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소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각국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8

한자 : 音素
영어 : phonemes

E03 언어/각국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 音韻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 音節 ]

N1:종류

hasKind (종류)

 

 

3중 대립 음소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소 배열 [ 音素配列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문화소 [ 文化素 ]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음운론 [ 音韻論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소 체계 [ 音素體系 ]

RT (관련어)

 

 

음소 지각 공간 [ 音素知覺空間 ]

수업언어가 제2언어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2 | 2010 | 영어교육

수업언어가 제2언어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2 | 2010 | 영어교육

낱말읽기에서의 초등학생 음운해독력 발달

The Decoding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in Word Reading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2 | 2011 | 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음소 및 음절의 출현빈도 분석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of 1st Grade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1 | 2011 | 교육학

기초어 凸의 음운·어형 변화 -[어]계를 중심으로-

Transformation of Phoneme and Word Form on a Root Word 凸

언어과학 | 19 | 1 | 2012 | 언어학

한국어 음운론 교육의 몇 문제

A few problem on phonologic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한글단어의 인지에 있어서 초·중·종성자의 역할비중

Comparisons with Initial, Medial, and Final Phonemes of Impacts to Recognize Hangul Words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6 | 2011 | 정보디자인

Stud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in the English Listening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듣기영역에서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소변화인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 28 | 1 | 2010 | 기타교육학

Stud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in the English Listening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듣기영역에서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소변화인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 28 | 1 | 2010 | 기타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