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

연구분야 : G101500 예술체육 > 체육 > 무도학

클래스 : 신체운동/행동
전략/전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15

STNet ID : 1000349

한자 : 武藝

b01-05 신체운동/행동

d04-04 전략/전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무기 (무예) [ 武技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무도 (무예) [ 武道 ]

N1:종류

hasKind (종류)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한국 무예 [ 韓國武藝 ]

hasKind (종류)

 

 

동양 무예 [ 東洋武藝 ]

hasKind (종류)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궁도 [ 弓道 ]

hasKind (종류)

 

D04 기법/전략 기법/전략

기사(무예) [ 騎射 ]

hasKind (종류)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유도(무예) [ 柔道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연무 [ 鍊武 ]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무예 철학 [ 武藝哲學 ]

RT (관련어)

 

 

무인 [ 武人 ]

RT (관련어)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상무 [ 尙武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복싱 [boxing]

hasInstance (사례)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스모 경기 [ --競技 ]

hasInstance (사례)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e01-04 스포츠/놀이유형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택견

고종의 부국강병책에 내재된 무(武)의 재해석 ― 광무(光武)와 체양(體養)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The Martial Arts and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 Focused on ‘Bright Martial Arts’ as Era Name and ‘Physical Education’ of Royal Rescript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 | 2011 | 사회학

스포츠 관련 용어 정의 재정립

Redefinition of Terms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4 | 2011 | 체육

조선시대 정조대 장용영의 무예

A Study on Martial Arts of the Jang Yong Young During King Jeongjo's Rule in the Joseon Dynasty

대한무도학회지 | 13 | 1 | 2011 | 무도학

전통 무예단체 조직정비 방안

A Study on Organizing Maintenance Repair of Traditional Martial Arts Groups

대한무도학회지 | 12 | 1 | 2010 | 무도학

전통 무예단체 조직정비 방안

A Study on Organizing Maintenance Repair of Traditional Martial Arts Groups

대한무도학회지 | 12 | 1 | 2010 | 무도학

택견의 입장에서 바라본 문화적 속성으로써 태권도 현대사

The Modern History of Taekwondo as a Cultural Characteristic: From the Perspective of Taekky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4 | 2011 | 체육

조선후기 왕실호위조직의 무예에 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Military arts of Royal Security Organizations in Chosun Dynasty

대한무도학회지 | 14 | 2 | 2012 | 무도학

택견의 기합에 내재된 의미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inherent meaning of Taekkyon's Ki-hap(shout)

대한무도학회지 | 13 | 1 | 2011 | 무도학

한, 중, 일 무예의 의인화 이미지와 대학생의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gruence between Personalized Image of Martial Art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Self-Image of Consumers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5 | 1 | 2010 | 체육교육학

한, 중, 일 무예의 의인화 이미지와 대학생의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gruence between Personalized Image of Martial Art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Self-Image of Consumers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5 | 1 | 2010 | 체육교육학

무예의 터득과 체득 구조의 동양적 접근

A Study on the Grasp and Acquirement Structure of Martial Arts by Oriental View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3 | 2011 | 체육

조선전기 진법으로 본 무예 무기체계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martial arts with weaponry through military deployment in early Joseon Dynasty

한국체육사학회지 | 15 | 3 | 2010 | 기타예술체육

조선전기 진법으로 본 무예 무기체계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martial arts with weaponry through military deployment in early Joseon Dynasty

한국체육사학회지 | 15 | 3 | 2010 | 기타예술체육

이승만의 택견 인식과 최홍희의 태권도 명칭에 관련된 역사적 개연성 연구 - 이승만의 구한말 청년활동 기간을 중심으로 -

On historic probability related with Taekgeon consciousness of Seungman, Lee and Taekwondo title of Honghee, Choi - focusing on Seungman, Lee's youth activity period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

이승만의 택견 인식과 최홍희의 태권도 명칭에 관련된 역사적 개연성 연구 - 이승만의 구한말 청년활동 기간을 중심으로 -

On historic probability related with Taekgeon consciousness of Seungman, Lee and Taekwondo title of Honghee, Choi - focusing on Seungman, Lee's youth activity period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