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한옥의 활용과 기초자료정리 문제
Category of Traditional Hanok Cultural Prototype Contents and Utilization Prospects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다문화사회의 재인식과 민속문화의 다문화주의 기능
New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istic Function of Folk Culture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민속문화 관련 류서류 편찬물 현황과 특성
A General Survey of the pre-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2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민속문화 관련 류서류 편찬물 현황과 특성
A General Survey of the pre-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2 |
2010 |
역사학
민간신앙을 활용한 한국어와 문화 교육-문학작품을 중심으로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hrough Folk-beliefs(Focusing on Korean Literatures)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몽골비사』에 나타난 숫자의 상징성-3과 9를 중심으로-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appeared in the meanings of numbers-focus on three(3) and nine(9)-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天津皇會中的人與社會 —對中國廟會社會整合功能“以人為中心”的個案考察-
천진 황회(天津 皇會)에서의 인간과 사회 —중국 묘회(廟會)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인간 중심’ 사례 연구-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天津皇會中的人與社會 —對中國廟會社會整合功能“以人為中心”的個案考察-
천진 황회(天津 皇會)에서의 인간과 사회 —중국 묘회(廟會)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인간 중심’ 사례 연구-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松南雜識』의 민속문화 자료 검토
A Study on the Folk-cultural Materials in the “Songnamjabji”
역사민속학 |
35 |
2011 |
역사학
조선민족의 전통미덕을 토대로 한 ‘연변조선족자치주노인절’
‘Roin‐Jul(Senior Citizen's Day) of Yanbian, Chosun‐Jok Self District Government in China on Basis of Chosun Racial Traditional Virtues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Intertextuality 관점에서의 밀양백중놀이와 J.Huizing의 놀이문화 분석
Analysis Miryang's Baekjung Play and J.Huizinga's Play Cultures in the Viewpoint of Intertextuality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9 |
69 |
2011 |
무용
도작문화축제로서 줄다리기의 전승 연구
Transmission and Meaning of Korean Tug of War with Straw-Rope as a Farming Culture Festival
남도민속연구 |
22 |
2011 |
역사학
세계화 담론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과 민속문화 정체성
Russian Engagement with the Globalization and the Problem of Identity in Contemporary Russian Folk Culture
슬라브硏究 |
26 |
1 |
2010 |
지역학
세계화 담론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과 민속문화 정체성
Russian Engagement with the Globalization and the Problem of Identity in Contemporary Russian Folk Culture
슬라브硏究 |
26 |
1 |
2010 |
지역학
남북한 민속무용의 차이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South and North Korea Folk dance
동양예술 |
16 |
2011 |
기타미술
民俗文化의 傳承과 再創造에 대한 試考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Folk Culture and Its Resurgence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民俗文化의 傳承과 再創造에 대한 試考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Folk Culture and Its Resurgence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속문화에서 구상하는 국가브랜드와 미래문화 창조
The Prospects of Nation Branding with Korean Folk Culture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21세기 문화관광자원의 민속학적 고찰
The Folkloric Research on Resources of Folk Cultural Tourism in 21st Century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