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 놀이

연구분야 : G000000 예술체육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15

STNet ID : 1000379

한자 : 民俗--
영어 : a folk gam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전통 놀이 [ 傳統--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민속 문화 [ 民俗文化 ]

N1:종류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마당놀이 ()

hasKind (종류)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화가투 [ 花歌鬪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농악 () [ 農樂 ]

hasKind (종류)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줄다리기 () [tug-of-war]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사물놀이 [ 四物--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길놀이

hasKind (종류)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축국 [ 蹴鞠 ]

hasKind (종류)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씨름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놀이 노래 [play song]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고싸움놀이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지신밟기 [ 地神--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기지시줄다리기 ()

고령군 ‘장승제’의 축제화 방안

A Study on Tourist Attractions Plan of ‘Jangsung Ritual' in Goryeong Country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고령군 ‘장승제’의 축제화 방안

A Study on Tourist Attractions Plan of ‘Jangsung Ritual' in Goryeong Country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Historical and Cultural Analyses of Collective Features of Korean Societ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4 | 3 | 2010 | 심리과학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Historical and Cultural Analyses of Collective Features of Korean Societ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4 | 3 | 2010 | 심리과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林下筆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A Study on the Seasonal Custom and Folk Game observed in Yimhapilgi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고싸움놀이의 문화재 지정과 축제화, 재맥락화

Gossaumnori and Its Registration as Cultural Heritage, Festiv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윷의 기원문제와 말판의 철학적 의미 -桓易사상을 중심으로-

擲柶之起源問題及柶枰圖之哲學的意味 -以桓易思想爲中心-

仙道文化 | 8 | 2010 | 기타철학일반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play programs on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창의력교육연구 | 11 | 2 | 2011 | 교육심리학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ture Prospect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ture Prospect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유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전통놀이 활동 모형

Traditional Game Activity Model for Early Childhood Creativity Development

석당논총 | 48 | 2010 | 기타인문학

유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전통놀이 활동 모형

Traditional Game Activity Model for Early Childhood Creativity Development

석당논총 | | 4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의 전통놀이에 대한 심리치료적 이해

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therapy

경주사학 | 34 | 34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향토오락 진흥정책과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

The Indigenous Entertainment Promotion Policy and the Situation of Folk Entertain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y Force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전통놀이 중재가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학생 및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사례연구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on the Attitudes of Peers and a General Teacher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전통놀이 중재가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학생 및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사례연구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on the Attitudes of Peers and a General Teacher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교과서 속의 민속놀이 실태와 문제-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raditional Games with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ringing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the Forefront-

실천민속학 연구 | 19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