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 반응 이론

연구분야 : B1205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평가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45

STNet ID : 1000365

한자 : 問項反應理論
영어 : Item Respose Theory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집단 불변성 [ 集團 不變性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검사 이론 [ 檢査理論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다차원 문항 반응 이론 [ 多次元問項反應理論 ]

hasBranch (분기/분과)

 

 

다분 문항 반응 이론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북마크 방법 [ --方法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난이도 모수 [ 難易度母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문항 난이도 모수 [ 問項難易度母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육 평가 [ 敎育評價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3-03 측정/척도 측정/척도

IRT 동등화 [ --同等化 ]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문항 적합도 [ 問項適合度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문항 선정 방법 [ 問項選定方法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결합최대우도추정법 [ 結合最大偶度推定法 ]

RT (관련어)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검사 동등화 [ 檢査同等化 ]

RT (관련어)

 

c01-05 분포 분포

문항 반응 분포 [ 問項反應分布 ]

RT (관련어)

 

D03 방법 방법

일차원성 가정 [ 一次元性假定 ]

RT (관련어)

 

d03-03 측정/척도 측정/척도

정보 함수 [ 情報函數 ]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부분 점수 모형 [ 部分點數模型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정규오자이브모형 [ 正規--模型 ]

isAppliedTo (적용 대상)

 

 

로지스틱모형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라쉬 모형 () [ --模型 ]

기업 e-러닝 학업성취도 측정 문항 난이도 분석: 문항반응 이론을 기반으로

Validation of corporate e-Learning test item difficulty in Korea: IRT(Item Response Theory)-based approach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6 | 3 | 2010 | 교육학

기업 e-러닝 학업성취도 측정 문항 난이도 분석: 문항반응 이론을 기반으로

Validation of corporate e-Learning test item difficulty in Korea: IRT(Item Response Theory)-based approach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6 | 3 | 2010 | 교육학

An Application of Testlet-based Response Theory Model to a Reading Comprehension Section of a TOEIC Practice Test

언어과학 | 17 | 4 | 2010 | 언어학

An Application of Testlet-based Response Theory Model to a Reading Comprehension Section of a TOEIC Practice Test

언어과학 | 17 | 4 | 2010 | 언어학

혼합형 검사를 사용한 피험자 능력모수 추정에서 가중우도 방법과 사후기대 방법의 기능 비교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the Weighted Likelihood and Expected A Posteriori Methods in Estimation of IRT Ability Parameters with Mixed Format Tests

교육평가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혼합형 검사를 사용한 피험자 능력모수 추정에서 가중우도 방법과 사후기대 방법의 기능 비교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the Weighted Likelihood and Expected A Posteriori Methods in Estimation of IRT Ability Parameters with Mixed Format Tests

교육평가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원격교육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A study on validation of social presence scale in distance education using item response theory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7 | 1 | 2011 | 교육학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수직척도 타당성 검토

A Validity Study for Vertical Scale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05

교육평가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수직척도 타당성 검토

A Validity Study for Vertical Scale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05

교육평가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이항모형방법과 IRT 방법으로 추정된 조건부 측정오차의 실증적 비교

Comparison of Conditional Errors of Measurement Using the binomial method and IRT method

교육종합연구 | 10 | 1 | 2012 | 교육학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영상평가의 양호도 검증

Goodness of Multimedia Test Program for Assessing Basketball Knowledg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12 | 2 | 2010 | 체육측정평가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영상평가의 양호도 검증

Goodness of Multimedia Test Program for Assessing Basketball Knowledg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12 | 2 | 2010 | 체육측정평가

성격 측정에서 우세반응 모형과 이상점반응 모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dominance process model and ideal point response model for personality assesment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25 | 2 | 2012 | 심리과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점수화를 위한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Scoring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교육과학연구 | 41 | 3 | 2010 | 교육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점수화를 위한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Scoring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교육과학연구 | 41 | 3 | 2010 | 교육학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에 대한 연구 -제20회∼제22회 고급 수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ea of reading in TOPIK - On the focus of advanced level beteen the 20 and the 22 -

교육종합연구 | 9 | 2 | 2011 | 교육학

문항모수 추정치에 기반한 문항 및 검사 신뢰도의 추정: 혼합유형문항검사 자료를 중심으로

Estimating the Item and Test Reliability as Functions of the IRT parameters

아시아교육연구 | 12 | 1 | 2011 | 교육학

IRT summed-score linking to achieve comparability between observed test scores

관찰점수 간 비교가능성 획득을 위한 IRT 총점 연계 기법

교육평가연구 | 23 | 2 | 2010 | 교육학

IRT summed-score linking to achieve comparability between observed test scores

관찰점수 간 비교가능성 획득을 위한 IRT 총점 연계 기법

교육평가연구 | 23 | 2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