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채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766

한자 : 朴世采
호(號) : 남계(南溪)
호(號) : 현석(玄石)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화숙 [ 和叔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산림 (유학자) [ 山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송징은 [ 宋徵殷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탕평 정치 [ 蕩平政治 ]

17세기 조선 학자들의 尊王論과 老少分岐 (I) -管仲에 대한 인식과 勳戚 문제를 중심으로-

十七世紀朝鮮學者的尊王論與老少分岐 (I)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少論學派의 연원과 전개, 철학과 현실인식

The origin, development, philosophy and reality awareness of Soron School(少論學派)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Edification of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Xiangli on 17th Century Chosun Dynasty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Edification of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Xiangli on 17th Century Chosun Dynasty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Edification of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Xiangli on 17th Century Chosun Dynasty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Edification of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Xiangli on 17th Century Chosun Dynasty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南溪 朴世采의 도통의식과 異端群 비판

Namgye(南溪) Park Se Chae(朴世采)'s orthodox consciousness and criticism of heretical groups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南溪 朴世采의 편록서 <隨筆錄> 해제

An explanation of 『Supilok(隨筆錄)』 , Namgye(南溪) Park Sechae(朴世采)'s pyunrokseo(編錄書)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南溪 朴世采의 易學的 思惟體系

The Philosophy of Nam-gye Park Se-chae(南溪 朴世采) based on Yi-xue(易學)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