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평 정치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9

한자 : 蕩平政治

d02-02 정치/법률제도

주관자1

정조 (正祖)

영조 (英祖)

시대9

조선 후기 (朝鮮後期)

목적_t

정치적 안정 회복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 [ 政治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탕평 [ 蕩論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세채 (1631-1695) [ 朴世采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탕평론 [ 蕩平論 ]

조선후기 『朱子封事』의 간행과 활용

The Publication and Use of the During Late Joseon

한국사상사학 | 37 | 2011 | 역사학

18세기 조선 정치사상과 그 전후 맥락

18th Century's Political Thoughts of Joseon Dynasty seen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Before and After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전통시대 한국 정치사 속의 소통과 화해 -영조대 蕩平政治의 지향과 방법-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 political History in the Premodern Period

중앙사론 | 31 | 2010 | 역사학

전통시대 한국 정치사 속의 소통과 화해 -영조대 蕩平政治의 지향과 방법-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 political History in the Premodern Period

중앙사론 | | 3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