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

연구분야 : A090700 인문학 > 언어학 > 화용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00

STNet ID : 1000356

한자 : 文語
영어 : Written Language
일본어 : 書き言葉(書きことば)
프랑스어 : langue écrite
중국어 : 书面语言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어 () [ 口語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 () [ 言語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어 말뭉치 [ 文語--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음운 처리 [ 音韻處理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시각 언어 [ 視覺言語 ]

정도 부사의 결합 관계와 한국어 교육

On the use of the degree adverb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도 부사의 결합 관계와 한국어 교육

On the use of the degree adverb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말하기 교육을 위한 격식 표현 연구 - 공적 말하기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formal expressions for speech education

교양교육연구 | 4 | 1 | 2010 | 학제간연구

말하기 교육을 위한 격식 표현 연구 - 공적 말하기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formal expressions for speech education

교양교육연구 | 4 | 1 | 2010 | 학제간연구

번역과 훈독 -현지화된 문자로서-

Translation and Kundoku - As Localized Characters -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인터랙티브 매체 시대의 한국어 - 역사적 매체 발달에 따른 언어 변화 동인을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at Interactive Media Era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랙티브 매체 시대의 한국어 - 역사적 매체 발달에 따른 언어 변화 동인을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at Interactive Media Era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Error Analysis of Writing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Diary Analysi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4 | 2010 | 교육학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Error Analysis of Writing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Diary Analysi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4 | 2010 | 교육학

≪구어 사전≫ 편찬의 원리와 실제 —표제어 선정을 중심으로

The Theory and Realization of the Compilation of a Korean Spoken Language Dictionary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어에 나타나는 ‘-는데’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neunde’ in Written Text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

论汉语书面语教学体系的建立

Discussion on the Establishing of the System of Teaching Written Chinese

중국언어연구 | 37 | 2011 | 중국어와문학

구어·문어 통합 문법 기술의 방향과 자료 구축의 문제

A Study on an Integrated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Contemporary Korean and the Problem with Building Corpus

인문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텍스트 유형학을 활용한 프랑스어 문어 학습

Effets de l'apprentissage de la langue écrite guidée par la typologie textuelle en FLE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