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23

STNet ID : 1000048

한자 : 三一運動
영어 : samil independence-demonstration
기타 : 삼일 운동
기타 : 3·1 운동
영어 : March 1st movement
영어 : March First Movement
영어 : 3.1 Movement
영어 :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영어 :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3.1 만세 운동 [ 三一萬歲運動 ]

UF (비우선어)

 

 

3.1 독립 운동 [ 三一獨立運動 ]

UF (비우선어)

 

 

기미 독립 운동 [ 己未獨立運動 ]

UF (비우선어)

 

 

기미년 만세 운동 [ 己未年萬歲運動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민족 해방 운동 [ 民族解放運動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독립운동 (한국) [ 獨立運動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참정권 청원운동 [ 參政權 請願運動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2.8 독립 선언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민족자결주의 [ 民族自決主義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동학농민혁명 () [ 東學農民革命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반그리스도교 운동 () [ 反--敎運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친일 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 [ 親日反民族行爲者財産--國家歸屬--關--特別法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민협회 [ 國民協會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자위단 [ 自衛團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연통제 () [ 聯通制 ]

영혼, 생명, 우주 - 1910년대,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과 '죽음'의 극복 -

The Individualized Form of Modern Time and Space — The Concepts of Spirit, Life, Universe in 1910s’ Korea—

개념과 소통 | 7 | 2011 | 역사학

한ㆍ일 언론 자료를 통한 고종독살설 검토

Study of the hypothesis of poisoning King Gojong based o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pres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현상윤의 민족의식 형성과 3ㆍ1운동에서 역할

Hyeon Sangyoon’s role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formation of racial consciousnes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0 | 2012 | 역사학

일제강점기 미주 한인의 국치일 인식과 그 변화

Korean Americans' View of National Humiliation Day and Its Chang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Forced Occupation of Korea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천도교 서술 검토

Donghak and Cheondogyo written in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잡지 『朝鮮及滿洲』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만주 인식 -191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

Joseon Regime Theory and Manchurian Recognition in Magazine 『Joseon and Manchuria』 -focused on the 1910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잡지 『朝鮮及滿洲』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만주 인식 -191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

Joseon Regime Theory and Manchurian Recognition in Magazine 『Joseon and Manchuria』 -focused on the 1910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오방 최흥종의 생애와 민족운동

Life and National Movement of Obang Choi, Heung-jong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佐藤本 華嚴文義要訣問答의 符號口訣과 8세기 新羅의 文法 形態

A comparative study of symbolic kugyol in the Hwa'eom mun'ui yogyeol mundap and the morphology of the eighth century Silla language

구결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佐藤本 華嚴文義要訣問答의 符號口訣과 8세기 新羅의 文法 形態

A comparative study of symbolic kugyol in the Hwa'eom mun'ui yogyeol mundap and the morphology of the eighth century Silla language

구결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창회 목사의 애국계몽운동과 독립운동

Pastor Lee Chang Hoi’s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한국교회사학회지 | 32 | 2012 | 기독교신학

평양부흥운동의 집합행동으로서의 상징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sm as a Collective Behavior of the Pyong-yang Revival Movement

신학과 실천 | 22 | 2010 | 기독교신학

평양부흥운동의 집합행동으로서의 상징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sm as a Collective Behavior of the Pyong-yang Revival Movement

신학과 실천 | | 22 | 2010 | 기독교신학

일제의 한국병탄에 대한 한국민의 대응과 인식

日帝の韓國倂呑に対する韓國民の對應と認識

史叢(사총) | 72 | 2011 | 기타역사일반

1919년 <건백서>를 통해서 본 미국 선교사들의 정교분리 원칙에 관한 이해

A Study of Understanding regarding a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government of American missionaries through a written memorial1919.

신학과 실천 | 31 | 2012 | 기독교신학

나혜석의 현실인식과 민족운동에서 역할

Na Hyesuk's recognition of reality & her role in a national movement

숭실사학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나혜석의 현실인식과 민족운동에서 역할

Na Hyesuk's recognition of reality & her role in a national movement

숭실사학 |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역사적 사건의 기억, 재현, 그리고 공유 감각 -유치진의 <조국>, <흔들리는 지축>, <며느리>를 중심으로

Memory of Historical events,representation,and collected memo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

한⋅중 사상 문화 교류 관점에서 본 5⋅4시기 반종교 운동과 개방이후의 ‘與时俱进’

韩中思想文化交流史上的五四时期反宗教运动和‘与时俱进’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 사상 문화 교류 관점에서 본 5⋅4시기 반종교 운동과 개방이후의 ‘與时俱进’

韩中思想文化交流史上的五四时期反宗教运动和‘与时俱进’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3․1운동의 역사적 기억과 배반, 그리고 계승을 둘러싼 이념정치 -3․1운동의 보편(주의)적 지평과 과소/과잉의 대표성-

Historical memory and betrayal of the 3.1 Movement, and ideological politics about it’s success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萬歲前』 개작의 의미 고찰 - ‘首善社版’ 『萬歲前』(1948)을 중심으로 -

A Research about of the Meaning of Yeom Sang-seop(廉想涉)'s Rewriting Mansejeon(1948)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萬歲前』 개작의 의미 고찰 - ‘首善社版’ 『萬歲前』(1948)을 중심으로 -

A Research about of the Meaning of Yeom Sang-seop(廉想涉)'s Rewriting Mansejeon(1948)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3.1운동기 김윤식․이용직의 독립청원서 연구

Study on the petition of independence during the First March movement

사림 | 38 | 2011 | 역사학

해방직후 김남천 장편서사에 나타난 식민기억과 문학적 ‘자기비판’의 양상 - 『1945年 8.15』, 『시월(十月)』, 희곡 「三一運動」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Literary self-criticism’ in Kim, Nam-cheon's Works directly after Liberation

개신어문연구 | 33 | 2011 | 현대시(국문학)

만해 한용운의 구국투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n Yong-Un's Struggle for Saving Country

민족사상 | 5 | 4 | 2011 | 한국정치사상

정암 이종훈의 생애와 민족운동

Life and Racial Movement of Jeong-am Jonghoon Le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서구열강의 아시아분할과 민족의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원칙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and Western Powers

사림 | 39 | 2011 | 역사학

스코필드의 의료(교육)·사회선교와 3·1독립운동

Schofield's Medical/Social Mission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한국근현대사연구 | 57 | 2011 | 역사학

대호지 3·1운동의 전개와 특성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t Daehoji, in 19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대호지 3·1운동의 전개와 특성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t Daehoji, in 19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3ㆍ1운동 서술의 체계와 내용

3ㆍ1 Movement written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3·1독립운동 전후 쑨원(孫文)의 한국 인식 연구

A Study on Sun Wen’s Perception on Korea Before and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3·1독립운동 전후 쑨원(孫文)의 한국 인식 연구

A Study on Sun Wen’s Perception on Korea Before and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헌법 전문을 통해 본 대한민국의 과거와 미래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ast and future through the constitutional preamble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3‧1운동 직후 ≪自由晨鍾報≫ 간행을 통해 본 국내 독립운동계의 동향

The Trend of the Circles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Right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Seen through the Publication of “Jayoosinjongbo”

한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0 | 역사학

3‧1운동 직후 ≪自由晨鍾報≫ 간행을 통해 본 국내 독립운동계의 동향

The Trend of the Circles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Right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Seen through the Publication of “Jayoosinjongbo”

한국근현대사연구 | | 52 | 2010 | 역사학

1920년대 거제지역 청년운동 연구

Youth movement in Geoje Island in 1920’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중국 언론에 비친 3ㆍ1운동의 전개와 영향 -長沙 『大公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Chinese media - Focused on the articles of Changsha(長沙) 『DaGong bao(大公報)』

사학연구 | 97 | 2010 | 역사학

중국 언론에 비친 3ㆍ1운동의 전개와 영향 -長沙 『大公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Chinese media - Focused on the articles of Changsha(長沙) 『DaGong bao(大公報)』

사학연구 | | 97 | 2010 | 역사학

삼일운동과 단군민족주의

Samil Independence Movement and Dangun-nationalism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2 | 2012 | 동양정치사상

경상남도 3ㆍ1운동의 전개양상과 특징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3․1 Movement in Gyeongnam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

『매일신보』가 그려낸 1919년 감옥의 풍경

The Image of Prison in the year 1919, depicted by 'the Mae-il Shin Bo'

서울과 역사 | 80 | 2012 | 역사학

3·1운동과 국내 독립운동

3·1 Movement a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3·1운동과 국내 독립운동

3·1 Movement a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