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方故土意識의推移에관한고찰Ⅰ- 발해멸망~조선후기 -
A Study on Changes of Northern Native Land Awareness Ⅰ -from the Fall of Balhae to the late Joseon period-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中國 吉林省 集安의 東臺子 遺蹟 再檢證
Re-Verification of the Remains of Tundaeja, Jilinsung Jian, China
경주사학 |
35 |
2012 |
기타인문학
中國 吉林省 集安의 東臺子 遺蹟 再檢證
Re-Verification of the Remains of Tundaeja, Jilinsung Jian, China
경주사학 |
35 |
2012 |
기타인문학
현행(2011년)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한일관계사 서술은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가?
Do the Descriptions of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of Current National History Textbooks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Reflect Historical Truth at All?
신라사학보 |
24 |
2012 |
역사학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On the Ancient History and Culture of Anbyeon(安邊)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On the Ancient History and Culture of Anbyeon(安邊)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국정 『국사』 교과서(2-6차) 수록 역사 지도의 추이와 경향성
Analysis of 'History maps' inside the National Korean History textbooks (2~6)
역사와 실학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국정 『국사』 교과서(2-6차) 수록 역사 지도의 추이와 경향성
Analysis of 'History maps' inside the National Korean History textbooks (2~6)
역사와 실학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국정 『국사』 교과서(2-6차) 수록 역사 지도의 추이와 경향성
Analysis of 'History maps' inside the National Korean History textbooks (2~6)
역사와 실학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국정 『국사』 교과서(2-6차) 수록 역사 지도의 추이와 경향성
Analysis of 'History maps' inside the National Korean History textbooks (2~6)
역사와 실학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安史之亂與海東地域的文化認同 -以渤海、新羅等史料為例-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토기를 통해 본 동(東)아무르 지역 중세문화의 전개
Development of the Medieval Culture in the Eastern Amur River Area based on Pottery types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한중간 역사문제의 현황과 대응방안
The Counterplan and the Present of the Historical Problem between Korea and China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한중간 역사문제의 현황과 대응방안
The Counterplan and the Present of the Historical Problem between Korea and China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조선후기의 新羅正統論과 渤海史의 인식
The Theory of Silla’s Legitimacy and Recognition of Balhae’s History in Late Joseon Period
사림 |
39 |
2011 |
역사학
일본 오키의 지역전승에 나타난 한국상
日本隠岐の地域傳承に現れた韓國像
일어일문학연구 |
82 |
2 |
2012 |
일본어와문학
10세기 동북아 국제정세와 契丹의 요동정책 - 東丹의 설립과 그 통치정책 -
10世紀東北亞國際情勢和契丹的遼東政策 - 東丹的設立與統治政策 -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10세기 동북아 국제정세와 契丹의 요동정책 - 東丹의 설립과 그 통치정책 -
10世紀東北亞國際情勢和契丹的遼東政策 - 東丹的設立與統治政策 -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770년대 일본의 대재부 외교와 그 성격 ―발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Dazaihu Diplomacy of Japan and Its Character in the 770s: Focused upon Diplomatic Relations with Balhae
이화사학연구 |
42 |
2011 |
기타역사일반
中國吉林省 集安東台子遺蹟再考
Re-examining the Jian Toungtaiz site of Jilin, China
한국고고학보 |
75 |
2010 |
역사학
中國吉林省 集安東台子遺蹟再考
Re-examining the Jian Toungtaiz site of Jilin, China
한국고고학보 |
|
75 |
2010 |
역사학
발해 영광탑과 한강이남 전탑의 건축형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architectural form on the Balhae Young-gwang Pagoda and south of the Han river brick pagoda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영광탑과 한강이남 전탑의 건축형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architectural form on the Balhae Young-gwang Pagoda and south of the Han river brick pagoda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 & Balhae Site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 & Balhae Site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9세기 일본 상인과 섬유 제품의 유통
A study on the merchants of ancient Japan and the distribution of textile products in the ninth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琿春지역의 역사·지리적 배경과 물류거점으로서의 가능성
A Study on the Historical Geography Background and Feasibility of Being Logistics Center of Hunchun Area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발해 연화문 와당의 고구려 계승성 검토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and Koguryo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연화문 와당의 고구려 계승성 검토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and Koguryo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8세기 渤海와 靺鞨諸部의 대당교섭에 대한 기초적 검토 - 『冊府元龜』 朝貢․褒異條를 중심으로
A Basic Examination on the Balhae and Malgal Tribes’ Relations with Tang in 8th Century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渤海와 唐의 묘제 비교 : 貞孝公主墓를 중심으로
On Balhae Princess Jung Hyo Tomb : A Comparative Study of Balhae Tombs with Tang Tombs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渤海와 唐의 묘제 비교 : 貞孝公主墓를 중심으로
On Balhae Princess Jung Hyo Tomb : A Comparative Study of Balhae Tombs with Tang Tombs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The Theory of the Period of South & North Countries and Balhae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安民歌」 창작의 시대적 배경 -安史의 亂과 渤海·日本의 新羅침공계획-
Anmin song & Shilla People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The Theory of the Period of South & North Countries and Balhae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발해 인동문계 와당의 계통과 고구려 연관성 검토
The Genealogy of the roof-end tiles with honeysuckle design in Balhae and the influences of Koguryo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발해 인동문계 와당의 계통과 고구려 연관성 검토
The Genealogy of the roof-end tiles with honeysuckle design in Balhae and the influences of Koguryo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거란성에 대한 초보 연구
Fundamental research on Khi Tai castle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용해구역 고분 발굴에서 드러난 발해국의 성격
Reviewing the excavation report on Longhai royal family tombs in Chinese Jilin Province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용해구역 고분 발굴에서 드러난 발해국의 성격
Reviewing the excavation report on Longhai royal family tombs in Chinese Jilin Province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석실분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ype and structure of Balhae’s stone chamber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9 |
2011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연해주 발해시기의 유적 분포와 발해의 동북지역 영역문제
Location of Sites of Balhae Period in Primorye Region and Territorial Problem of North-Eastern Part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발굴결과로 새롭게 본 강동24개돌 유적의 건축적 성격
The Architectural Character of the Gangdong Twenty-four Stones Relics
동북아역사논총 |
37 |
2012 |
역사학
8세기말 발해의 천도와 북방민족관계
The transfer of the capital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Northern races of the Balhae(渤海) in the end of the 8th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41 |
2011 |
한국고대사
The results and meanings of the excavations of Balhae Sites in Russian Primorye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발굴의 결과와 의의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The results and meanings of the excavations of Balhae Sites in Russian Primorye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발굴의 결과와 의의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연화문 와당의 문양 변화와 시기적 변천
The Changes of the Design and Times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발해 연화문 와당의 문양 변화와 시기적 변천
The Changes of the Design and Times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渤海 기와의 硏究史的 檢討
Historical Research on Roof Tiles of the Balhae Kingdom
백산학보 |
92 |
2012 |
역사학
8세기 후반 발해와 일본의 경제외교 - 발해의 외교적 위상과 관련하여-
Economic Diplomacy of Balhae-Japan in the later 8th century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8세기 후반 발해와 일본의 경제외교 - 발해의 외교적 위상과 관련하여-
Economic Diplomacy of Balhae-Japan in the later 8th century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 쪽구들 연구
Studying of ondol (kang) of Konstantinovka 1 settlement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 쪽구들 연구
Studying of ondol (kang) of Konstantinovka 1 settlement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7세기 후반 북방민족의 反唐활동과 발해건국
7世紀後半北方民族的反唐活動和渤海建國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7세기 후반 북방민족의 反唐활동과 발해건국
7世紀後半北方民族的反唐活動和渤海建國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의 종족적 연원
The Tribal Origin of the Balhae People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8세기 발해·일본간의 사신 왕래와 외교 현안
Interchange of Envoys and Foreign Policy Issues between Balhae and Japan in the 8th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41 |
2011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의 종족적 연원
The Tribal Origin of the Balhae People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발해 수령과 고려 도령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yong in Balhae and Doryong in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발해 상경성의 불상 - 동아시아 불교조각과의 비교연구 -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the Capital of Balhae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발해 상경성의 불상 - 동아시아 불교조각과의 비교연구 -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the Capital of Balhae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수령과 고려 도령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yong in Balhae and Doryong in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발해성곽의 구조와 형식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tructure and type of Palhae’s castles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발해 수령과 고려 도령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yong in Balhae and Doryong in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渤海 上京城 佛敎寺院址의 建立年代와 佛像 奉安의 復原
A building history into Buddhist temple sit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in Sanggyongsong of Balhae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渤海 上京城 佛敎寺院址의 建立年代와 佛像 奉安의 復原
A building history into Buddhist temple sit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in Sanggyongsong of Balhae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渤海武王代영역확장과 북방정세 변동
渤海武王代領域擴張和北方情勢變動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