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싱

연구분야 : G100700 예술체육 > 체육 > 사회/생활체육

클래스 : 스포츠/놀이유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37

한자 :
영어 : boxing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권투 [ 拳鬪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투기종목 [ 鬪技種目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이종격투기 [ 異種格鬪技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b01-05 신체운동/행동 신체운동/행동
b01-05 신체운동/행동 /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무예 (무술) [ 武藝 ]

N1:종류

hasKind (종류)

 

 

프로 복싱

R1:개념적

RT (관련어)

 

 

글러브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녹아웃 [knock-out]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복싱 선수 [ --選手 ]

초대서양(Transatlantic) 문화로서의 19세기 프라이즈 파이팅과 민족과 국가 정체성 만들기

Nineteenth-Century Boxing as a Transatlantic Culture and the Construction of Ethnic and National Identities

서양사론 | 110 | 2011 | 역사학

19세기 말 스포츠로서 미국 복싱의 발전과 탈계급적 남성성의 형성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Boxing as a Sport and the Construction of Cross-Class Ideals of Masculinity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미국사연구 | 33 | 2011 | 역사학

청소년 복싱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

Sources of Stress in Junior Elite Boxers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22 | 1 | 2011 | 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