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연구분야 :

클래스 : 수준/정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436

STNet ID : 9001463

한자 : 出産率

c01-03 수준/정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출생률 [ 出生率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보통 출생률 [ 普通出生率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인구 () [ 人口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독신주의 () [ 獨身主義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출산 장려 정책 [ 出産奬勵政策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출산 감소 [ 出産減少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출산력 [ 出産力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합계출산율 () [ 合計出産率 ]

RT (관련어)

 

 

저출산 () [ 低出産 ]

유아 어머니와 외할머니 세대의 자녀관련 인식 비교: 이상적 자녀 수, 자녀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 노후부양에 대한 기대, 긍정적 자녀가치와 부정적 자녀가치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Children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Maternal Grandmothers: With Specific Focus on Ideal Number of Children, Gender Preference, Expectation Old Age Secur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f Children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18 | 1 | 2012 | 심리과학

만 5세 유아 취학 제안에 대한 논의

Contradictory Debate on 5-year-old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유아교육학논집 | 14 | 1 | 2010 | 교육학

만 5세 유아 취학 제안에 대한 논의

Contradictory Debate on 5-year-old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유아교육학논집 | 14 | 1 | 2010 | 교육학

초․중등 교사의 인구교육 실천 양상과 과제

The Actual Condition and Tasks of Teachers' Population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2 | 3 | 2012 | 교과교육학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와 대응 전략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and the Related Measures

유라시아연구 | 9 | 1 | 2012 | 기타사회과학

교육, 내구재, 임금 등 출산율 저하의 요인이 여성노동과 성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f Effects of Factors for Fertility Decrease(Education, Durables, Wages) on Women Work and Growth

보건사회연구 | 3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교육, 내구재, 임금 등 출산율 저하의 요인이 여성노동과 성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f Effects of Factors for Fertility Decrease(Education, Durables, Wages) on Women Work and Growth

보건사회연구 | 3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출산장려금의 정책효과 연구: 제도도입 전후 출산율 증감경향 비교분석

Policy Impact of Local Governments' Fertility Encouragement Allowances on Fertility: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efore and After Trends of Program Implementation

한국정책연구 | 11 | 3 | 2011 | 기타행정학

동남아의 인구변동: 1950-2050년

The Population Changes of Southeast Asia:1950-2050

동남아시아연구 | 20 | 3 | 2010 | 지역학

동남아의 인구변동: 1950-2050년

The Population Changes of Southeast Asia:1950-2050

동남아시아연구 | 20 | 3 | 2010 | 지역학

군집분석을 통한 저출산 원인 및 정책수요 도출 :핵심정책대상 집단을 중심으로

Deriving the Causes of Low Fertility and Policy Demand through Cluster Analysis

경제연구 | 29 | 1 | 2011 | 경제학

시스템 다이내믹 분석(System Dynamic Analysis)을 통한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감소 요인분석 : 익산시 사례연구

A System Dynamics Model for Population Decrease Analysi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South Korea: The Case of Iksan City

한국동북아논총 | 15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시스템 다이내믹 분석(System Dynamic Analysis)을 통한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감소 요인분석 : 익산시 사례연구

A System Dynamics Model for Population Decrease Analysi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South Korea: The Case of Iksan City

한국동북아논총 | 15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의 저출산의 원인

A Study on the Causes of Low Fertility Rate in Korea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저출산의 원인

A Study on the Causes of Low Fertility Rate in Korea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우리나라 지역별 자녀 양육환경과 출산율에 관한 실증분석

Childcare Facilities,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Birth Rate: Evidence from Korean Regional Data

한국인구학 | 35 | 2 | 2012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출산장려 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의 둘째 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icy on Childbirth Encouragement and Working Time on Secondary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한국인구학 | 34 | 3 | 2011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보육시설 수탁률과 여성 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도 단위 패널자료 분석

The Effect of Day Care Usage and Female Employment on Fertility Rates: Panel Data Regression Analysis of Korea’s 16 Major Cities and Provinces

經濟硏究 | 32 | 2 | 2011 | 사회과학

Women’s Wage and Childbearing

여성임금과 출산력

한국인구학 | 35 | 2 | 2012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출산율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del Estimating Fertility Rate for Korea

한국인구학 | 35 | 1 | 2012 | 인구/노인/지역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