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한 보상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B130202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행정법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899

STNet ID : 1005266

한자 : 正當-- 補償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정당 보상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재산권 침해 [ 財産權侵害 ]

isConceptOf (개념(전체))

관련 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재산권 [ 財産權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대토보상 [ 代土補償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수용재결 [ 收用裁決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손실 보상 () [ 損失補償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손해의 완전 보상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익 사업 [ 公益事業 ]

RT (관련어)

관련 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헌법 [ 憲法 ]

미국연방헌법상의 재산권보장에 관한 고찰 — 공용수용의 법리를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n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 in U.S. Constitution. — A Focus on the theory for taking —

미국헌법연구 | 23 | 1 | 2012 | 헌법

음악저작권자의 공연권 확대

Die Erweiterung des Aufführungsrechts von Musikwerken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4 | 2 | 2011 | 사회과학

한․일간 「수용의 허용조건」 비교연구 -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의 관련판례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A Comparative Study on Requirements for the Admissibility of Condemn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토지공법연구 | 48 | 2010 | 법학

한․일간 「수용의 허용조건」 비교연구 -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의 관련판례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A Comparative Study on Requirements for the Admissibility of Condemn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토지공법연구 | 48 | | 2010 | 법학

개발제한구역제도와 재산권침해

Restricted Development Areas and the Violation of Property Right

부동산학보 | 44 | 2011 | 국제/지역개발

한국과 미국의 손실보상법제의 비교- 보상의 내용과 기준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ss Compensation Laws between korea and America - The focus on contents and standards of compensation -

가천법학 | 4 | 3 | 2011 | 법학

著作權法上 法定損害賠償制度의 導入에 대한 小考

A Study on Introducing Statutory Damages in Copyright Act

지식재산연구 | 5 | 2 | 2010 | 지적재산권법

著作權法上 法定損害賠償制度의 導入에 대한 小考

A Study on Introducing Statutory Damages in Copyright Act

지식재산연구 | 5 | 2 | 2010 | 지적재산권법

대토보상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Substitute Land Compensation

법학연구 | 36 | 2012 | 법학교육

주관적 가치보상에 대한 연구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bjective value of the property

성균관법학 | 24 | 3 | 2012 | 법학