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64

한자 : 文科

d02-01 사회제도

목적_o1

문관 선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과거 제도 () [ 科擧制度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대과 [ 大科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문과병과 [ 文科丙科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책문 (과거) [ 策問 ]

朝鮮時代 地方 居住 士族의 社會的 地位 維持 努力과 司馬試 ―羅州 居住 司馬試 入格者 實態 分析을 中心으로―

An Analysi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Naju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이화사학연구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朝鮮時代 地方 居住 士族의 社會的 地位 維持 努力과 司馬試 ―羅州 居住 司馬試 入格者 實態 分析을 中心으로―

An Analysi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Naju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이화사학연구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시대 문과 연구의 동향과 전망

Trends and Prospects about Mungwa of Joseon Period Research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퍼즐을 활용한 문과 · 이과의 판별 검사지 개발

A Development of Distinguishing Examin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hrough using Puzzles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 15 | 3 | 2012 | 교육학

19세기 文科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igher Civil Examination in the 19th Century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