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헌법

연구분야 : B0203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북한정치/통일

클래스 : 법률/법령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268

한자 : 統一憲法

y05-01 법률/법령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헌법 [ 憲法 ]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남북 통일 [ 南北統一 ]

RT (관련어)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통일 관계법 [ 統一關係法 ]

임시정부헌법의 역사적 의미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고려법학 | 57 | 2010 | 법학

임시정부헌법의 역사적 의미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고려법학 | | 57 | 2010 | 법학

한반도 통일과 반법치국가적 불법청산의 과제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the Problem of ‘Anti-Rule of Law’ in North-Korea

공법연구 | 40 | 3 | 2012 | 법학

남북법제통합의 기본원칙 및 방향과 과제

Basic Principles and Courses of Legal Integration and Its Tasks

저스티스 | 122 | 2011 | 기타법학

남북한 통일합의서의 법적 쟁점과 체결방안

Study on legal issues and the conclusion of unification agreement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법조 | 60 | 11 | 2011 | 법학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59 | 2010 | 법학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 59 | 2010 | 법학

통일헌법의 권력구조 ― 의회제도를 중심으로 ―

Power Structure in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Focused on the Parliamentary System -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통일헌법의 기본권체계

System of Basic Rights in Reunification Constitution of Korea

법조 | 61 | 2 | 2012 | 법학

Setting Reunification Agenda for Reunified Korean Peninsula: Introduction of Issue

통일한반도를 위한 통일 아젠다의 설정: 문제의 제기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2 | 2011 | 정치외교학

통일헌법의 기본원리 소고

Study on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of a United Korea

서울대학교 법학 | 53 | 1 | 2012 | 법학

독일 통일헌법 제정상의 교훈을 통한 한반도 통일헌법 구상

A Lesson on Establishment Stage of Unified Constitution in Germany and a Consideration of Unified Constitution on Korean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1 | 2012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