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

연구분야 : B1201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 교육사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971

한자 : 國學
영어 : study of culture and heritage of the country

y06-01 조직/단체명

이전기관명

태학감 (太學監)

시대4

삼국시대 (三國時代)

구분

교육 기관 (敎育機關)

설립목적_t

관리양성

설립일자_t

682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양현고 [ 養賢庫 ]

R2:기능적

manages (관리 대상)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독서삼품과 [ 讀書三品科 ]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석주명의 제주도 자료에 나타난 제주문화 : 『제주도수필집』에 나타난 제주도의 자연과 인문환경의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Culture of Jeju Shown in the Jeju Island Materials of Joomyoung Seok : Centering on the Critical Review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Nature and Humanity Environment Shown in 『Jeju Island Essay Collection』

한국출판학연구 | 37 | 2 | 2011 | 신문방송학

2009년도 일본의 유학, 고학, 국학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Japanese Confucianism, Kogaku, and Kokugaku in 2009

日本思想 | 18 | 2010 | 철학

2009년도 일본의 유학, 고학, 국학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Japanese Confucianism, Kogaku, and Kokugaku in 2009

日本思想 | | 18 | 2010 | 철학

석주명의 제주도 자료에 나타난 제주문화 : 『제주도수필집』에 나타난 제주도의 자연과 인문환경의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Culture of Jeju Shown in the Jeju Island Materials of Joomyoung Seok : Centering on the Critical Review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Nature and Humanity Environment Shown in 『Jeju Island Essay Collection』

한국출판학연구 | 37 | 2 | 2011 | 신문방송학

2008년도 일본유학 및 국학사상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Japanese Confucianism and Kokugaku Thought in 2008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2008년도 일본유학 및 국학사상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Japanese Confucianism and Kokugaku Thought in 2008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개혁개방이후 중국 국가이데올로기 형성과 대학의 역할 - ‘국학’ 담론을 중심으로 -

中国改革开放以后国家意识形态的形成与高校的作用 - 以‘国学’话语为中心 -

중국사연구 | 77 | 2012 | 동양사

나비분류학에서 인문학까지 -석주명식 확산형 학문의 전개와 의미-

From Butterfly Taxonomy to the Humanities: The Growth and Significance of Seok Joo-myung’s Butterfly Research

탐라문화 | 40 | 2012 | 기타인문학

국학의 이념과 근대시의 거절 - 최남선과 안확의 시조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Study’s Ideology and Refusal on Modern Poetry - Focusing on the Sijo theories of Choi Nam-Sun and An Whak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18세기 일본사상의 전개양상과 성격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 of Japanese Thought in the 18th Century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국학과 과학 방법 : 후스(胡適)의 ‘국고정리론(國故整理論)’과 청대 학술의 해석

Scientific Method and Guoxue(National Learning): Hu Shi's hermeneutic explanation on Ch'ing Philological Studies and his methodology of re-evaluation of National Treasury.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20세기 초~중반 ‘燕巖’에 대한 탐구와 조선학의 지평 - ‘연암’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2) -

Research on “Yeon-am” in Early and Mid-20th Century and Prospect of Joseon Studies - Formation and Its Origin of Classic Called “Yeon-am”(2)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일본의 ‘和魂洋才’가 갖는 근대화방법론의 重層的 특징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Methodology of 'Wa kon yō sai(和魂洋才)' of Japan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和魂洋才’가 갖는 근대화방법론의 重層的 특징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Methodology of 'Wa kon yō sai(和魂洋才)' of Japan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일본사상의 전개양상과 성격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 of Japanese Thought in the 18th Century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국학과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

Kookhak and Minse Jae-Hong An’s Polotical Thought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일본 국학과 근대한국 범부 김정설의 국학사상 고찰

日本の國學と近代韓國の凡父金鼎卨の國學思想考察

동아시아불교문화 | 11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정본화(定本化)와 독본화(讀本化) 국학진흥의 기초

Authentic Book and Reading Book

한국학 | 35 | 3 | 2012 | 기타인문학

신라 國學의 설립과 그 주도세력

Establishment of Silla’s Gukhak and Its Leading Influence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新羅와 唐의 敎育體制 비교 -中央官學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al System for Shilla and Tang Dynasty -Government-run Schools as a Central-

대구사학 | 104 | 2011 | 역사학

신라 國學의 설립과 그 주도세력

Establishment of Silla’s Gukhak and Its Leading Influence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일본의 전통적 ‘심정’과 서구의 근대적 ‘형식’의 만남 — 근대 일본에서 ‘國學’ 이념의 이중성 —

The meeting of Japan's traditional 'feeling' and Western modern ' formality' - Duplicity of 'Kokgak (Culture and Heritage)' in the Modern Japan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일본 국학과 근대한국 범부 김정설의 국학사상 고찰

日本の國學と近代韓國の凡父金鼎卨の國學思想考察

동아시아불교문화 | 11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1920년대 국학연구와 학술관념의 변화 ― 북경대학연구소 國學門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63 | 2010 | 중국어와문학

1920년대 국학연구와 학술관념의 변화 ― 북경대학연구소 國學門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 63 | 2010 | 중국어와문학

국학 설립의 의의와 신라유학의 발전

The Significan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Culture and Heritage of the Country and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Silla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