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문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311

한자 : 策問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과거 제도 () [ 科擧制度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문과 [ 文科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 [ 政治 ]

역사의 의미 — 청말 중국의 ‘역사’ 인식과 ‘역사’ 읽기 —

The Significance of History -On the “History” of the Cognitive and Reading in the Late Qing Dynasty-

개념과 소통 | 8 | 2011 | 역사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