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평가

연구분야 : B1205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평가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240

STNet ID : 1001307

한자 : 敎育評價
영어 : educational evaluation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음악 교육 평가 () [ 音樂敎育平價 ]

isKindOf (상위 유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평가 () [ 評價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측정 연구 [ 測定硏究 ]

N1:종류

hasKind (종류)

 

 

수학 교육 평가 [ 數學敎育評價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컴퓨터 교과 평가 [ --敎科評價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행동 평가 [ 行動評價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상호 평가 [ 相互評價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과정 지향적 평가 [ 過程志向的評價 ]

hasKind (종류)

 

 

학력 평가 [ 學力評價 ]

hasKind (종류)

 

 

유아 교육 평가 [ 幼兒敎育評價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학생 평가 [ 學生評價 ]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평가 준거 [ 評價準據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문항 반응 이론 [ 問項反應理論 ]

hasIssue (이슈/주제)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인과 구조 () [ 因果構造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학 교육 인증제 [ 工學敎育認證制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실행가능성 기준 [ 實行可能性基準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초등학교 교육평가체제 [ 初等學校 敎育評價體制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전자 포트폴리오 [ 電子--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이러닝 평가 [ -- 評價 ]

RT (관련어)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교사 평가 규준 [ 敎員平價規準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기능 상태 () [ 機能狀態 ]

RT (관련어)

 

 

교육 평가제 [ 敎育評價制 ]

RT (관련어)

 

 

교육 평가법 [ 敎育評價法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결합최대우도추정법 [ 結合最大偶度推定法 ]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문항분석 [ 問項分析 ]

hasMethod (방법/기법)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표집 방법 [ 標集方法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evaluation of student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observation and portfolio assessment in middle school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1 | 2010 | 교육학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evaluation of student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observation and portfolio assessment in middle school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1 | 2010 | 교육학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분석 - 수학과 3-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Third-Grad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4 | 2 | 2010 | 교육학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분석 - 수학과 3-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Third-Grad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4 | 2 | 2010 | 교육학

문법교육의 생태학적 평가 방안 연구 -텍스트와 맥락을 활용한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하여-

Ecological Assessment Methods in Grammar Education -Making an Assessment Question Using Text and Context-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