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다리기

연구분야 : G100000 예술체육 > 체육
B111300 사회과학 > 인류학 > 예술인류학및민속예능

클래스 : 스포츠/놀이유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5865

STNet ID : 1001907

한자 :
영어 : tug-of-war
동의어(UF) : 갈전(葛戰)
동의어(UF) : 조리지희(照里之戱)
동의어(UF) : 삭전(索戰)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민속 놀이 [ 民俗-- ]

R1:개념적

RT (관련어)

 

 

봉씨문견기 [ 封氏聞見記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기지시줄다리기 ()

한일 중추절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 秋夕과 일본의 月見-

A Cmparitive study of Chuseok and Tsukimi in Korea and Japan

일어일문학 | 50 | 2011 | 일본어와문학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부안 내소사․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

Dangsanjae and Tug-of-war as Ceremonies of Buddhism-Mainly on Naeso temple and Dangsanjae in Seokpo village-

역사민속학 | 32 | 2010 | 역사학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부안 내소사․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

Dangsanjae and Tug-of-war as Ceremonies of Buddhism-Mainly on Naeso temple and Dangsanjae in Seokpo village-

역사민속학 | | 32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 ― 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A Study of Performance History of Dongrae Mask Dance Dram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1910-45 and its Cultural Politic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The Folklore Regulations and the Decline of Collective Match in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 Rul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

고싸움놀이의 문화재 지정과 축제화, 재맥락화

Gossaumnori and Its Registration as Cultural Heritage, Festiv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줄다리기 성격의 지속과 변화 -특히 근대 시기를 중심으로-

Continuance and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Tug-of-war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Focused on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to Japanese Ruling Era-

실천민속학 연구 | 17 | 2011 | 역사학

도작문화축제로서 줄다리기의 전승 연구

Transmission and Meaning of Korean Tug of War with Straw-Rope as a Farming Culture Festival

남도민속연구 | 22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