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장려 정책

연구분야 : B150600 사회과학 > 정책학 > 문화/사회/보건복지정책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667

한자 : 出産奬勵政策
프랑스어 : politique nataliste

d02-01 사회제도

목적_t

출산 장려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출산장려금 [ 出產奬勵金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출산율 [ 出産率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저출산 현상 () [ 低出産現象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출산 감소 [ 出産減少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인구 통제 [ 人口統制 ]

군집분석을 통한 저출산 원인 및 정책수요 도출 :핵심정책대상 집단을 중심으로

Deriving the Causes of Low Fertility and Policy Demand through Cluster Analysis

경제연구 | 29 | 1 | 2011 | 경제학

모의재판이 대학생의 저출산에 관한 태도와 의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ck Trial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and Awareness about Low Birth Rate

경영교육연구 | 26 | 3 | 2011 | 경영학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정책 효과분석

A Study on the Effect of Maternity Benefits of Korea Local Governments

한국행정연구 | 21 | 3 | 2012 | 행정학

저출산 현상에 대응한 사회보장정책의분석과 개선방향

Analysis and Improvement of Welfare Policy Program against Low Fertility

법과정책연구 | 10 | 1 | 2010 | 법학

저출산 현상에 대응한 사회보장정책의분석과 개선방향

Analysis and Improvement of Welfare Policy Program against Low Fertility

법과정책연구 | 10 | 1 | 2010 | 법학

출산장려 정책신뢰도가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임연령(25-45) 여성표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Trust on the Policies for Childbirth Promotion on the Attitudes toward Childbirth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2 | 2010 | 정책학

출산장려 정책신뢰도가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임연령(25-45) 여성표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Trust on the Policies for Childbirth Promotion on the Attitudes toward Childbirth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2 | 2010 | 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