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사회보험제도의 근로유인 효과 제고방안
An Analysis of Work Incentive Effects of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for promoting the employment of the aged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사회보험제도의 근로유인 효과 제고방안
An Analysis of Work Incentive Effects of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for promoting the employment of the aged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Changes in Korean Maternity Protection Law and Labor Market Outcomes for Young Women
모성보호법 개정과 가임기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
노동경제논집 |
33 |
3 |
2010 |
경제학
Changes in Korean Maternity Protection Law and Labor Market Outcomes for Young Women
모성보호법 개정과 가임기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
노동경제논집 |
33 |
3 |
2010 |
경제학
사회보험수급권의 범위에 관한 재검토
A Review on the Range of Entitlement to Social Insurance Benefits
서울대학교 법학 |
51 |
2 |
2010 |
법학
사회보험수급권의 범위에 관한 재검토
A Review on the Range of Entitlement to Social Insurance Benefits
서울대학교 법학 |
51 |
2 |
2010 |
법학
고용보험법의 현행 적정적립금 기준 평가와 대안 지표로서의 준비율 배수
Evaluation of the Current Measure of Employment Insurance Fund Adequacy and Reserve Ratio Multiple as an Alternative Measure
노동정책연구 |
10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고용보험법의 현행 적정적립금 기준 평가와 대안 지표로서의 준비율 배수
Evaluation of the Current Measure of Employment Insurance Fund Adequacy and Reserve Ratio Multiple as an Alternative Measure
노동정책연구 |
10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헌법상 근로권의 실질화를 위한전제와 대안의 모색 - 고용 없는 성장의 현실 인식과 그에 대한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
The Premise of Realizing the Right to Labour & Search for Alternatives - Mainly on the recognition of jobless growth reality and searching for its alternatives -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헌법상 근로권의 실질화를 위한전제와 대안의 모색 - 고용 없는 성장의 현실 인식과 그에 대한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
The Premise of Realizing the Right to Labour & Search for Alternatives - Mainly on the recognition of jobless growth reality and searching for its alternatives -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현행 실업급여 제도에 대한 재검토
Reassessment of Unemployment Benefit System
원광법학 |
28 |
1 |
2012 |
기타법학
한국의 실업급여 관대성:국제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The Generosity of Unemployment Benefits in Korea : Comparative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의 실업급여 관대성:국제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The Generosity of Unemployment Benefits in Korea : Comparative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이행노동시장의 관점에서 본 고용보험제도 발전방안
Proposed Development Programs for Employment Insurance System from the Transitional Labor Market Perspective
노동정책연구 |
12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한국과 미국의 연장실업급여제도 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 특별연장급여제도의 개편 방향
A Comparative Analysis of Extended Unemployment Benefits between Korea and the US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한국사회정책 |
18 |
1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한국의 재취업보너스제도 연구: 미국과 일본의 제도 비교로부터 얻는 시사점
Reemployment bonuses in Korea: Policy implications from reemployment bonus experiments of the USA and Japan's reemployment bonuses
한국사회정책 |
18 |
2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고용보험 전달체계 개선방안 -실업급여 수급자에 대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Reforming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Services for Unemployment Benefit Recipients-
사회보장연구 |
26 |
3 |
2010 |
사회복지학
고용보험 전달체계 개선방안 -실업급여 수급자에 대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Reforming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Services for Unemployment Benefit Recipients-
사회보장연구 |
26 |
3 |
2010 |
사회복지학
조기재취업수당의 제도 변화에 따른 효과분석 -2006년의 제도 변화가 실업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Policy Change in Reemployment Bonuses in 2006 on Insured Unemployment
사회보장연구 |
27 |
1 |
2011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