and Features Yielding Animal Remains - With focus on vertebrate remains from shell middens and pits where livestock was intentionally buried -

야외고고학 | 9 | 2010 | 고고학

동물유존체 출토 유적 및 유구 조사방법론 - 패총유적 및 가축매납수혈유구 관련 척추동물유존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Methodology of Sites and Features Yielding Animal Remains - With focus on vertebrate remains from shell middens and pits where livestock was intentionally buried -

야외고고학 | | 9 | 2010 | 고고학

수혈식석곽묘 조사방법에 대한 검토 -‘함안 도항리 삼양인트로빌신축부지 내 유적’예를 중심으로-

Examining the Excavation Methods of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With focus on the burials located within the Samyang Introville construction site in Haman Dohang-ri-

야외고고학 | 9 | 2010 | 고고학

수혈식석곽묘 조사방법에 대한 검토 -‘함안 도항리 삼양인트로빌신축부지 내 유적’예를 중심으로-

Examining the Excavation Methods of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With focus on the burials located within the Samyang Introville construction site in Haman Dohang-ri-

야외고고학 | | 9 | 2010 | 고고학

강원지역의 고문서ㆍ고서 정리현황과 조사방법

Arranging and Surveying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in the Gangwon Region

古文書硏究 | 39 | 2011 | 역사학

朝鮮時代土壙墓調査方法에 대한 一考

Consideration on the Investigation of Pit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야외고고학 | 11 | 2011 | 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