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Reading the Meanings of the Jinsan and Jusan of Eupchi(county seat) in the Joseon Dynasty
문화역사지리 |
22 |
2 |
2010 |
인문지리학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Reading the Meanings of the Jinsan and Jusan of Eupchi(county seat) in the Joseon Dynasty
문화역사지리 |
22 |
2 |
2010 |
인문지리학
전통 民墓 마을의 경관 분포와 장소 의미 - 대전광역시 이사동을 사례로 -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 and the Meaning of Place in the Case of Traditional Grave Village
문화역사지리 |
23 |
1 |
2011 |
인문지리학
세종대~단종대의 정치 변동과 풍수지리-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Political fluctuation and influence of feng shui theory from the stage of Se-jong(世宗) to that of Dan-jong(端宗)-Through feng shui expert Mok-hyo-Ji(睦孝智)’s case-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조선 왕릉의 능역과 성속의 구분
The Study on the precincts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acred area of the royal tomb
서울과 역사 |
75 |
2010 |
역사학
조선 왕릉의 능역과 성속의 구분
The Study on the precincts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acred area of the royal tomb
서울과 역사 |
|
75 |
2010 |
역사학
영동지역 읍치의 입지와 경관 -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
Location and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Yeongdong Are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영동지역 읍치의 입지와 경관 -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
Location and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Yeongdong Are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 지리산 청학동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Place Identity's Change of Cheonghak-dong Utopia at Jiri Mountai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 지리산 청학동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Place Identity's Change of Cheonghak-dong Utopia at Jiri Mountai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한국의 전통지리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
The Korean Old Map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Fengshui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양양 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Castle in Yangyang Town
국토지리학회지 |
44 |
2 |
2010 |
지리학
양양 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Castle in Yangyang Town
국토지리학회지 |
44 |
2 |
2010 |
지리학
昭寧園 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 淑嬪崔氏 「墓所圖形與山論」의 分析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Landform Expression of the Mountain Map of Soyoungw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Treatise on Grave Drawing and Mountain」 of Sookbin Choi -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昭寧園 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 淑嬪崔氏 「墓所圖形與山論」의 分析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Landform Expression of the Mountain Map of Soyoungw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Treatise on Grave Drawing and Mountain」 of Sookbin Choi -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 충남 금산군을 대상으로 -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 충남 금산군을 대상으로 -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전통사상을 통한 서원건축의 친환경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nvironment-friendly Factors in Seo-won Architecture with the view of Traditional Thought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영남지방 士族村의 풍수담론
The Fengshui Discourse on the Sajok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oungnam Reg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조선후기 영남지방 士族村의 풍수담론
The Fengshui Discourse on the Sajok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oungnam Reg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조선후기의 주거관과 이상적 거주환경 논의 : 건강장수도시의 한국적 원형 탐구를 위한 문헌 고찰
A Study on the View of Ideal Dwelling Environment in the Late Joseon Period : An Examination for Searching the Prototype of the Healthy & Longevity City in Korea
국토연구 |
73 |
2012 |
고려시대 양주의 읍치 이동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ransfer of the Center City of Yangju in the Koryo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고창읍의 裨補景觀에 관한 연구− 오거리당산과 숲쟁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Bibo Landscape Gochang-eup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학교 교가에 담겨 있는 풍수적 요소 연구 -경주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Feng-Shui Elements Represented in the School Songs in Gyeong-Ju City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 |
2012 |
기타인문학
격암格菴 남사고南師古의 ‘구천십장九遷十葬 ’설화와 풍수적 재조명
Re-illumination of ‘Gyeogam Namsago's ‘Gucheonsipjang' from the view of Feng-shui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서울 문묘입지의 풍수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Fengshui Feature in the Seoul Confucian shrine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陶山書堂의 傳統 立地環境
Traditional Location Environment of Dosan Seodang(陶山書堂)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도선의 부도 탑에 담긴 裨補思想
Buddhist Priest Doseon Burial Included Protection Thoughts
한국불교학 |
62 |
2012 |
종교학
원불교 영산성지의 풍수적 의미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Feng-shui meaning of Won- Buddhism YoungSan Holly land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1 |
2012 |
원불교학
조선시대 族譜에 게재된 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 『杞溪兪氏族譜』 와 『潘南朴氏世譜』 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on Genealogical Table in the Choson Dynas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1 |
2011 |
지리학
서양 풍수 연구사 검토와 전망
Prospect and Retrospect of the Western history of Research into Fengshui(Geomancy)
문화역사지리 |
23 |
1 |
2011 |
인문지리학
조선 유학자들의 동기감응론 인식
An Awareness about Identical-Chi Sympathy Theory of Confucianist in the Joseon Dynasty
한국민족문화 |
41 |
2011 |
기타인문학
만동묘와 화양서원 입지의 풍수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n Feng-shui Features in the Location of Mandongmyo and Hwa-yang Seowon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風水書 『地理人子須知』 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The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in Chinese Feng-shui Manual Jiriinjasuji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風水書 『地理人子須知』 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The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in Chinese Feng-shui Manual Jiriinjasuji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마을 풍수의 문화생태- 지리산권역의 마을을 사례로-
Cultural Ecology on the Village Fengshui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3 |
2011 |
지리학
동관왕묘 입지의 풍수 분석
Feng shui Features in the Location of Dong-kwan-wang-myo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역사적 환경의 보전적 측면에서 본 조선시대 의령읍치 경관
Conserving the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Uiryeong Eupchi in the Chosun Dynasty
주거환경 |
8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역사적 환경의 보전적 측면에서 본 조선시대 의령읍치 경관
Conserving the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Uiryeong Eupchi in the Chosun Dynasty
주거환경 |
8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풍수와 환경문화(I) - 형기론을 중심으로 -
Pungsu(Fengshui) and Environmental Culture (I) - Focused on Hyoung Ch’i Theory -
환경철학 |
12 |
2011 |
과학/자연철학
傳統 家屋 空間의 美學的 理解 : 유학적 사유틀이 반영된 전통 가옥 공간을 중심으로
A aesthetical contemplation of Korean old architecture's living space
동양예술 |
17 |
2011 |
기타미술
친환경공간 구축을 위한 풍수지리 분석과 환경설계 ― 경북도청 이전지를 중심으로
Feng-shui Analysis and Environment Planning for Establishment of Eco-friendly Space ― focused on the site for Gyeongbuk provincial office to move in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장풍국에서 도시녹화사업의 기온조절효과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Temperature Control Effect of Urban Green Policy in JangPungGug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GRI연구논총 |
13 |
2 |
2011 |
道詵의 裨補思想 연구 ― 풍수⋅도참⋅음양⋅오행⋅밀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oseon Guksa's 'Bibo' Thought - Chiefly on Pungsu, Docham,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antric Budddhism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道詵의 裨補思想 연구 ― 풍수⋅도참⋅음양⋅오행⋅밀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oseon Guksa's 'Bibo' Thought - Chiefly on Pungsu, Docham,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antric Budddhism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佛敎寺刹에 적용된 裨補風水 事例 硏究
A Study on the Bibo thought of the Buddhist temple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풍수인테리어의 주술적 요소와 생활지침적 속성 -아파트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Magical factors and Life-Guiding Features of Fengshui Interio
실천민속학 연구 |
15 |
2010 |
역사학
풍수인테리어의 주술적 요소와 생활지침적 속성 -아파트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Magical factors and Life-Guiding Features of Fengshui Interio
실천민속학 연구 |
15 |
|
2010 |
역사학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Feng-Shui in Apartment House Space Desig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5 |
1 |
2010 |
실내환경디자인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Feng-Shui in Apartment House Space Desig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5 |
1 |
2010 |
실내환경디자인
음택풍수의 명당발복 설화를 통해 살펴본 우리 풍수문화 -― 인식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Korean Feng-shui Culture Examined through Folk Tales Showing the Notion of Grave Feng-shui that Propitious Site Bring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실천민속학 연구 |
15 |
2010 |
역사학
음택풍수의 명당발복 설화를 통해 살펴본 우리 풍수문화 -― 인식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Korean Feng-shui Culture Examined through Folk Tales Showing the Notion of Grave Feng-shui that Propitious Site Bring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실천민속학 연구 |
15 |
|
2010 |
역사학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A study for Feng-Shui characteristics of Taebong of King in the Joseon Dynasty
한국문화 |
59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지명형성의 풍수담론 - 봉황형국을 중심으로 -
Feng-shui discourse on the formation of place name - mainly on the shape of phoenix-
지명학 |
1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