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구

연구분야 : A090500 인문학 > 언어학 > 통사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132

STNet ID : 1000332

한자 : 名詞句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NP [noun phrase]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句 () [ 句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구 내포문 () [ 名詞句內包文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상호사 [reciprocal]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구 어순 [ 名詞句語順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NPAH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채’와 ‘째’의 통시적 문법

‘채’および‘째’の通時的文法

규장각 | 36 | 2010 | 기타인문학

‘채’와 ‘째’의 통시적 문법

‘채’および‘째’の通時的文法

규장각 | | 36 | 2010 | 기타인문학

인용절의 범주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quotative clauses

언어와언어학 | 55 | 2012 | 언어학

Czasownik a grupa nominalna w konstrukcjach translokatywnych

Глагол и именная группа в транслокативных конструкциях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Czasownik a grupa nominalna w konstrukcjach translokatywnych

Глагол и именная группа в транслокативных конструкциях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구조격 조사도 핵인가 -임동훈(1991, 2008)을 중심으로-

Can the Structural Case Markers be Heads?

시학과 언어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구조격 조사도 핵인가 -임동훈(1991, 2008)을 중심으로-

Can the Structural Case Markers be Heads?

시학과 언어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일본어 조사에 관한 연구 - 「この/そのNがP」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vestigation of modern Japanese - focused on 「kono/sono N ga P」-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현대일본어 조사에 관한 연구 - 「この/そのNがP」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vestigation of modern Japanese - focused on 「kono/sono N ga P」-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부사성 명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dverbial Noun.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사성 명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dverbial Noun.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말-’ 구성의 의미 기능

A Study of the meaning on the ‘mal-’ construction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독일어 문장 이해를 위한 부가어 학습 모형 : 독일어 관계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Learning Model of German Attribute : Focused on the German Relative Clause

교사교육연구 | 50 | 1 | 2011 | 교사교육

The Slavic Noun Phrase: Definiteness, Little n and Case Shift

Именная группа в славянских языках: Определённость, лёгкое имя существительное (little n), смена падежей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