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 체계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기준/규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9266

한자 : 聲調體系
영어 : tone system

e02-03 기준/규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성조형 [ 聲調形 ]

hasIssue (이슈/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 音節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성조 [ 聲調 ]

한국한문학의 中原 미학론 수용양상과 미학적 연구의 새 지평

An aspect of Chinese aesthetic theory in Korea chinese classics and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esthetic study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한문학의 中原 미학론 수용양상과 미학적 연구의 새 지평

An aspect of Chinese aesthetic theory in Korea chinese classics and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esthetic study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선 방언 성조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onology in Jeongseon Dialect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선 방언 성조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onology in Jeongseon Dialect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盧守愼의 詩世界 - 海東江西詩派의 詩論을 中心으로 -

A Poem Literature of No Su-shi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盧守愼의 詩世界 - 海東江西詩派의 詩論을 中心으로 -

A Poem Literature of No Su-shi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씨향약언해> 화산본의 성조 연구-<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의 성조와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one of -Focus on comparison of the tone of and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 방언 성조의 성격과 성조 체계 기술의 기본 단위

The Nature of Korean Tone System and the Stratum of Tonal Pattern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