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句

연구분야 : A090500 인문학 > 언어학 > 통사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68

한자 : 句
영어 : phras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문법 단위 () [ 文法單位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장 () [ 文章 ]

N1:종류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관용구 [ 慣用句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사구 [ 動詞句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구 [ 名詞句 ]

천태지의의 성구설(性具說)에 대한 소고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of Tian-Tai Zhiyi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천태지의의 성구설(性具說)에 대한 소고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of Tian-Tai Zhiyi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통사적 접사 ‘-요’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A Study on the Aspect of Combination of Syntactic Suffix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협주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석보상절>과 <월인석보>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Prefinal Ending ‘-O-’ Appeared in the Inserted Notes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15세기 관형화 구성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A Study on the 15th Century Determiner Composition

겨레어문학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日本語におけるもう一つの複合動詞 -韓国語の複合動詞の特徴も考慮して-

일본어의 또 하나의 복합동사 -한국어 복합동사의 특징도 고려하여-

일본어학연구 | 34 | 2012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