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음악

연구분야 : G020800 예술체육 > 음악학 > 종족음악학/세계음악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24

STNet ID : 9002987

한자 : 蒙古音樂
영어 : Mongolian music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2 국가명 국가명

몽골 () [Mongol]

S:동의

UF (비우선어)

 

 

몽고 음악 [ 蒙古音樂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동양 음악 () [ 東洋音樂 ]

R1:개념적

RT (관련어)

 

 

호금

RT (관련어)

 

 

마두금

몽골 야탁과 북한 가야금의 교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xtbooks of Mongolian Yatag and North Korean Gayagum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몽골 야탁과 북한 가야금의 교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xtbooks of Mongolian Yatag and North Korean Gayagum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몽골 불교음악 연구

The Study of Mongolian Buddhist Music

몽골학 | 33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현대 몽골민족의 현악기 야탁

Today in The Mongolian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s Yatga

국악교육 | 32 | 32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몽골 ‘참’과 한국 ‘영산재’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Mongol’s ‘Tsam’ with Korea’s ‘Yeongsanjae’

몽골학 | 32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한·몽 수교 20년간 음악문화 교류

Music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Mongolia over the Last 2 Decades

몽골학 | 29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불교의례악기 연구

The Study of Mongolian Buddhist Musical Instruments

국악교육 | 33 | 33 | 2012 | 한국음악이론/분석

배음(倍音) 관악기 몽골 초르의 현상학적 상징성

The Phenomenological Symbolism of Mongolian ‘Tsuur’

한국음악연구 | 47 | 2010 | 음악학

배음(倍音) 관악기 몽골 초르의 현상학적 상징성

The Phenomenological Symbolism of Mongolian ‘Tsuur’

한국음악연구 | 47 | | 2010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