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절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14

STNet ID : 1000705

한자 : 音節
영어 : syllabl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운율 구조 () [ 韻律構造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개음절 [ 介音節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음절 [ 單音節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운모 [ 韻母 ]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성모 [ 聲母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폐음절 [ 閉音節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음소 [ 音素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성조 체계 [ 聲調體系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소 배열 [ 音素配列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구조 () [ 音節構造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탈락 () [ 音節脫落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축약 () [ 音節縮約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모라 이론 [ -- 理論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지각 [ 音節知覺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구분 () [ 音節區分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기본 음절표 [ 基本音節表 ]

이중모음의 정의와 이중모음에서의 분절음 탈락 - ‘wi → i ~ u’, ‘ɨy → ɨ ~ i’를 중심으로-

A definition of diphthong and deletion of a segment in diphthong― focusing on ‘wi → i ~ u’, ‘ɨy > ɨ ~ i’ ―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二重母音의 音韻論的 性格에 對하여

On the Phonological Properties of Diphtho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二重母音의 音韻論的 性格에 對하여

On the Phonological Properties of Diphtho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용적 이항구조의 어순제약 - 특히 독어와 영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층위를 중심으로

Word Order Constraints on German and English Binomial Idioms. - Focusing on the Phonetico-Phonological Levels of German and English

언어과학연구 | 55 | 2010 | 언어학

관용적 이항구조의 어순제약 - 특히 독어와 영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층위를 중심으로

Word Order Constraints on German and English Binomial Idioms. - Focusing on the Phonetico-Phonological Levels of German and English

언어과학연구 | | 55 | 2010 | 언어학

국어 음운론의 용어 ‘반모음, 이중모음, 중성’에 대한 검토

The Examination of the Phonological Terms ‘Semivowel, Diphthong, Middle’ in Korean

한글 | 296 | 2012 | 한국어와문학

프랑스어 Verlan에 관한 연구 I -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L'étude sur la formation de VERLAN dans la langue française

프랑스어문교육 | 4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음소 및 음절의 출현빈도 분석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of 1st Grade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1 | 2011 | 교육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자전의 편찬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for Publishing Character Dictionary of Handwritten Korean used in Letters in Joseon Period

서예학연구 | 21 | 2012 | 서예

숫자가 쓰인 중국 성어(成語) 고찰

A Study On Chinese Compound words with numeral letters

철학∙사상∙문화 | 13 | 2012 | 기타인문학

숫자가 쓰인 중국 성어(成語) 고찰

A Study On Chinese Compound words with numeral letters

철학∙사상∙문화 | 13 | 2012 | 기타인문학

독어의 관용적 이항구조 어순제약 -특히 빈도수를 중심으로-

Beschränkung der Wortfolge der idiomatischen Binomialbildung in der deutschen Sprache

독어교육 | 50 | 50 | 2011 | 독일어와문학

가고시마방언의 음절과 모라

日本語敎育 | 61 | 2012 | 일본어와문학

The Formal Grapheme <ㅇ> in Middle Korean

중세 한국어의 형체 자소

인문과학연구 | 32 | 2012 | 기타인문학

현대국어 音節의 가짓수 연구

A Study on the Number of Syllable Types in Present-day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音節의 가짓수 연구

A Study on the Number of Syllable Types in Present-day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