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산/산맥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2664

한자 : 太白山
영어 : Taebaeksan Mountain

x01-04 산/산맥명

위치

경상북도 (慶尙北道)

면적_t

높이 1,567m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태백산맥 (지역) [ 太白山脈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산(山) () [ 山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문수봉

hasComponent (구성요소)

 

 

장군봉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태백시 [ 太白市 ]

漢江 發源地의 역사적 인식에 대한 再檢討: 太白山 龍湫를 중심으로

Review on Historical Recognition for the Source of the Han River: Focusing on Yongchu, Mt. Taebaek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漢江 發源地의 역사적 인식에 대한 再檢討: 太白山 龍湫를 중심으로

Review on Historical Recognition for the Source of the Han River: Focusing on Yongchu, Mt. Taebaek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opinion, Review for location of Jangbaeksan Mountain(長白山) and Aproksu(鴨綠水) -Focused on before Goryeo dynasty-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太白五賢’의 삶을 통해 본 奉化地域의 文學地理

Literary geography of the ‘Bonghwa Area’ as viewed through the life of the ‘Five Sages of Taebaek’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