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5054

STNet ID : 1002441

한자 : 憲法
영어 : constitutional law
독일어 : verfassung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국가통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사후적 규범 통제 [ 事後的 規範統制 ]

hasProperty (특성/속성)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고유법 [ 固有法 ]

hasProperty (특성/속성)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국제 평화주의 () [ 國際平和主義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공법 [ 公法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경제 헌법 [ 經濟憲法 ]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관습 헌법 [ 慣習憲法 ]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국약 헌법 [ 國約憲法 ]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흠정 헌법 [ 欽定憲法 ]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협정 헌법 [ 協定憲法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6조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37조 제1항 () [ 憲法 第37條 第1項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23조 [ 憲法 第23條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107조 제2항 [ 憲法 第107條 第2項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6조 제1장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127조 제1항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60조 제1항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37조 제2항 () [ 憲法 第37條 第2項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21조 [ 憲法 第21條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헌법전문 [ 憲法全文 ]

R1:개념적

hasAgent ((행위)주체자)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국가 기관 [ 國家機關 ]

hasAgent ((행위)주체자)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국가 () [ 國家 ]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헌법의 이념 [ 憲法--理念 ]

hasPhenomenon (현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헌법교육 [ 憲法敎育 ]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헌법 제103조 () [ 憲法 第103條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교육 법원 [ 敎育法源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헌법전 [ 憲法典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사회적 기본권 [ 社會的基本權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피해자 보호 [ 被害者保護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 기본권 [ 勞動基本權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3권 [ 勞動三權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권한 쟁의 심판 [ 權限爭議審判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독일 기본법 [Grundgesetz]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규칙 (법) [ 規則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경자유전의 원칙 () [ 耕者有田--原則 ]

RT (관련어)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합헌적 법률해석 () [ 合憲的法律解釋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입법자의 의무 [ 立法者--義務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정부 -> 10588 () [ 政府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 [ 自由民主的基本秩序 ]

RT (관련어)

관련 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헌법 이론 () [ 憲法理論 ]

RT (관련어)

관련 제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정당한 보상 [ 正當-- 補償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헌법의 기본원리 () [ 憲法--基本原理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헌법 민중주의 [ 憲法民衆主義 ]

R5:물리적

isConnectedTo (연결/부착)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위헌심사기준 [ 違憲審査基準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메이지 헌법 () [ --憲法 ]

hasInstance (사례)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대한민국 헌법 () [ 大韓民國憲法 ]

hasInstance (사례)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중국 헌법 [ 中國憲法 ]

hasInstance (사례)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미국 헌법 [ 美國憲法 ]

hasInstance (사례)

 

Y05 법률/제도명 법률/제도명

스탈린 헌법

hasInstance (사례)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통일 헌법 [ 統一憲法 ]

hasInstance (사례)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대한국 국제 () [ 大韓國國制 ]

Concept of Usury and intolerance against interest: diverse Islamic, scriptural and legal perspectives

고리대금의 개념과 이자 금지에 대한 편협성: 이슬람, 성서, 그리고 법적인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2 | 2 | 2012 | 종교학

다문화 법교육의 가능성 탐색

An Inquiry into the potenti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Law-Related Educ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법교육연구 | 5 | 1 | 2010 | 기타교육학

다문화 법교육의 가능성 탐색

An Inquiry into the potenti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Law-Related Educ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법교육연구 | 5 | 1 | 2010 | 기타교육학

독일 법원의 구조와 재판소원제도 - 민사법원을 중심으로 -

Die Organization des Gerichts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die Urteilsverfassungsbeschwerde: Mit der Betonung auf dem Zivilgericht

법조 | 60 | 10 | 2011 | 법학

≪인권≫에 관한 용어사적(用語史的) 고찰

Eine terminologiegeschichtliche Untersuchung über das koreanische Wort “인권”

경희법학 | 45 | 1 | 2010 | 비교법학

≪인권≫에 관한 용어사적(用語史的) 고찰

Eine terminologiegeschichtliche Untersuchung über das koreanische Wort “인권”

경희법학 | 45 | 1 | 2010 | 비교법학

저작권법 제104조등 위헌소원 결정(2009헌바56)에 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Contemplation on Section 104 of the Copyright Act

정보법학 | 15 | 1 | 2011 | 법학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상 금융ADR의 특징과 지정분쟁해결기관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ADR and Designated Dispute Resolution Organizations under the Financial Instruments and Exchange Act of Japan

경제법연구 | 10 | 1 | 2011 | 법학

투명성의 관점에서 본 대의제의 한계와 극복방안 — 미국과 프랑스의 예를 중심으로 —

Representative system and Transparency —Focused on U.S.A. and France—

미국헌법연구 | 22 | 3 | 2011 | 헌법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中東國家인 UAEㆍSaudi ArabiaㆍQatar의 憲法體系 分析을 통한 共通點 導出 方案

Analysis on the Constitutional System of the Middle Eastern Countries - UAE, Saudi Arabia and Qatar State and the Common Factors Found

가천법학 | 5 | 1 | 2012 | 법학

디지털 시대의 압수ㆍ수색과 관련한 미국 연방법원의 판단기준

U.S. Federal Courts' Criterion of Search and Seizure in the Digital Age

IT와 법연구 | 6 | 2012 | 기타법학

세종시(市) 수정 논란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대통령제의 특성에 관한 시론(試論)

Preliminary Essa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System and the Sejong Controversies

사회과학연구 | 17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세종시(市) 수정 논란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대통령제의 특성에 관한 시론(試論)

Preliminary Essa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System and the Sejong Controversies

사회과학연구 | 17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헌법적 논증에서 정치와 사법 - 헌법재판에서 사법심사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

Politik und Rechtsprechung in der Verfassungsargumentation - Über Möglichkeit und Grenze der richterlichen Prüfung in der Verfassungsgerichtsbarkeit -

법학논고 | 36 | 2011 | 법학

계엄법 하에서 행정부에 관한 소고

A Study on administration in the Martial Law in Korea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계엄법 하에서 행정부에 관한 소고

A Study on administration in the Martial Law in Korea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간디의 아나키즘 법사상

Gandhi’s Anarchism of Legal Thought

민주법학 | 42 | 2010 | 법학

간디의 아나키즘 법사상

Gandhi’s Anarchism of Legal Thought

민주법학 | | 42 | 2010 | 법학

사회기반시설의 헌법적 의의와 국가의 책임

Constitutional Study on Social Infrastructure and State Responsibility

성균관법학 | 24 | 2 | 2012 | 법학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근거에 대한 고찰

An Inquiry into the Justificatory Grounds of Civil Disobedience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근거에 대한 고찰

An Inquiry into the Justificatory Grounds of Civil Disobedience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GCC 국가 헌법 통치구조의 비교법적 고찰

A study on the Governmental Structure of the GCC Country's Constitutions with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중동문제연구 | 10 | 1 | 2011 | 지역학

헌법에 기초한 도덕과에서의 시민교육 개선 및 발전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s to Improve and Develop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Based on the Constitution

윤리교육연구 | 24 | 2011 | 윤리교육학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발전 방향 연구 -규범과 현실의 통합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NUAC’s Development Policy Direction -Focused on the intergra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law and reality

북한학연구 | 7 | 2 | 2011 | 북한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개인정보보호제도

A Study on the Personal information system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노동법논총 | 25 | 2012 | 노동법

제임스 매디슨의 여론관과 대중: 인민주권에 관한 하나의 성찰

The view of James Madison‘s public opinion and public: a reflection on popular sovereignty

한국정치학회보 | 46 | 2 | 2012 | 정치외교학

조세입법의 구체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Scheme and the Problem of Tax Legislations

세무학연구 | 27 | 1 | 2010 | 회계학

조세입법의 구체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Scheme and the Problem of Tax Legislations

세무학연구 | 27 | 1 | 2010 | 회계학

재정 제도 및 정책 논의 관련 개념․용어의 오류에 대한 고찰

Discourses on Incorrect Conceptualization of Key Words and Improper Use of Terminologies with Regard to Fiscal Institutions and Policies in Korea

재정학연구 | 4 | 4 | 2011 | 경제학

대통령의 헌법상 권한은 과연 강력한가? : 그 정량적 비교측정 및 이를 통한 국무총리 권한강도의 추정

Is Korean Presidency Really Powerful? : Measuring President’s and Prime Minister’s Constitutional Powers

헌법학연구 | 17 | 1 | 2011 | 헌법

프랑스의 법령체계 및 법치주의에 관한 연구

La hiérarchie des normes et l‘Etat de droit en France

공법학연구 | 12 | 1 | 2011 | 법학

사회기반시설 민간투자제도와 기본권 보장

A Study on the PFI for Social Infrastructure and Fundamental Rights

미국헌법연구 | 23 | 2 | 2012 | 헌법

‘체벌’ 금지에 대한 입법동향과 과제

Trends and Challenge of the Legislation to End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교육법학연구 | 22 | 2 | 2010 | 교육학

‘체벌’ 금지에 대한 입법동향과 과제

Trends and Challenge of the Legislation to End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교육법학연구 | 22 | 2 | 2010 | 교육학

일제치하에서 계엄법

The Martial Law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세계헌법연구 | 18 | 2 | 2012 | 법학

헌법상 노인의 사회보장권 강화를 위한 노인학대 관련 법률의 합리화 방안

A Study on Justification of the Laws related to Elder abuse to strengthen their Constitutional right to Social security

세계헌법연구 | 17 | 2 | 2011 | 법학

Integration and Public Law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다문화사회에서의 공법과 통합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Integration and Public Law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다문화사회에서의 공법과 통합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Comparative Study for a Development Process of Constitutionalism in Indonesia and Korea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법치주의 발전과정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법학논총 | 26 | 2011 | 법해석학

유아교육법의 기본법으로서의 교육기본법에 관한 연구

Study fo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s for the fundamental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유아교육연구 | 30 | 6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법의 기본법으로서의 교육기본법에 관한 연구

Study fo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s for the fundamental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유아교육연구 | 30 | 6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법의 근본으로서의 헌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onstitutional law as for the fundamental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law

유아교육연구 | 30 | 1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법의 근본으로서의 헌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onstitutional law as for the fundamental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law

유아교육연구 | 30 | 1 | 2010 | 교육학

원주민어와 중남미 국가들의 헌법

Las lenguas indígenas y las Constituciones latinoamericanas

스페인어문학 | 56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원주민어와 중남미 국가들의 헌법

Las lenguas indígenas y las Constituciones latinoamericanas

스페인어문학 | | 56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모로코의 사법제도와 헌법 개정의 방향

세계헌법연구 | 18 | 1 | 2012 | 법학

민영화에 따른 국가의 책임에 관한 독일에서의 논의

Discussion on Privatization and State’s Responsibility in Germany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민영화에 따른 국가의 책임에 관한 독일에서의 논의

Discussion on Privatization and State’s Responsibility in Germany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미국 헌법교육 동향과 시사점

The Trends and Implication of Constitutional Education in U.S.A

미국헌법연구 | 22 | 3 | 2011 | 헌법

군사에 관한 헌법 원칙과 군 상부지휘구조 개편

The Issue of Top Military Command Restructuring Related to the Constitution

국방정책연구 | 27 | 1 | 2011 | 정책학

環境變化에 따른 基本權保障 强化方案 - 政治圈의 憲法改正論議와 관련하여 -

How to Strengthen Fundermental Rights in Changing Environments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環境變化에 따른 基本權保障 强化方案 - 政治圈의 憲法改正論議와 관련하여 -

How to Strengthen Fundermental Rights in Changing Environments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다문화 사회의 헌법교육 모색

The Approach Of Constitution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 In Terms Of Constitutional Patriotism -

법교육연구 | 6 | 1 | 2011 | 기타교육학

Rule of Law and Constitutional Justice

법치주의와 헌법재판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Rule of Law and Constitutional Justice

법치주의와 헌법재판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한국지방자치제도의 입법사적 고찰- 『헌법』과 『지방자치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Local Autonomy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Legislation - focused on 『Constitutional Law』 and 『Local Autonomy Law』

공법학연구 | 11 | 2 | 2010 | 법학

한국지방자치제도의 입법사적 고찰- 『헌법』과 『지방자치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Local Autonomy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Legislation - focused on 『Constitutional Law』 and 『Local Autonomy Law』

공법학연구 | 11 | 2 | 2010 | 법학

헌법의 본질과 다양성 그리고 그 가치

The Nature and Variety of the Constitution and Its Value

법학논고 | 33 | 2010 | 법학

헌법의 본질과 다양성 그리고 그 가치

The Nature and Variety of the Constitution and Its Value

법학논고 | | 33 | 2010 | 법학

헌법개정을 위한 기본권 관련 쟁점에 관한 고찰

Die kritische Untersuchung über Streitpunkte des Grundrechtsabschnittes in dem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헌법개정을 위한 기본권 관련 쟁점에 관한 고찰

Die kritische Untersuchung über Streitpunkte des Grundrechtsabschnittes in dem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헌법에 있어서 학설과 판례의 관계

Beziehungen zwischen Lehren und Rechtsprechungen im Verfassungsrechtlichen Bereich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우리 헌법사에서 ‘기본권’의 의미―그 이상과 현실의 교직

The Meaning of “Fundamental Rights” in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 The Cross-weave of Idealism and Practicalism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지방자치구현과 지역정당

Th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and Local Party

지방자치법연구 | 11 | 2 | 2011 | 법학

헌법원칙에 합당한 소득세제도의 개편방안

The Reform of Income Tax System into Constitutional Principles

조세법연구 | 17 | 1 | 2011 | 법학

조세의 정책적 기능의 규범적 한계

Normative Limits as to Tax for Policy Measures

조세법연구 | 17 | 1 | 2011 | 법학

헌법과 국가정체성

Constitution et Identité de l’État

서울대학교 법학 | 52 | 1 | 2011 | 법학

헌법상 경제질서조항에 근거한 경제정책에 대한 사법심사

Legal judge about economic policy based on economic order article in constitutional law

한양법학 | 33 | 2011 | 법해석학

한국 헌법의 경찰제도 관련 조항의 문제점과 개헌방향

Problems of Police Clause in Korea Constitution and its Constitutional Amendment

한국경찰연구 | 10 | 1 | 2011 | 사회과학

헌법학 연구와 교육 방법론 연구

Constitutional Study and Education in the era of Law School System

동아법학 | 54 | 2012 | 법학

Searching for the Constitutional Integration Policy of Korea on the Path to a Multicultural Society

헌법학연구 | 18 | 1 | 2012 | 헌법

예외적 예외로서의 천황―근대일본의 헌법과 주권

Tenno As An Exceptional Exception: Sovereignty And Constitution In Modern Japan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예외적 예외로서의 천황―근대일본의 헌법과 주권

Tenno As An Exceptional Exception: Sovereignty And Constitution In Modern Japan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지방자치제도 발전을 위한 헌법재판의 과제

La collectivité locale au nom de la démocratisation de l’État et la Cour constitutionnelle

지방자치법연구 | 11 | 3 | 2011 | 법학

일본에 있어 연합군총사령부 점령기의 노동기본권에 관한 소고

日本における連合国軍総司令部占領期の労働基本権に関する小考

노동법논총 | 25 | 2012 | 노동법

군민공치와 입헌군주제헌법 - 비교헌정사적 연구 -

Constitutions of the Monarchial Constitutionalism: - A Comparative Constitutional History -

서울대학교 법학 | 53 | 1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